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고속 주행 중 갑자기 클러치페달&브레이크페달을 동시에 콱 밟는것. 그것 뿐.(힐앤토가 아님)
니콜라스케이지의 차도둑질 영화 식스티세컨드를 보면 니콜라스가 머스탱 훔지고 도망가면서 갑자기 두가지 패달을 동시에 콱 밟습니다. 이게 내 상식으로는 오토없던 시절 운전 못하는 사람들이 시동 안꺼먹기 위해서 하는건데요. 니콜라스같은 카 매니아가 그럴리가 있겠습니까? 운전도 좋아 할거고, 잘 배웠을 텐데 말입니다.
그리고 로터스관련 동영상을 봐도 수트입은 드라이버가 제대로 달리다가 동시밟기를 하던데, 이정도라면 분명 초보짓은 아닐텐데 말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이들은 오른발로 브레이크, 왼발로 클러치를 동시에 콱 밟았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 있을까요?
니콜라스케이지의 차도둑질 영화 식스티세컨드를 보면 니콜라스가 머스탱 훔지고 도망가면서 갑자기 두가지 패달을 동시에 콱 밟습니다. 이게 내 상식으로는 오토없던 시절 운전 못하는 사람들이 시동 안꺼먹기 위해서 하는건데요. 니콜라스같은 카 매니아가 그럴리가 있겠습니까? 운전도 좋아 할거고, 잘 배웠을 텐데 말입니다.
그리고 로터스관련 동영상을 봐도 수트입은 드라이버가 제대로 달리다가 동시밟기를 하던데, 이정도라면 분명 초보짓은 아닐텐데 말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이들은 오른발로 브레이크, 왼발로 클러치를 동시에 콱 밟았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 있을까요?
2008.07.24 15:58:51 (*.254.164.236)

상황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종그립만으로 브레이크를 잡을 시에 엔진브레이크가 걸린 것보다는 없는 것이 더 짧게 정지하는 듯 합니다.(완전 정차시)
그리고 코너링 시에도 특별한 경우에 한해서 동력을 아예 끊었다가 연결하는게 더 날카롭게 돌더군요.. 아마 그런 이유 아닐까요??
그리고 힐앤토에서 엔진브레이크는 주이유가 아니고 그냥 따라오는 부수적인 결과물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코너링 시에도 특별한 경우에 한해서 동력을 아예 끊었다가 연결하는게 더 날카롭게 돌더군요.. 아마 그런 이유 아닐까요??
그리고 힐앤토에서 엔진브레이크는 주이유가 아니고 그냥 따라오는 부수적인 결과물이라고 생각됩니다.
2008.07.24 16:37:52 (*.58.208.223)

풀 브레이킹 시, 락이 걸리는 것이 한 이유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급박한 상황에서 기어가 고단에 꽂혀 있을 때 기어를 중립으로 푼 후 브레이크를 밟는 것보다 선 브레이크, 후 기어변속이 될 수 밖에 없겠지요.
2008.07.24 16:50:48 (*.107.33.194)

상훈님 말씀처럼 abs가 없는 구형차량들의 경우 급브레이킹시 순간적으로 걸리는 락 때문에 시동이 꺼지거나 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처음부터 클러치를 밟기도 하더군요..
그리고 영화에선 보통 스키드를 내면서 멋진 연기와 함께 브레이킹을 하기 때문에 일부로 그런 상황을 연출한걸수도 ^^;
그리고 영화에선 보통 스키드를 내면서 멋진 연기와 함께 브레이킹을 하기 때문에 일부로 그런 상황을 연출한걸수도 ^^;
2008.07.24 17:28:55 (*.195.20.252)

예전에 운전면허시험칠때 돌발상황에 동시에 다 밟았던 기억이 나내요..
꾸욱~~ 바닥이 뚫어질정도로 빫으라하시던데...
그렇지만 시험칠때는 돌발 지나치라고하시더군요 돌발 세웠다가 가면 시간안에 못들어온다고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ABS 없는 차량들은 락걸리면 시동이 꺼집니다..정지했는데 시동이 꺼져있으면 대략 난감한 상황이 오죠^^;;
꾸욱~~ 바닥이 뚫어질정도로 빫으라하시던데...
그렇지만 시험칠때는 돌발 지나치라고하시더군요 돌발 세웠다가 가면 시간안에 못들어온다고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ABS 없는 차량들은 락걸리면 시동이 꺼집니다..정지했는데 시동이 꺼져있으면 대략 난감한 상황이 오죠^^;;
2008.07.24 19:00:02 (*.201.180.23)

성함이 저와 같으시네요~^^
제생각에도 non abs차량일 경우 영화처럼 타야스모크가 생길정도로 lock이 걸리면
시동이 꺼지기 때문에 방지차원에서 동력을 끊는 듯 합니다.
사이드브레이크턴을 할 때도 시동이꺼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클러치를 밟아 동력을 끊습니다.
제생각에도 non abs차량일 경우 영화처럼 타야스모크가 생길정도로 lock이 걸리면
시동이 꺼지기 때문에 방지차원에서 동력을 끊는 듯 합니다.
사이드브레이크턴을 할 때도 시동이꺼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클러치를 밟아 동력을 끊습니다.
2008.07.24 21:31:31 (*.51.250.181)
어떠한 상황이냐가 먼저일 것 같은데요, 일반적인 주행 또는 스포츠 주행 같은 상황이라면 별 도움이 안 될 뿐더러 위험하거나 타임로스가 생길만한 동작이겠죠. 하지만 특별한 상황 예를 들면 카스턴트 정도의 연출이 필요하면 상황에 따라서 그립을 줄여서 적은 공간에서의 코너링 내지는 회전을 위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동작보다도 그 동작을 했을 때 상황을 함께 설명을 해 주셨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08.07.26 11:29:33 (*.163.54.71)

위에 장민석님이 언급 하셨듯이 우리는 운전면허를 따기 위해 시험을 봅니다.
학원에서부터 교육이 잘못됬다고 보여집니다.
지금도 돌발상황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돌발구간에서 불이 점등되면 브레이크폐달이
부러질정도로 급하고 쎄게 잡으라고 배웠습니다. 물론 스틱의 경우는 크럿치폐달도 함께..
크럿치폐달을 밣지 않으면 시동이 꺼져 감정요인이 되지요.
정말 위험한 상황이라면 브레이크만 잡고 시동이 꺼지는것이 제동거리를 줄일수 있습니다. 크럿치를 밣는순간 밋션의 동력을 끊어 탄력을 높일수 있습니다. 내리막이라면
더 값은 커지겠지요..
학원에서부터 교육이 잘못됬다고 보여집니다.
지금도 돌발상황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돌발구간에서 불이 점등되면 브레이크폐달이
부러질정도로 급하고 쎄게 잡으라고 배웠습니다. 물론 스틱의 경우는 크럿치폐달도 함께..
크럿치폐달을 밣지 않으면 시동이 꺼져 감정요인이 되지요.
정말 위험한 상황이라면 브레이크만 잡고 시동이 꺼지는것이 제동거리를 줄일수 있습니다. 크럿치를 밣는순간 밋션의 동력을 끊어 탄력을 높일수 있습니다. 내리막이라면
더 값은 커지겠지요..
2008.07.26 16:50:53 (*.120.38.217)

호성님의 글을 보고 궁금한것이...
어차피 락이 걸릴정도의 강도로 브레이킹을 건다면 엔진브레이크가 걸리고 말고는 제동거리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 않나요??타이어의 한계는 같은데 그 한계 내에서 엔진브레이크를 걸고 말고가 제동거리에 영향을 미칠 지 궁금하군요...물론 브레이크만으로 제동시 락이 걸리지 않게 제동을 가한다는 전제 하에서요..
어차피 락이 걸릴정도의 강도로 브레이킹을 건다면 엔진브레이크가 걸리고 말고는 제동거리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 않나요??타이어의 한계는 같은데 그 한계 내에서 엔진브레이크를 걸고 말고가 제동거리에 영향을 미칠 지 궁금하군요...물론 브레이크만으로 제동시 락이 걸리지 않게 제동을 가한다는 전제 하에서요..
2008.07.31 15:52:32 (*.75.234.253)

상훈님 말씀에만 답변을 드립니다.(호성님 글과는 관련이 없구요) 락이 걸리고 나서의 엔진 브레이크는 있을수 없지요. 타이어의 한계 안에서 엔진브레이크는 도움이 됩니다.
엔진브레이크를 걸면 앞으로 쏠리던 무게중심이 조금 뒤로 이동하면서 뒷바퀴에도 더 많은 제동력을 분배할수 있습니다. 왜 무게중심이 이동하냐구요? 가끔씩 이런 답변을 하면서 이유를 설명해야 하는데요........... 어쨌든 이동 하던데요. ^^
엔진브레이크를 걸면 앞으로 쏠리던 무게중심이 조금 뒤로 이동하면서 뒷바퀴에도 더 많은 제동력을 분배할수 있습니다. 왜 무게중심이 이동하냐구요? 가끔씩 이런 답변을 하면서 이유를 설명해야 하는데요........... 어쨌든 이동 하던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