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골목길에서 좌회전을 하기 위해 속도를 줄이고 있었습니다.
(물론 빙판길에 이면도로니 저속이었지요)
좌회전을 하려고 브레이크를 잡으니 속도가 거의 줄지 않고 미끄러지더군요
스티어링휠을 약간 꺽은 상태였는데 풀브레이킹상태였는데도 속도가 줄지않고 앞의 전봇대와 부딪칠 것
같은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그상태에서도 조향은 제대로 되더군요
덕분에 무사히 좌회전을 했고 차는 무사할 수 있었습니다.
ABS가 anti lock braking system이라는 것을 모르는 분들이 많아요..
2016.01.23 00:16:31 (*.101.85.240)
ABS가 달려서 빙판길에 조향이 가능했다는 제대로 빙판길이 아니었기에 가능했을껍니다.. ABS건 할아버지건 어느정도의 속도 이상이면 그냥 직진입니다.
2016.01.23 00:50:06 (*.101.85.168)

맞습니다. 마찰력의 물리법칙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조향능력을 확보하기 위한게 ABS죠.
하지만 최첨단 ABS라 할지라도 물리법칙을 넘어설 수는 없기 때문에, 빙판에서 빠른 속도라면
그냥 직진하더군요. ^^;
2016.01.23 01:44:13 (*.162.237.111)
필요까지는 아니고 발로 해도 되는데 엄청 피곤하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기계만큼 consistency가 보장되지 않으니 ABS가 있으면 매우 좋다..겠죠.
2016.01.23 08:13:18 (*.101.85.245)

빙판길에도 abs가 있으면 걱정없다.. 라는 이야기가 아니구요
abs가 있으면 사고가 날 확률을 줄여줄 수 있다는 이야기지요
그냥 긴급제동 상황에서도
조금이라도 접지력이 남아있는 공간이 있다면 쥐어짜서 어떻게든 차를 세워주려 노력합니다
특정한 상황에서 abs가 불리할 경우는 있겠습니다만
문제는 사람은 다양한 노면상황을 기계만큼 정확히 인지할 수 없습니다
발로 abs를 이길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착각이죠
2016.01.23 21:51:18 (*.101.85.249)

서킷 뛰는 일반양산차량의 abs를 제거하는건 abs보다 발이 뛰어나서라기보단
양산차의 abs 개입 시점 셋팅이 일반도로+래디얼타이어 조합 조건에 맞춰져있다보니
슬립율 한계가 높은 서킷+슬릭타이어 조합에 맞지 않아서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레이싱카에 abs가 장비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FIA 공인 대회 규정중에 전자적인 운전 보조장비 금지 조항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입니다.
일례로, f1에서도 90년대 초반에 abs와 tcs등을 장비한 윌리엄스가 독보적인 주행을 보여줬고 이에 fia에서 모든 전자장비를 금지시켰고 현재 규정으로는 drs만 가능하던가 그럴겁니다. (요즘 f1 재미없어서 안 보다 보니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ㅎㅎ)
재작년인가에 싱가폴에서 베텔이 너무 빨랐는데, 타이어 자국을 보고 abs와 tcs를 장착한 것 같다는 의혹이 있었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만큼 f1선수들조차 abs나 tcs가 있으면 '더 빠르다'라고 인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서킷보다 노면조건이 훨씬 불규칙한 일반도로조건에서는 슬립율이 발산하는 시점을 예측하기가 더더욱 어렵기 때문에
아무리 뛰어난 기술을 가진 드라이버라 해도 abs가 조종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양산차의 abs 개입 시점 셋팅이 일반도로+래디얼타이어 조합 조건에 맞춰져있다보니
슬립율 한계가 높은 서킷+슬릭타이어 조합에 맞지 않아서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레이싱카에 abs가 장비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FIA 공인 대회 규정중에 전자적인 운전 보조장비 금지 조항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입니다.
일례로, f1에서도 90년대 초반에 abs와 tcs등을 장비한 윌리엄스가 독보적인 주행을 보여줬고 이에 fia에서 모든 전자장비를 금지시켰고 현재 규정으로는 drs만 가능하던가 그럴겁니다. (요즘 f1 재미없어서 안 보다 보니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ㅎㅎ)
재작년인가에 싱가폴에서 베텔이 너무 빨랐는데, 타이어 자국을 보고 abs와 tcs를 장착한 것 같다는 의혹이 있었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만큼 f1선수들조차 abs나 tcs가 있으면 '더 빠르다'라고 인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서킷보다 노면조건이 훨씬 불규칙한 일반도로조건에서는 슬립율이 발산하는 시점을 예측하기가 더더욱 어렵기 때문에
아무리 뛰어난 기술을 가진 드라이버라 해도 abs가 조종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2016.01.23 21:22:48 (*.101.85.150)
ABS 모듈이 그렇게 허접하지 않습니다.
눈길, 마른노면에 대응하도록 mu-split 프로그램에
맞도록 최적으로 제어합니다.
진짜 베텔이나 슈마허같은 사람이 아니고서야...
정밀한 계측을 토대로 제어하는 기계를 사람이
절대 이기지 못할거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이미 90년대에 ABS+일반운전자 그리고
non-ABS+카레이서의 대결 결과는 유투브에
널렸습니다.
결과는 기계의 완벽한 승리입니다.
딱 한경우에서 ABS가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라면
진흙탕에서 급제동시 non-ABS는 진흙탕을 파고
들어가서 제동거리가 짧아지는 반면 ABS는 반대의
상황을 연출하기에 제동거리가 길어지더군요.
눈길, 마른노면에 대응하도록 mu-split 프로그램에
맞도록 최적으로 제어합니다.
진짜 베텔이나 슈마허같은 사람이 아니고서야...
정밀한 계측을 토대로 제어하는 기계를 사람이
절대 이기지 못할거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이미 90년대에 ABS+일반운전자 그리고
non-ABS+카레이서의 대결 결과는 유투브에
널렸습니다.
결과는 기계의 완벽한 승리입니다.
딱 한경우에서 ABS가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라면
진흙탕에서 급제동시 non-ABS는 진흙탕을 파고
들어가서 제동거리가 짧아지는 반면 ABS는 반대의
상황을 연출하기에 제동거리가 길어지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