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유온 / 수온/ 배기온 워링 게이지 질문이요^^
터빈과 차에 무리가 없는 수치는 보통 어느정도 될까요?
350마력 셋팅인 차량이며
로우 부스트 사용^^ 1바 280마력 세팅입니다.
요정도 셋팅시
유온 수온 배기온 워링게이지를 어디쯤으로 설정해야할까요?
배기온은 850도 이상 넘지는 않네요^^ 쿠르징에서두요^^
수온 유온은 몇도까지가 한계인가요?
^^
터빈과 차에 무리가 없는 수치는 보통 어느정도 될까요?
350마력 셋팅인 차량이며
로우 부스트 사용^^ 1바 280마력 세팅입니다.
요정도 셋팅시
유온 수온 배기온 워링게이지를 어디쯤으로 설정해야할까요?
배기온은 850도 이상 넘지는 않네요^^ 쿠르징에서두요^^
수온 유온은 몇도까지가 한계인가요?
^^
2008.06.24 08:37:43 (*.41.206.38)

^^넵~~ 감사합니다.^^
오일 쿨러랑.. 대용량 라디에이터 등등 보완책으로 장착이 되어있긴하나 혹시나
몇도까지가 한계인지 궁굼해서 질문드렸어요^^
답변 감사합니다.^^ 거창하게 뭘 나갈꺼는 아니구요^^ 서킷을 경험을 하고 싶은거에요^^
혼자연습만 할지도 모른다는..ㅋㅋㅋ
오일 쿨러랑.. 대용량 라디에이터 등등 보완책으로 장착이 되어있긴하나 혹시나
몇도까지가 한계인지 궁굼해서 질문드렸어요^^
답변 감사합니다.^^ 거창하게 뭘 나갈꺼는 아니구요^^ 서킷을 경험을 하고 싶은거에요^^
혼자연습만 할지도 모른다는..ㅋㅋㅋ
2008.06.24 08:44:59 (*.32.163.140)

저는 수온105도 유온130도 정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상황에 따라서 약간
더 쓸 경우도 있습니다만..배기온은 아마 서킷을 달리시면 훨씬 더 뜰겁니다.
서킷에서 가혹한 주행을 하시면 배기매니폴더가 씨뻘겋게 달구어 지는데
이런 상황에서 피크되는 배기온은 그다지 신뢰할만한 것이 아니라서 배기
온 게이지는 띠어버렸습니다. 데피게이지기준으로 1100도 오버됨-_-;
예전에 베스트모터링에서 양산차 내구 레이스 배틀을 하는걸 보니까 수온
은 110도 유온은140도를 한계 기준으로 삼고 달리더군요. 그것보단 약간
낮게 셋팅하시는게 차를 위해선 좋을 듯 합니다.
더 쓸 경우도 있습니다만..배기온은 아마 서킷을 달리시면 훨씬 더 뜰겁니다.
서킷에서 가혹한 주행을 하시면 배기매니폴더가 씨뻘겋게 달구어 지는데
이런 상황에서 피크되는 배기온은 그다지 신뢰할만한 것이 아니라서 배기
온 게이지는 띠어버렸습니다. 데피게이지기준으로 1100도 오버됨-_-;
예전에 베스트모터링에서 양산차 내구 레이스 배틀을 하는걸 보니까 수온
은 110도 유온은140도를 한계 기준으로 삼고 달리더군요. 그것보단 약간
낮게 셋팅하시는게 차를 위해선 좋을 듯 합니다.
따라서 냉각의 효과도 공도에 비해 크게 떨어지죠.
게다가 밤이 아닌 낮에만 달리는 곳이라 더더욱..
과급으로 써킷을 달릴 예정이라면 테스트 삼아 달려보고 몇번의 시행착오를 겪어야만 완성될것 같은데요.
질문의 답은 아닌거 같은데 글을 보니 타임전이나 DDGT를 생각중이신거 같아서요.
조만간 써킷에서 봅시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