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현재 검은색 로체 LPi 소유중인 테드 회원 입니다.
내공이 부족한 관계로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자동차 상태
로체 07년 9월식 주행거리 6000km
엔진오일 프로피카 0w30
휠 17인치 순정 215-50-17 타이어
차고를 낮춰서 운동성능도을 향상 시키고 자세도 잡으려고 생각중입니다.(순정틱하면서)
알아본 결과 일체형 서스펜션으로 가는 것이 중복투자 확률이 적다고 판단되어서
일체형 서스펜션을 하려고 합니다.
1. 여기서 질문! 감쇄력 조절 & 차고 조절 이런 것들이 있는데,
차 안에서, 즉 차를 탄 상태로 차고와 감쇄력이 조절이 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밖에서 드라이버나 그런 것으로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11k, 7.5k 이런 것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2. 좋은 일체형 서스 추천좀 해주십시오.
순정틱하면서 자세나오고 잡소리 없으면서 가격대비 성능 좋은 것으로!
3. 휠&타이어는 연비의 문제 때문에 현재 100% 시내주행 7.5km 정도 나오고 있습니다.
순정 17인치나, 경량 17인치를 하고 싶은데 215-45-17 or 225-45-17을 하고 싶습니다.
가능한 것인지? 연비에는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너무 많은 질문을 드렸나 보네요! 배워가면서 튜닝을 하고 싶은데 주위에 지인도 없고
해서 네이버 선생님이나, 테드 여러분의 조언을 받아가면서 차를 배우고 있습니다.
고수님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내공이 부족한 관계로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자동차 상태
로체 07년 9월식 주행거리 6000km
엔진오일 프로피카 0w30
휠 17인치 순정 215-50-17 타이어
차고를 낮춰서 운동성능도을 향상 시키고 자세도 잡으려고 생각중입니다.(순정틱하면서)
알아본 결과 일체형 서스펜션으로 가는 것이 중복투자 확률이 적다고 판단되어서
일체형 서스펜션을 하려고 합니다.
1. 여기서 질문! 감쇄력 조절 & 차고 조절 이런 것들이 있는데,
차 안에서, 즉 차를 탄 상태로 차고와 감쇄력이 조절이 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밖에서 드라이버나 그런 것으로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11k, 7.5k 이런 것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2. 좋은 일체형 서스 추천좀 해주십시오.
순정틱하면서 자세나오고 잡소리 없으면서 가격대비 성능 좋은 것으로!
3. 휠&타이어는 연비의 문제 때문에 현재 100% 시내주행 7.5km 정도 나오고 있습니다.
순정 17인치나, 경량 17인치를 하고 싶은데 215-45-17 or 225-45-17을 하고 싶습니다.
가능한 것인지? 연비에는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너무 많은 질문을 드렸나 보네요! 배워가면서 튜닝을 하고 싶은데 주위에 지인도 없고
해서 네이버 선생님이나, 테드 여러분의 조언을 받아가면서 차를 배우고 있습니다.
고수님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2008.08.01 15:42:28 (*.196.46.142)

일체형은 고급형 종발이 타입에 비해 수명이 짧고 1~2년에 한번씩 오버홀을 해줘야 오래 갑니다. 게다가 순정쇽에 비해 아무리 부드러운 일체형이라도 대부분 딱딱한 편입니다.
그리고 실내에서 감쇠력 조정하는 타입이 있긴 한데 가격이 상당하고 셋팅을 위한 미세조절식은 없는 것으로 알고 에어 펌프로 높이는 것이 있다고 하더군요. 근데 그런류가 많이 안쓰이는 걸 봐선 추천할만하다고 봐지진 않습니다.
그리고 실내에서 감쇠력 조정하는 타입이 있긴 한데 가격이 상당하고 셋팅을 위한 미세조절식은 없는 것으로 알고 에어 펌프로 높이는 것이 있다고 하더군요. 근데 그런류가 많이 안쓰이는 걸 봐선 추천할만하다고 봐지진 않습니다.
2008.08.01 15:47:28 (*.9.169.193)

1. 차고는 높낮이 조절, 감쇠력은 써스가 아래위로 운동하죠 푹신하게하냐 딱딱하게하냐
조절입니다 하드할수록 승차감은 떨어집니다
차고 및 감쇠력은 일체형은 실내에서 조절불가(에어서스펜션은 가능)
테인제품은 EDFC추가장착시 실내에서 감쇠력만 조절가능
11k, 7.5k는 스프링웨이트 같습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더 하드합니다
2. 로체 동호회에서 물어보시는게 빠를겁니다
3. 로체 동호회에 물어보심이..또 순정써스엔 장착해도 이상없던 타야싸이즈가
차고를 내리면 간섭이 생길수 있습니다 2008-08-01
조절입니다 하드할수록 승차감은 떨어집니다
차고 및 감쇠력은 일체형은 실내에서 조절불가(에어서스펜션은 가능)
테인제품은 EDFC추가장착시 실내에서 감쇠력만 조절가능
11k, 7.5k는 스프링웨이트 같습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더 하드합니다
2. 로체 동호회에서 물어보시는게 빠를겁니다
3. 로체 동호회에 물어보심이..또 순정써스엔 장착해도 이상없던 타야싸이즈가
차고를 내리면 간섭이 생길수 있습니다 2008-08-01
2008.08.01 15:59:14 (*.31.245.24)

아... 그렇군요.... 고급형 종발이 타입이라.. 고급형 종발이..종발이가 뭔지..ㅠㅠ
댐퍼와 스프링을 같이 가는 것을 의미하나요? 종발이에 대한 것을 알아봐야 겠군요..
그리고 간섭이 생기는 것은 어떻게 판단 할 수 있나요? 타이어 직졍과 넓이?
댐퍼와 스프링을 같이 가는 것을 의미하나요? 종발이에 대한 것을 알아봐야 겠군요..
그리고 간섭이 생기는 것은 어떻게 판단 할 수 있나요? 타이어 직졍과 넓이?
2008.08.01 17:36:23 (*.14.86.30)
순정틱한 일체형은 들어본적이 없습니다. 일체형, 즉 코일오버타입은 태생이 레이스용이고, 대부분 순정형종발식보다 강합니다. (약하면 일체형 쓰는 의미가 없기도 하죠;)
주기적으로 오버홀을 해야하므로 계속적으로 유지비가 들어갑니다.
순정틱? 순정틱한걸 찾으시면 순정서스펜션과 구조가 같은 종발식(컵킷) 서스펜션으로 가셔야할것같구요. 처음부터 일체형 끼시면 굉장히 적응 안되실걸로 생각되네요....
동호회에 많은 내용이 있지않을까요?
주기적으로 오버홀을 해야하므로 계속적으로 유지비가 들어갑니다.
순정틱? 순정틱한걸 찾으시면 순정서스펜션과 구조가 같은 종발식(컵킷) 서스펜션으로 가셔야할것같구요. 처음부터 일체형 끼시면 굉장히 적응 안되실걸로 생각되네요....
동호회에 많은 내용이 있지않을까요?
2008.08.01 17:40:37 (*.108.188.61)

일체형의 승차감은 = 0 이라고 생각하심됩니다. 특히 동승자가 있을경우에는
절대적으로 일체형차량을 시승해보시기를 권장드려요.
특히 뒷자석 시승을 해보세요^^
절대적으로 일체형차량을 시승해보시기를 권장드려요.
특히 뒷자석 시승을 해보세요^^
2008.08.01 18:25:07 (*.145.39.185)
그나마 테인 베이직이나 ss 제품이 소프트합니다.. 일체형이라고 느껴지지 않을 정도이지만 태생이 코일오버라 순정대비 짧은 스트록은 여전하게 불편할 수 있습니다.
2008.08.01 18:29:16 (*.251.76.84)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서스펜션은 개인적 취향이 강한 영역이므로 일단 장착된
다른차들을 타보시고 제품을 초이스 한 다음(몇가지)
그 제품의 특성 내구성, as, 수명 등등의 정보를 문의 하시는게
어떨까 하는 생각이듭니다.
일례로 다른이에게는 소프트 한게 내게는 딱딱할 수 있고
내게는 소프트한게 다른이에게는 딱딱할 수 있는 감성적인
부분이 많은 영역입니다. 그런식으로 신중하게 초이스 하시는게
그나마 후회 및 중복을 막을 수 있는 방법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서스펜션은 개인적 취향이 강한 영역이므로 일단 장착된
다른차들을 타보시고 제품을 초이스 한 다음(몇가지)
그 제품의 특성 내구성, as, 수명 등등의 정보를 문의 하시는게
어떨까 하는 생각이듭니다.
일례로 다른이에게는 소프트 한게 내게는 딱딱할 수 있고
내게는 소프트한게 다른이에게는 딱딱할 수 있는 감성적인
부분이 많은 영역입니다. 그런식으로 신중하게 초이스 하시는게
그나마 후회 및 중복을 막을 수 있는 방법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2008.08.02 01:39:55 (*.229.234.5)

공도주행이 대부분 이시라면 일형은 결코 권해드리고싶지 않습니다....일체형 장착후 가장 몸으로 느꼈던점이 공도 주행의 위험성 입니다...굴곡이 많고 범프가 많은 좋지않은 노면 사정에서 숏스트로크가 대부분인 일체형은 로드홀딩력이 컵킷에비해 상당히 떨어지는 느낌을 받습니다...일체형중에서도 롱스트로크 타입이 있다고는 하는데....본인의 정확한 목적과 사용 용도를 파악하고 선택을 하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