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재규어XF 2.2D를 타고 있습니다.
따뜻한 4월 출고하여 아무 증상없이 잘 탔는데 10월 말 쯤부터 기온이 내려가니 그간 느끼지 못했던
치명적인 증상들이 나타났습니다.
출고타이어는 피렐리P7 (235/55R/17)입니다. (현재는 국산 윈터타이어를 끼고 있습니다)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는 시점(대략 영상10도 초반쯤부터) 부터 느낀 증상들인데
1. 노면을 좌,우 정신없이 너무 심하게 탑니다. (미끄러운 오일위를 달리는 느낌. 노면대로 흘러버린다는 표현이 딱일정도로)
2. 따라서 스티어링을 꽉 쥐고 끊임없이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운전해야 합니다.
3. 제동거리가 눈에 띄게 길어집니다.
한 달 정도 스트레스를 받다가 11월 말에 윈터타이어를 끼우고는 모든 문제들이 사라졌습니다.
지난 4월부터 10월까지 6개월 정도 경험해본 피렐리는 매우 좋은 타이어였지만
그 후 11월 말까지 약 한달까지의 경험은 최악이었네요.
이제 봄이 되면 다시 일반타이어를 끼워줘야 하는데
피렐리는 보관서비스를 받지 않고 팔아버렸습니다.
올시즌은 절대 아니고 완전 썸머용인듯 합니다.
봄 되고 일반타이어를 뭘로 할지 고민중입니다.
윈터시즌까진 쓰지 못하더라도 최소한 윈터를 끼기 전까지는 불안하지 않은
봄이든 여름이든 늦가을이든 계절따라 확확 차이나지 않는 그런 타이어를 원합니다.
타이어에 3~40만원씩 투자할 생각은 없습니다.
그냥 10초반이든 10후반이든 아무튼 10만원대 정도 생각하고 있는데요.
제가 생각하는 모델은
금호 마제스티 솔루스
브릿지스톤 투란자 GR-100
미쉐린 PS3
정도입니다.
운전스타일은 평시에 비교적 정속에 급출발, 급제동 안하는 여유로운 스타일인데
고속도로에서는 규정속도보다는 좀 쏩니다.
저 세가지 모델중에 제가 이야기한 조건들에 가장 맞는 타이어가 어떤게 좋을지요.
의견 여쭤봅니다.

금요일에 마제스티로 교체하고 토요일 폭설 중에 서울에서 목포까지 운행했습니다. 눈길 운전도 크게 무리는 없는 것 같네요. 빙판길이라면 얘기가 달라집니다만 ㅎ 승차감도 한타 노블1 보다 좋은 것 같습니다.

마제스티는 전체적인 승차감은 좋지만 고속에서 '승차감'이 떨어지고 아무래도 레인체인지때 불안하죠.
고속에서 약간의 짧은 진동으로 떤다고 표현하면 맞을까요...
PS3는 접지력은 높진않지만 올라운드 플레이어에 배수력이 좋습니다.
Gr-100은 안써봤는데 gr-90경험상 나쁘지않은 고급차 타이어였습니다.
저라면 GR-100을 사용할듯 싶네요

사계절 UHP인 금호 엑스타 4X II 한번 고려해 보세요.
개선 모델로 바뀌면서 소음이나 승차감 모두 납득할만한 수준이라고 봅니다.
현금가로 개당 10만원 이하일텐데 가성비 하나는 확실하지 않을까요?
bmw에 oe로 껴져있는 것도 그렇고 국내에 oe로 껴져서 들어오는 씬투라토 p7은 썸머로 들어옵니다. 원래는 사계절/썸머 두 종류의 p7이 있죠. 써본 타이어 중에 개인적으로 세단에 어울리는 정숙하면서도 어느 정도 성능 나와주는 섬머타이어라고 생각되는건 브릿지스톤 gr-90이었습니다. gr-100이 일제가 아니라 타이인가로 생산국이 바뀌었다고는 하는데 후속품이 더 나쁘진 않겠지.. 라는 생각에 큰 상관은 없을 것 같구요. ps3는 생각보다 "sport" 하지 않고 컴포트 해서 의외였는데 이것도 괜찮은 선택으로 보입니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ps3가 객관적인 성능과는 관계없이 느낌상, 조금 더 사이드월이 물컹거리고 승차감이 푹신하다고 느껴서 제 취향은 아니긴 했네요(스포츠라는 이름이 붙으면 re002같이 우당탕탕 해야 되는것 아닌가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만 일반적인 주행 상황에서 다른 차종 primacy hp와 별반 차이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마제스티는 써보지 않아 모르겠으며, 엑스타 4x는 바뀌기 전 모델 써 봤는데 개인적으로는 형편없는 싼마이 사계절타이어라고 느꼈습니다.
섬머성능과 윈터성능은 어차피 트레이드 오프라 양립이 안되죠.
피렐리 p7같은 타이어는 본토에선 10월 중순이면 윈터 끼워버리는 타이어죠. 윈터 성능 빼고는 다 준수하다고 생각되며
동급 미쉐린은 ps3나 프라이머시 hp가 있죠.
저기서 약간 사계절 성능을 채우려면 mxm4도 답이 될 수 있을겁니다.

마제스티 극초비추합니다.
제가 평생 샀던 타이어중에 가장 후회하는 선택입니다.
100키로 넘어가면 덜덜덜...잔진동으로 떨어대고, 바운스가 계속 전해오는 느낌입니다.
한계를 확실히 알 수 있게 비명을 질러주는건 좋은데, 너무 낮아서 UHP맞나 하고, 승차감은 뭐...개나줘버린 스포츠 성향 타이어 느낌인데, 왠열~ 스포츠성향 전무...
개발 컨셉이 뭔지 궁금한 타이어입니다.
승차감 : 마제스티>s1 noble>ps3>4x>csc3>re050a
이 순서 입니다..
스포츠성은 반대로 보셔도 될것 같네요... 다만 마제스티가 접지력은 s1 noble 보다 좋구요.
ps3가 저 위에선 제일 좋은 접지를 보여줬었습니다..
PS3 타면서 정말 매우만족스러웠는데, 영동고속도로에 베수라인(홈파인곳) 지나갈때 등줄기에 식은땀 몇번 흘려서 바로 빼버렸죠... 그부분만 빼면 참 좋았던 타이어였네요

사용한지 반년째인데 정숙성 승차감이 상당히 좋네요. 타이어를 발로 눌러보면 순정 금호 kh25보다도 확실히 말랑한데, 롤링 억제력이나 접지력은 더 좋다는 느낌입니다.
현 시점에서 다른 타이어를 바꾼다면 미쉐린 프라이머시3정도가 떠오르지만(사용하는 친구가 강추한다는)한국에서는 브릿지스톤의 가성비가 해외대비 좋은 만큼 gr-100를 또 구매할거 같습니다.
그리고 브릿지스톤이 미쉐린보다 트레드나 사이드월이 더 이쁘다는 것도, 저의 경우엔 구매요소로 많이 작용했습니다.
충분한 기본 성능이 보장되는 프리미엄군의 타이어라면 운전자 개인 성향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이견이 있습니다.
어떤 운전자는 단단한 사이드월에 만족을 하는 경우, 또 다른 운전자는 부드러운 사이드월에 만족하는 경우, 또 다른 운전자는 접지소음에 민감한 경우 등 차량 조건, 운행하는 노면조건, 승차인원, 배석의 조건..따질 수도 없는 조건이 무궁무진하죠~
그러니 고민을 오랫동안 하시는 것보단 직접 사용해보시고 어떤 타이어가 내 운전 성향에 가장 맞는 타이어인지 알아 가시면 더 좋을 듯 합니다 :)

고속 고속도로 (특히 커브 세로 홈 구간)에서 종종
라인을 타는(?) 증상이 있습니다. 대신 단단한 사이드월 덕분에 접지력이 확보되는 날짜엔 만족하며 타고 있지요.
저도 겨울윈터로 교체하는게 귀찮아서 4계절 타이어 고민중 입니다. 저도 ps3또는 마제스티 둘 중 선택할 것 같습니다.
대충 GR-100, PS3, 프라이머시3, MXM4로 압축이 되네요.
MXM4는 사이즈가 없어서 일단 제외해야할 듯 하고...
GR100, PS3, 프라이머시3 중 하나로 해야겠습니다.
모두들 감사합니다 ^^
PS3 한표던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