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현재 HD에 인커스 휠 (7.5J +43 옵셋)/ 아드레날린(215/45/17)을 매칭 시켜서 운행 중입니다. 아드레날린에 전 꽤 만족하면서 타고 있는데, 조수석의 막강한 힘을 가지신 그 분(?)이 승차감에 자꾸 압박을 가하셔서.. 스포츠 타이어가 아닌 쪽으로 일단 한 번 타이어를 교체해야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그래서 고른게 금호에서 새로 나온 LX란 녀석인데요, 이 녀석을 고른 이유는 금호 타이어에서 그래도 최신품이라는 점과 205/50/17 제품이 나온다는 점입니다.
215/45/17에서 205/50/17로 사이즈를 다운(?) 하면 승차감에 조금 더 포커스를 맞출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고 있는데..
궁금한 점은..
1) 7.5J +43 휠에 205의 타이어 폭이 괜찮을지 여부
2) LX 란 타이어가 얼마나 괜찮은 평을 받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을 달아주시는 분들께 미리 감사를..(__);;
2008.06.27 13:01:08 (*.119.110.150)

제 주위에 LX를 사용하시는분이 없어서 잘은 모르겠지만
LX 205/50 17보다는 H417 205/55 16이
그분(?)의 만족도가 더 클것같습니다.. ^0^
LX 205/50 17보다는 H417 205/55 16이
그분(?)의 만족도가 더 클것같습니다.. ^0^
2008.06.27 13:49:13 (*.217.174.72)

림폭을 보면 215 가 적당할 것 같은데요.
제가 LX 205/55/16을 몇 개월 쓰고 있는데 괜찮은 타이어라고 생각합니다.
DX보다 훨씬 낫고, ASX 보다도 느낌이 좋습니다.
조향이 부드러우면서도 코너링도 괜찮고 고속 주행시 조향성도 뛰어납니다.
DX나 ASX는 타이어가 길이 들기 전엔 낭창거리고 불안정한 감이 컸지만 LX는 그런 점을 느낄 수 없었고 새 타이어부터 비교적 좋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아무래도 미쉐린 PP2 같은 종류의 타이어에 비해서는 조향반응이 느리고 그립도 뒤지는 감이 있지만 사계절 타이어로서 무난한 성능과 트레드의 내측있는 스노우 패턴은 눈 길에도 좋은 성능을 발휘해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코너링 할 때 약간의 소음이 발생하기도 합니다만 거슬리는 수준은 아니며, 정숙성은 대체로 조용한 편이나 노면에 따라 다른 것 같습니다.
저는 만족스럽게 타고 있습니다.
참, 승차감은 부드럽지만 그다지 말랑 말랑하진 않던데요.
제가 LX 205/55/16을 몇 개월 쓰고 있는데 괜찮은 타이어라고 생각합니다.
DX보다 훨씬 낫고, ASX 보다도 느낌이 좋습니다.
조향이 부드러우면서도 코너링도 괜찮고 고속 주행시 조향성도 뛰어납니다.
DX나 ASX는 타이어가 길이 들기 전엔 낭창거리고 불안정한 감이 컸지만 LX는 그런 점을 느낄 수 없었고 새 타이어부터 비교적 좋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아무래도 미쉐린 PP2 같은 종류의 타이어에 비해서는 조향반응이 느리고 그립도 뒤지는 감이 있지만 사계절 타이어로서 무난한 성능과 트레드의 내측있는 스노우 패턴은 눈 길에도 좋은 성능을 발휘해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코너링 할 때 약간의 소음이 발생하기도 합니다만 거슬리는 수준은 아니며, 정숙성은 대체로 조용한 편이나 노면에 따라 다른 것 같습니다.
저는 만족스럽게 타고 있습니다.
참, 승차감은 부드럽지만 그다지 말랑 말랑하진 않던데요.
2008.06.27 14:03:56 (*.34.71.62)

저도 림폭이 신경 쓰이긴 하는데 괜찮다는 분들도 있고, 아니라는 분들도 있어서 쉽사리 결정을 못내리고 있습니다. 일단, LX 타이어는 제 목적(?)에 부합하는 물건인 것 같습니다.
2008.06.27 16:09:36 (*.217.174.72)

타이어 폭에 비해 림 폭이 넓으니 지금 김윤성 님의 관심사인 승차감에 어떤 영향을 줄지 모르겠네요.
큰 차이가 생길 것 같진 않으니 시험삼아 한 번 해보시는 것도 나쁘진 않을 것 같습니다.
좋은 승차감과 부드러운 조향감을 위해서는 타이어 폭 뿐 아니라 림폭이나 오프셋도 함께 고려해야합니다.
큰 차이가 생길 것 같진 않으니 시험삼아 한 번 해보시는 것도 나쁘진 않을 것 같습니다.
좋은 승차감과 부드러운 조향감을 위해서는 타이어 폭 뿐 아니라 림폭이나 오프셋도 함께 고려해야합니다.
2008.06.27 16:19:48 (*.82.93.63)

그냥 제 경우 입니다..
일단 마모지수가 최강(?)이라 아주 오래 사용하실수 있겠구요
편평비가 낯은 타이어라도 왠만한 충격이 아니고서는 휠이 상할일이없는
두께를 자랑하는 타이어 임에 틀림 없습니다..(extra load)
비온후 패인 구덩이나 맨홀뚜껑 어지간하면 타이어가 잘 막아줍니다..
고속주행시 약간의 불만이 있는데요
요새 시멘트고속도로를 달려보면
주행방향으로 여러개의 홈을 얇게 선을 그어놓은곳이 의외로 많습니다
이때 항속중인 차량의 후미가 지긋이 좌우로 꼬리를 치지요 ㅠㅜ
트래드 패턴이 세로로 깊어서 그런지 그런 현상이 있습니다
처음엔 불안하실수도 있지요..
그점을 제외하고는 젖은노면도 괜찮구요 소음적고
트래드 안쪽면에는 겨울철 스노우 패턴이 적용되어있어서
저도 눈길주행은 못해봤지만 하여튼 그런 옵션(?)도 있는 타이어입니다....
참고가 되시길....
일단 마모지수가 최강(?)이라 아주 오래 사용하실수 있겠구요
편평비가 낯은 타이어라도 왠만한 충격이 아니고서는 휠이 상할일이없는
두께를 자랑하는 타이어 임에 틀림 없습니다..(extra load)
비온후 패인 구덩이나 맨홀뚜껑 어지간하면 타이어가 잘 막아줍니다..
고속주행시 약간의 불만이 있는데요
요새 시멘트고속도로를 달려보면
주행방향으로 여러개의 홈을 얇게 선을 그어놓은곳이 의외로 많습니다
이때 항속중인 차량의 후미가 지긋이 좌우로 꼬리를 치지요 ㅠㅜ
트래드 패턴이 세로로 깊어서 그런지 그런 현상이 있습니다
처음엔 불안하실수도 있지요..
그점을 제외하고는 젖은노면도 괜찮구요 소음적고
트래드 안쪽면에는 겨울철 스노우 패턴이 적용되어있어서
저도 눈길주행은 못해봤지만 하여튼 그런 옵션(?)도 있는 타이어입니다....
참고가 되시길....
2008.06.27 16:52:30 (*.88.78.169)

lx 235/45/17을 사용해 보았는데
일단 dx보단 못한면은 없는듯하고...
트레드웨어가 600으로 기억하는데...
사계절 일상주행용으로 매우 좋다고 생각합니다.
사용해본 사계절 타야중에 피렐리 네로가 그립은
더 좋았으나 트레드웨어가 거의 반이고,
결정적으로 네로는 겨울에 별로라서...^^
일단 dx보단 못한면은 없는듯하고...
트레드웨어가 600으로 기억하는데...
사계절 일상주행용으로 매우 좋다고 생각합니다.
사용해본 사계절 타야중에 피렐리 네로가 그립은
더 좋았으나 트레드웨어가 거의 반이고,
결정적으로 네로는 겨울에 별로라서...^^
2008.06.27 20:02:31 (*.181.220.173)

비대칭에 스노우 패턴 까지있어 사계절용으로 딱입니다.
게다가 트레드웨어가 600 !!!
그립감은 일반 세단형 고급타이어라 보시면 되구요
고속도로 코너에 세로로 선 그은곳에서 쌀짝 뒤뚱거리는거 빼면 아주 만족합니다.
게다가 트레드웨어가 600 !!!
그립감은 일반 세단형 고급타이어라 보시면 되구요
고속도로 코너에 세로로 선 그은곳에서 쌀짝 뒤뚱거리는거 빼면 아주 만족합니다.
2008.06.28 17:02:45 (*.44.154.35)

넥센에 420 이지요..^^;
트레드 600 ........
저도 긴가 민가 햇습니다... 잘 닳지 않고 적당한 만족감을 주는 녀석 치고는 상당한 트레드라고 간주됩니다..^^:
트레드 600 ........
저도 긴가 민가 햇습니다... 잘 닳지 않고 적당한 만족감을 주는 녀석 치고는 상당한 트레드라고 간주됩니다..^^:
DX보다는 확실히 좋지만, 말그대로 얌전한 주행스타일에 잘 맞을거같습니다..
물컹 물컹...ㅡ.,ㅡ;;; 시승소감이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