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랜서에보, 임프레자 STI, 혹은 엠5는 무늬는 세단이지만, 성능은 스포츠카 버금가지요. 제
가 본 우리나라 보험제도를 보면 2문짝은 스포츠카로 분류가 되서 거기에 따른 할증료가 높
다고 그러는데, 위 차종은 어디에 분류가 될까요?(스포츠 혹은 일반 세단) 보험사 별로 적용
하는 방법이 틀리는지요. 추후에 생각중인 차종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가 본 우리나라 보험제도를 보면 2문짝은 스포츠카로 분류가 되서 거기에 따른 할증료가 높
다고 그러는데, 위 차종은 어디에 분류가 될까요?(스포츠 혹은 일반 세단) 보험사 별로 적용
하는 방법이 틀리는지요. 추후에 생각중인 차종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2008.07.24 12:16:16 (*.202.121.205)

재작년쯤에 보험사에 계시는 분이 스포츠카 리스트를 쫙 뽑아주셨는데 왠만한 차는 다 걸리더군요. 아주 레어가 아닌 이상;;;;
2008.07.24 12:23:40 (*.141.37.75)
그나저나..투카나 스포츠카에서 빼주었으면 좋겠네요.. 여론수렴하여..ㅋㅋ(대부분은 여론은 투카가 무슨 스포츠카냐?..이잖아요.ㅋㅋ)
2008.07.24 13:17:51 (*.46.117.69)

미니는 컨버는 스포츠카, 하드탑은 승용이라서
기쁜마음으로 다닙니다 ^^;
에보 정식으로 들어오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보험료라는 복병이 ㄷㄷㄷ
기쁜마음으로 다닙니다 ^^;
에보 정식으로 들어오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보험료라는 복병이 ㄷㄷㄷ
2008.07.24 15:46:43 (*.107.204.229)

랠리에 나가는 차라서 스포츠카 라고 하더군요.. 임프레자야 나가지만 이차는 안나간지 오래 됬다고 주장했지만 역쉬 소용없더군요^^;;;
2008.07.24 17:35:51 (*.120.109.81)
차종별 분류는 보험사와는 상관 없고, 보험개발원이 각 보험사에 내려주는 차종별 분류상 기준일껍니다.
제가 타고 댕기는 차종의 엔진 코드명 때문에 작년에 보험개발원에 민원 넣고 대판 싸운 적이 있습니다(보험 수가가 매년 펑펑 떨어지기에 보험사와 따지다 보니...).
싸우다 보니 우끼는 건 중고차 시세는 자체적으로 조사한(?) 중고차 가격표로 산정하고 없거나 비슷하다 싶으면 그냥 한 무리로 엮어 버리더군요. 게시판 답변은 자기들만의 논리를 펼쳐 놓고 유선상 따로 전화가 옵니다. 일주일간 등록증 가져다 놓고, 생산차 회사에 문의까지 한 결과 본인들의 실수임이 밝혀지자 그제서야 실수를 인정 받고 사과를 받았지만 영 씁쓸했습니다.
사실인지 모르겠지만 전반적인 동요가 있어야 먹힌다고 합니다(어느 편일지는..ㅡㅡ).
제가 타고 댕기는 차종의 엔진 코드명 때문에 작년에 보험개발원에 민원 넣고 대판 싸운 적이 있습니다(보험 수가가 매년 펑펑 떨어지기에 보험사와 따지다 보니...).
싸우다 보니 우끼는 건 중고차 시세는 자체적으로 조사한(?) 중고차 가격표로 산정하고 없거나 비슷하다 싶으면 그냥 한 무리로 엮어 버리더군요. 게시판 답변은 자기들만의 논리를 펼쳐 놓고 유선상 따로 전화가 옵니다. 일주일간 등록증 가져다 놓고, 생산차 회사에 문의까지 한 결과 본인들의 실수임이 밝혀지자 그제서야 실수를 인정 받고 사과를 받았지만 영 씁쓸했습니다.
사실인지 모르겠지만 전반적인 동요가 있어야 먹힌다고 합니다(어느 편일지는..ㅡㅡ).
2008.07.25 12:29:42 (*.147.51.1)

제 STi 도 일반 세단으로 가입되어 있습니다. 스포츠카로 분류될만한 타당한 이유가 없지 않나요?
랠리에 나가는 차로 묶는다면 빠리-다카르 랠리에 나가는 X5 도 스포츠카로 분류되어야 합니다. 터보챠저 문제라면 산타페, 스포티지 등등 거의 대부분의 디젤 차들이 딸려가야 하고...
랠리에 나가는 차로 묶는다면 빠리-다카르 랠리에 나가는 X5 도 스포츠카로 분류되어야 합니다. 터보챠저 문제라면 산타페, 스포티지 등등 거의 대부분의 디젤 차들이 딸려가야 하고...
2008.07.25 12:30:21 (*.90.162.66)

제가 사는곳 기준으로... STI 나 EVO 는 스포츠카 중에서도 GT 가 아닌 레이스 성격의 차라서 차량 가격대비 가장 높은 보험료를 자랑(?) 합니다.
2008.07.25 12:33:12 (*.90.162.66)

해서 차량의 형상보다 성격도 중요 한거 같습니다... 한국에서 2도어 컨버터블임에도 SLK 구형이 일반 승용차 요율이었던 것으로 기억나네요....
2008.07.25 12:33:25 (*.202.121.205)

지난번 기사를 보니까 보험사마다 기준이 틀린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제가 리스트 받은 곳은 모 회사였는데... 보험정보를 공유해서 그쪽으로 가입하는 편이 좋겠네요 ㅎㅎㅎ
2008.07.26 01:06:14 (*.63.1.48)

스포츠카 분류는 각 보험사별로 각개로 부딪혀 요행이 넘어가는 현상을 살펴야하지 않을까 합니다만... 전, 스포츠카 요율보다 중고차 시세가 회사마다 각각인 거에, 리스차량일 경우 리스사에서 잔존가치 및 최상가액을 공지해주고, 그 금액이상만 들으면 OK다라고 말하는데도, 자기네 회사가 내린 시세는 천만원이상 더 비싸니 무조건 잔존가치니 현재 실거래가니 같은건 따지지말고 들테면 들고 아니면 안된다고 우기는 하xx다이렉트 같은 회사가 울화통 터지더군요. 그나마, 이것저것 다 집어넣고보면 몇 푼이라도 싸고, 10년여 정들었던 회사라 다시 들었지만, 타 회사들의 차량가액보다 천만원 이상을 부풀리는 행태가 이해가 되지 않더군요. 어느 직원이 결정을 내려주는지...
혹시나 하는 맘에 도어가 4개임을 항변(?)했지만 전산에 스포츠카로 뜬다고 하더군요.ㅎㅎㅎ
그래서 전 스포츠카로 분류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