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어제 회사에서 자유 게시판 글을 보다가 풀오토 에어컨 관련된 글을 보고는 혹하는 마음에 퇴근하면서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제차는 쎄라토 1.6VGT 입니다..
현재까지 오토를 수동에어컨 처럼 사용을 했습니다. 온도 17도에 A/C 온오프로만 사용을 했습니다.
그런데 아래 리플들을 보니 생각보다 괜찮다는 의견이 많더군요..그래서 퇴근 할때 테스트를 해봤죠.
차에 타니 실외기온 32도로 나오더군요.
그래서 25도로 설정을 했습니다..(왜 25도냐 하시면 특별한 이유는 없습니다..^^;;)
AUTO 버튼을 누르니 바람쎄기가 MAX로 가면서 바람이 휘몰아 치더군요..
그래서 한 10Km정도 주행후 28도로 변경을 했습니다. 그러니 풍량이 3칸으로 줄어드내요.(최대 6칸)..
그렇게 고속도로를 주행을 했습니다..
바람 방향도 정면으로만 나오고 한 10분이상 주행을 하니 춥더군요..(제가 더위를 많이 타는데도...)
정면으로 나오니 팔이 얼어버리는듯한..ㅡ.ㅡ;;; 그래서 운전석쪽 송풍구 다막고 그냥둬도 계속 바람은 3칸...한 20분주행후에 도저히 안되서 31도로 변경을 하니 풍량이 한칸으로 줄어들면서 정면하고 아래쪽으로 변경이 되더군요...
일단 어제 시험은 그렇게 끝내고...
오늘 아침 출근길에 또 다시 해봣습니다.
외부온도 25도 설정온도 28도...
A/C 켜지면서 바람은 한칸 바람 방향은 정면과 아래쪽....
다시 25도로 변경하니 바람 방향 정면으로 바뀌면서 한칸..
그래서 또 추워서 수동으로 조작했습니다. (지금도 콧물이 찔끔 납니다..ㅜ.ㅜ)
제 생각은 가정용 에어컨 처럼 설정온도가 되면 켜지거나 꺼져야 할것 같은데...
이넘이 외부온도랑 비슷해지면 켜지거나 꺼지는거 같습니다.
이것 관련해서 다른분들 테스트 해보신분들 계신가요??
제차는 쎄라토 1.6VGT 입니다..
현재까지 오토를 수동에어컨 처럼 사용을 했습니다. 온도 17도에 A/C 온오프로만 사용을 했습니다.
그런데 아래 리플들을 보니 생각보다 괜찮다는 의견이 많더군요..그래서 퇴근 할때 테스트를 해봤죠.
차에 타니 실외기온 32도로 나오더군요.
그래서 25도로 설정을 했습니다..(왜 25도냐 하시면 특별한 이유는 없습니다..^^;;)
AUTO 버튼을 누르니 바람쎄기가 MAX로 가면서 바람이 휘몰아 치더군요..
그래서 한 10Km정도 주행후 28도로 변경을 했습니다. 그러니 풍량이 3칸으로 줄어드내요.(최대 6칸)..
그렇게 고속도로를 주행을 했습니다..
바람 방향도 정면으로만 나오고 한 10분이상 주행을 하니 춥더군요..(제가 더위를 많이 타는데도...)
정면으로 나오니 팔이 얼어버리는듯한..ㅡ.ㅡ;;; 그래서 운전석쪽 송풍구 다막고 그냥둬도 계속 바람은 3칸...한 20분주행후에 도저히 안되서 31도로 변경을 하니 풍량이 한칸으로 줄어들면서 정면하고 아래쪽으로 변경이 되더군요...
일단 어제 시험은 그렇게 끝내고...
오늘 아침 출근길에 또 다시 해봣습니다.
외부온도 25도 설정온도 28도...
A/C 켜지면서 바람은 한칸 바람 방향은 정면과 아래쪽....
다시 25도로 변경하니 바람 방향 정면으로 바뀌면서 한칸..
그래서 또 추워서 수동으로 조작했습니다. (지금도 콧물이 찔끔 납니다..ㅜ.ㅜ)
제 생각은 가정용 에어컨 처럼 설정온도가 되면 켜지거나 꺼져야 할것 같은데...
이넘이 외부온도랑 비슷해지면 켜지거나 꺼지는거 같습니다.
이것 관련해서 다른분들 테스트 해보신분들 계신가요??
2008.08.06 14:20:45 (*.195.20.252)

그러고 보니 몸쪽으로 해서 켜두긴 하내요^^;;
그런데 어제는 운전석쪽 다 막아두고 조수석쪽만해도 해둬도 계속 바람은 3칸이더군요..
오늘은 또 다른 테스트를 해봐야겠습니다..^^;;
그런데 어제는 운전석쪽 다 막아두고 조수석쪽만해도 해둬도 계속 바람은 3칸이더군요..
오늘은 또 다른 테스트를 해봐야겠습니다..^^;;
2008.08.06 15:06:25 (*.101.138.126)

전 더위를 많이 타서 온도설정을 겨울에도 24도 위로는 올려본적이 없네요 ㅋㅋ. 오토에어컨이 그냥 가정용처럼 내부기온을 감안해서 컴프레서까지 자동으로온오프 되는것이면 참 좋을것 같은데....
2008.08.06 15:12:35 (*.91.28.169)

오토에어컨이 당연히 내부 기온을 감안해서 A/C를 자동으로 On/OFF 하지 않나요? 내부 기온 센서도 잘 보이는 위치에 있고요;
2008.08.06 16:11:06 (*.160.136.27)

풀오토에어콘을 거의 모든 차들이 달고는 나오지만...
정화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은 고급차에 달린 풀오토에어컨인 듯하네요. 체감상이요..
그래서 최고급차량을 구입할게 아니면 그냥 수동에어콘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정화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은 고급차에 달린 풀오토에어컨인 듯하네요. 체감상이요..
그래서 최고급차량을 구입할게 아니면 그냥 수동에어콘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2008.08.06 16:21:10 (*.100.185.176)

아무래도 일반오토에어콘의 온도나 조도센서의 위치상 차안에서 뜨거운 부분에 있는것 같네요... 대쉬보드에 조도센서와 스위치판넬에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의 위치가 생각보다 차안에 체감온도와는 많이 다른것 같습니다..
2008.08.06 16:39:05 (*.253.219.194)

벤츠같은경우에는 저 온도센서만 여섯곳인가?에 있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우리가 느끼는 온도와 거의 같은온도로 조절해주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한(?) 차량들은 겨우 한두개...-.-;
조절이 섬세하지 못할수 밖에요...
그래서 실제로 우리가 느끼는 온도와 거의 같은온도로 조절해주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한(?) 차량들은 겨우 한두개...-.-;
조절이 섬세하지 못할수 밖에요...
2008.08.06 16:52:31 (*.195.20.252)

역시 의견들이 고급차는 믿을만 한대 그이외에는 안맞을수도 있다내요..
제차만 그런줄 알았습니다..
흑..ㅡ.ㅡ;;;
역시 아직까지는 기계보다는 제 손이 믿을만 한거내요.
마음대로 켜고 끄고..
이상한게 실내온도를 기준으로 잡아줘야 할것 같은데 왜 실외온도를 기준으로 잡는지 그게 궁금해지내요..
제차만 그런줄 알았습니다..
흑..ㅡ.ㅡ;;;
역시 아직까지는 기계보다는 제 손이 믿을만 한거내요.
마음대로 켜고 끄고..
이상한게 실내온도를 기준으로 잡아줘야 할것 같은데 왜 실외온도를 기준으로 잡는지 그게 궁금해지내요..
2008.08.06 17:20:41 (*.101.138.166)

컴프레서가 떨어지는걸 눈으로 확인할 방법은 조작부의 A/C 불이 나가는것 밖에 없죠. 실제로 불은 들어와있지만 마그네틱클러치에서 떨어져 있는지는 뭐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체감상.... 컴프레서는 언제나 돌더군요. 컴프레서를 돌리면서 온도조절을 한다고 더운공기를 섞는다...... 요 며칠동안 글쓰고 답글도 보고 하면서 별로 틀린건 아닌것 같습니다. 한겨울에도 AUTO 버튼 누르면 쩍~ 하면서 마그네틱 클러치 붙는소리가 나면서 열심히 돌아가는 컴프레서..
2008.08.06 18:39:45 (*.91.9.165)

제가 탔던 차들의 풀오토에어콘도 그렇습니다. 그래서 아예 오토 기능을 안씁니다. 외기온도가 35도인데 설정온도를 22도로 하면 최대풍속으로 작동하더군요. 가정용 처럼 풍속은 사용자가 원하는 걸로 설정하게 했으면 좋겠습니다.
2008.08.06 19:19:08 (*.148.159.138)

제네시스와 구 SM525V에 있던 오토 에어컨은 기능이 충실했던 기억이...
설정 온도에 맞춰서 열심히 돌다 말다 하던데요...
정차중에 들어보면 컴프레서가 돌다 말다 하는게 감지될 정도였습니다...
더운공기를 섞는건 잘 모르겠네요...
제차는 수동방식이라 확인해볼길이 없다는... ㅡ.ㅡ;;
그런데 아무래도 센서류에서 들어오는 시그널에 대한 피드백으로 동작을 하게되니, 센서의 위치/개수/세팅 등에 의해서 차이가 날 것 같습니다...
가능하시면 제조사에 정확한 사항을 문의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매뉴얼에는 그런 부분에 대하여 설명이 없나요? 없으면 난감...)
설정 온도에 맞춰서 열심히 돌다 말다 하던데요...
정차중에 들어보면 컴프레서가 돌다 말다 하는게 감지될 정도였습니다...
더운공기를 섞는건 잘 모르겠네요...
제차는 수동방식이라 확인해볼길이 없다는... ㅡ.ㅡ;;
그런데 아무래도 센서류에서 들어오는 시그널에 대한 피드백으로 동작을 하게되니, 센서의 위치/개수/세팅 등에 의해서 차이가 날 것 같습니다...
가능하시면 제조사에 정확한 사항을 문의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매뉴얼에는 그런 부분에 대하여 설명이 없나요? 없으면 난감...)
2008.08.06 21:33:02 (*.7.57.86)

온도만 맞춰두고 풍량은 수동으로 조절하면 온도에 맞게 바람이 나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게 자주 사용하기도 하구요...
바람을 몸쪽으로 틀고 계시면 당연 춥습니다...; 온도센서엔 바람이 직접 안가는데 몸에는 바람이 직접 오니..ㅋㅋ 에어컨은 몸에 직접 쐬기 위해 있는 건 아니지요..실내온도 전체를 조절하기 위한 장비이다보니...^^; 물론 저도 더우면 몸에다 4단으로 튼답니다^^
바람을 몸쪽으로 틀고 계시면 당연 춥습니다...; 온도센서엔 바람이 직접 안가는데 몸에는 바람이 직접 오니..ㅋㅋ 에어컨은 몸에 직접 쐬기 위해 있는 건 아니지요..실내온도 전체를 조절하기 위한 장비이다보니...^^; 물론 저도 더우면 몸에다 4단으로 튼답니다^^
2008.08.06 22:08:05 (*.146.5.201)

바람세기를 줄이시면 그나마 나으실텐데...
근데 겨울에 주황표시된 MAX 사용하니까 순식간에 앞 유리창 김서림이 싹 사라져서 좋긴 좋습니다 ㅎㅎ
근데 겨울에 주황표시된 MAX 사용하니까 순식간에 앞 유리창 김서림이 싹 사라져서 좋긴 좋습니다 ㅎㅎ
2008.08.06 22:26:54 (*.55.115.16)

여러분의 의견이 많이 달렸내요^^
바람세기가 조절이 안됩니다..바람세기를 조절하니 AUTO표시가 꺼져버리내요..ㅡ.ㅡ;;
일단 오늘 인터넷 검색으로 알아낸게 몇가지 있습니다.
쎄라토가 현대차보다 에러코드 숫자가 확실히 적더군요..ㅡ.ㅡ;;
그말은 센서가 몇개없다는 말이 되내요..^^
바람세기가 조절이 안됩니다..바람세기를 조절하니 AUTO표시가 꺼져버리내요..ㅡ.ㅡ;;
일단 오늘 인터넷 검색으로 알아낸게 몇가지 있습니다.
쎄라토가 현대차보다 에러코드 숫자가 확실히 적더군요..ㅡ.ㅡ;;
그말은 센서가 몇개없다는 말이 되내요..^^
2008.08.07 00:09:44 (*.88.178.17)

쎈서가 적을수록 고장율도 적어집니다.....벤츠 비엠등..센서 고장나면 진단기 없으면 수리는 아에 손도 못댑니다...단순한것이 장점으로도 될수 있습니다..
전 풀오토에어콘은 별 쓸모없는 장치라고 개인적으로 봅니다...
지금 제 차에도 오토에어콘이 달려있지만 안씁니다..
그냥 직접 조절 해주는것이 더 좋더군요...
전 풀오토에어콘은 별 쓸모없는 장치라고 개인적으로 봅니다...
지금 제 차에도 오토에어콘이 달려있지만 안씁니다..
그냥 직접 조절 해주는것이 더 좋더군요...
2008.08.07 07:50:37 (*.134.207.82)
이전에 렉서스 탈때는 오토상태로 주로 다녔습니다. 별로 불편감 없이 알아서 잘 조정해주더군요. 그러다 그랜저로 바꾸고 나서는 아예 오토 기능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내가 설정해 놓은 온도와 상관없이 계속 에어컨이 돌아가고 결국 수동으로 조정해야 하더군요.
2008.08.07 08:00:12 (*.101.138.93)

예전 아버지차 마르샤의 설명서에는 AUTO라고 나와있는 풀오토모드에서 온도나 풍량을 조절하면 그에 맞게 나머지를 한다는 말을 보긴 한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 일을 마음에 들게 안하기에 95년 처음 오토에어컨을 접한 이후로 한번도 풀오토모드에 놓구 쓰질 않게 되더군요. 지금차가 쏘렌토인데... 전 24도 이상은 올려본적이 없어서 ㅎㅎㅎ. 물론 겨울에 처음 시동걸고는 MAX에 두긴 합니다. 그래봐야 연소식 히터 없는차라 히터나오는데 3-4분은 족히 걸리지만요 ㅋㅋㅋ
암튼간에.... 조만간 차를 하나 사야하는데 고민이 됩니다. 깡통모델로 사서 필요한것만 사다가 붙일지 아니면 옵션 웬만큼 붙은놈을살지... 중간옵션만 되도 요즘은 오토에어컨이 있네요..
암튼간에.... 조만간 차를 하나 사야하는데 고민이 됩니다. 깡통모델로 사서 필요한것만 사다가 붙일지 아니면 옵션 웬만큼 붙은놈을살지... 중간옵션만 되도 요즘은 오토에어컨이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