Q & A
고장이 난 후 점화 플러그 상태입니다.2, 5번 플러그가 좋지 않았는데 2번 플러그는 중심 전극이 아예 없어졌고, 5번 플러그는 중심 전극과 접지 전극에 뭐가 많이 붙어 있습니다.나머지 4개는 양호한 것 같았습니다.맨 위 사진의 좌측부터 1,2번 플러그입니다. 2번 플러그는 전극이 완전히 녹아서 고장 직전에 점화가 됐다 안됐다 한 것 같습니다.플러그를 빼내고 홀을 통해 피스톤 상부 표면을 관찰해보니 2번과 5번 피스톤은 슬러지같은 것이 불규칙하게 깔려있는 모습이었고 엔진오일인지 연료인지 모르겠지만 표면이 젖어 있는듯한 양상이었습니다
3번과 4번 플러그입니다. 상태는 양호해 보입니다.
5번과 6번 플러그입니다. 5번은 접지 전극과 중심 전극에 뭔가가 붙어 있습니다. 카본 퇴적물인지요?
차량 모델: XJ6R
연식:1996
주행거리: 56,700 마일( 미국버젼)
슬러지 세척을 위해 합성유를 넣어주고 그동안 틈틈이 여기 저기 고치고 조율하면서 근래 비로소 탈만해졌는데 최근에 엔진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점화 플러그를 직접 확인하지 않았던 것이 후회가 되는데요.
전에 문의를 한 번 드린적이 있지만 좀 더 구체적인 사진을 추가하여 테드의 고수분들에게 문의드리고자 합니다.
관련이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고장나기 전에 EGR 벨브를 교환한 이력이 있습니다.
당시 고속 주행시 180-230km/h 구간에서 엔진에 가스가 차는 느낌과 진동이 있었으나 EGR 벨브를 교환한 직후였기 때문에 그 것과 관련이 된 것인줄로 알았습니다.
즉시 차를 멈췄어야했는데 EGR 벨브가 작동을 잘 안하는 것 같아 속도를 줄였다가 다시 밟아보는 식으로 한동안 그렇게 주행을 했었고요.
차를 세우고 본넷을 열어보니 엔진오일 주입구 주변으로 오일이 새어나와 있었고 주변으로 튀어 있더군요.
약 0.5-1리터 정도 소모된 것 같았습니다. 엔진은 마치 증기 기관차와 비슷한 소리를 내고 있었고요.
그러나 소모된 엔진 오일은 주유캡 주변으로 빠져나온 양이고 현재까지 그런 증상은 재발하지 않았으며 뚜렷한 엔진오일 소모는 없고 매연도 나오지 않습니다.
고장이 일어나기 몇 개월 전부터 아이들링 시나 주행시 엔진 부조가 느껴져서 점검을 의뢰 했으나 점화 플러그 1번 한 개만 뽑아보고 이상이 없다고 하였고, EGR 벨브에도 문제가 있어서 체크 엔진 램프가 들어와 EGR 벨브를 교환하였습니다. EGR 벨브 교체 후에 엔진 체크등은 사라졋지만 증상은 별 개선이 없었고, 그대로 계속 타다가 고속 주행시 가스가 차는듯한 기분과 간헐적인 떨림 현상이 발생하고 엔진에서 딱딱 소리로 굳어진 경우입니다.
엔진에서 들리는 소음은 처음엔 칙칙폭폭 리드믹한 마찰음의 양상이었는데 점차로 딱딱거리는 소음으로 진행되더군요.
나중엔 캠 샤프트나 벨브쪽에서 좀 더 잦은 간격으로 딱딱거리는 소리가 들리고요.
고장 후 엔진오일을 새 것으로 교환하고 1000km 정도를 주행하였는데 소음은 시동 직후 가장 크다가 열받으면 점점 소리가 줄어들며 열간 주행시엔 실내에선 거의 들리지 않습니다.
중간에 소리가 점점 더 커지는 것 같았지만 나중에 점점 더 줄어들더군요.
불스원샷 3병과 리퀴몰리의 벨브 클리너를 사용한 후 다시 점화 플러그를 빼서 피스톤 상부면을 살펴보니 실망스럽게도 2번과 5번 피스톤은 별 차이는 없는 것 같습니다. 불규칙한 찌든 때에 표면이 젖은 모습입니다.
그러나 나머지 피스톤쪽은 전보다 깨끗해진 것도 같고요. 4번 피스톤은 피스톤 위에 쓰여진 글씨까지 보이더군요.
정황으로 볼 때 고장의 원인이 어디에 있을지요?
시동 후 소음 양상
- 온도가 올라가면 소리가 많이 줄어듭니다.
[

어떤 분도 아마도 숫자는 열가일 것이라고 말씀하셨고, 저도 저도 그 것을 의심했었으나.... 재규어 센터에서 그렇게 이야기를 하니...
EGR 벨브 고장은 오래되었는데 간헐적으로 증상이 발생하므로 별 이상이 없을 것이라고 이야기를 했었고.... 참 어렵습니다.
유압 태핏에 에어가 차기도 하는가보네요.
저는 엔진 구조는 거의 모릅니다.
혼자 이렇게 저렇게 해보았는데 약간의 차도만 있을뿐 거의 변화가 없습니다.
말씀대로 벨브 리프터라는 것을 한 번 써보겠습니다.
그런데 플러그 열가는 새로 교환한 것이 더 나은 것일지요( 수퍼 챠쳐 엔진입니다.)?
거듭 감사드립니다.

솔직히 말씀 드리면 위에 사진중 플러그 전극이 이상마모 된것도
열가 때문이라고 생각이 듭니다만..., 왜 12 짜리가 들어가 있었는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과급인데요 참피온 12라면
ngk 기준으로 하면 열가 4~5 사이라고 보여지는데 거의 4에
가깝습니다만..., 새로 장착하신 10 짜리도 ngk 기준으로 보면
약5~6 사이입니다만 6에 더 가깝죠 참피온이 ngk 보다 세밀한
열가를 표기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과다한 스포츠 주행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라면 열가 6정도가 적당할것 같습니다.
하지만 와인딩이나 혹은 보다 고회전을 사용 하신다면 좀 더 냉형을
사용 하시길 권장드립니다. ngk 기준 7 정도면 좋을것 같습니다만...,

XJ6 4.0의 경우 다른 플러그를 쓴다고 합니다. 아마도 전 차주가 4.0 N/A 엔진의 플러그를 끼운 것 같습니다. 센터에서 그렇게 끼웠을 가능성도 있습니다만..... - -;;
여러 가지로 힘듭니다.
이상 증상을 토로하면 너무 민감한 사람이 되기 일쑤니까요.
참, 그리고 오늘 알게된 것인데요.
XJ6의 직렬 6기통 엔진을 비롯해서 현재 재규어 전 라인업의 엔진은 유압태핏이 아니라 심으로 조정하는 타입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태핏쪽의 소음은 단 한대도 없었다고 합니다.
하부의 클랭킹하는듯한 소음은 줄어드는 양상인데 상부에서 들리는 소음은 또렷하고 아무래도 벨브쪽 같아 일단 리퀴몰리 벨브 리프터 클리너를 넣어보기로 하고 오늘 주문했습니다.
사용 후에 좋아지면 후기 올리겠습니다.^ ^

그런데, 점화 플러그가 2개만 나빠질 수도 있는지요?
그리고 저렇게 된데는 역시 점화 플러그 열가가 잘못된 것이 원인이 되는지요?
차량 인수 후에 점화 플러그를 모두 확인해봤어야하는데 점화 플러그 교환한지 얼마 되지 않았다고 하여 슬러지 없애는데만 신경을 쓴 것 같습니다.
재규어 엔진은 별로 고장이 없는 편이라 신경을 거의 안썼습니다ㅣ.
제가 인수 후에 교환한 것이 아니라서 정비받았던 센터 찾아서 클레임 걸기도 애매하네요.
제가 타기 시작한 후로는 계속 고급 휘발유만을 사용해왔습니다만 1900rpm만 되면 체인 치는듯한 소리가 났었는데 그게 노킹 현상이었을 가능성도 있겠네요.
1900rpm 정도에서 rpm 게이지가 조금 천천히 머물면 여지없이 소리가 납니다.
엑셀러레이터 캐이블을 조정한 후에 많이 좋아졌는데, 변속 시기가 약간 더 고 rpm으로 바뀌면서 그런 것도 같고요.
관련 지식이 없어서 짐작이 가지 않으니 답답하네요.
태핏 소음이라고 하는것이 실제는 피스톤 슬랩하는 소리일수도 있습니다.
예전 제차가 불한번 먹고 태핏소리인지알고 유압태핏 다 교체했는데도 소리나서 엔진열어보니 피스톤이 실린더 안에서 놀구 있더군요. ^^ 한번 경험하고 나니 그소리차이를 알겠던데, 비싼 경험을 치루었습니다.

소리를 직접 들려드릴 수도 없고 참....
A/S 센터에서는 점화 플러그 열가 차이 때문에 그런 일이 발생하지는 않는다고 하던데 맞는 말이 아니었군요.
사실 저도 나머지 4개는 멀쩡하니 플러그 때문은 아닌 것 같다고 생각했었는데 역시 관련 지식과 경험이 있어야 정비 클레임을 걸더라도 걸 수 있는 것 같습니다.
피스톤이 안에서 놀고 있어서 실린더 벽을 때리면서 나는 소리일 것 같은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그런데 엔진 오일 소모도 거의 없고, 연기가 나지 않는데 유격을 의심할 수도 있는지요?
하부에서 떡떡 거리는 소리는 플러그가 죽었을 때 점점 커지다가 플러그를 교환해주니 약간 호전되면서 그 이후로 점점 줄어드는 것 같습니다만, 벨브 쪽에서 발생하는 것 같은 '따다다닥'하는 소리는 처음엔 없었는데 중간에 생겼습니다.
엔진 온도가 올라가면 떡떡 거리는 소리도 줄어들고 벨브 소리 같은 것도 작아집니다.

잘 아는 고수분 역시 여러가지 가능성을 설명해주셨습니다.
실린더 별로 압축 압력부터 재봐야겠습니다.
인젝터 확인하고, 점화 코일, 플러그도 또 확인, 벨브 가이드 확인..
일단 리퀴몰리 벨브 리프터 한 번 넣어보고 차근 차근 점검해보려고 합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먼저 플러그의 경우는 개량형이라고 하시는데 사실은 참피온의 경우
그 숫자들은 플러그의 타입과 소재 그리고 열가를 표기합니다.
R 저항삽입형
K : 1-2kΩ Q : INDUCTIVE WIRE, WOUND RESISTER X : SPECIAL
C 나사형, 길이, 육각부
C : 14X19 mm Hex 16mm N : 14X19 mm Hex20.6 mm
A : 12X19 mm G : 10X19 mm
9 열가 (Heat Range)
Y 절연체발화부 , 돌출형(CNP)
L : 1.5 mm CEP:3.0mm M : 3 mm CEP:5.0mm L : 5 mm CEP:7.0mm
C 동삽입형 , 중심전극
C 동삽입형 , 외측전극
이런식으로 정리가 됩니다. 그리고 " c " 뒤에 숫자가 4 가 들어가면
간극이 1.0~1.1mm 이구요 없다면 간극은 0.7~0.8mm 입니다.
제가 볼때는 개선품이라기 보다는 열가가 다른 플러그를 넣으신듯
합니다만....,
그리고 동영상만으로 소리를 구분 하기가 참 어렵습니다만
egr 의 고장인 경우는 연소실 온도가 올라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소음의 원인은 유압타펫의 문제인듯 합니다.
자동밸브 간극이 맞춰지지 않아서 나는 소리로 여겨집니다.
그 경우 타펫의 에어빼기를 해줘야 하는데 유럽차들이 에어빼기가
쉽진 않더군요 어디까지나 글과 동영상만을 참고로 한 진단일뿐입니다.
리퀴몰리사의 밸브리프터를 한번 사용해 보시고 증세가 호전된다면
타펫이 맞겠구요 소음의 근원지도 그쪽이니까요..., 개선은 있으나
완벽하게 소리가 줄어들지 않는다면 타펫의 교환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