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상황별 배기온 질문을 드립니다.
우선 제차를 먼저 까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시동즉시 : 600
2.워밍업 후 : 500~530
3.80-100 정속주행시 : 700
4.120이상 정속주행시 : 800
5.Y00 이상에서 가감속 배틀시: 1200도
배기온센서는 좋은놈이나, 게이지가 조금 싼놈으로 싼거라 믿지 못하는것 아닌가 하는
얄팍한 의심도 있습니다. 배틀시 1200도정도 까지 가면 악셀에 스르르 힘이 빠집니다.
과연, 어차피 배기온센서에 노출되는 열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읽어들이는 형태가
온도게이지의 원리라고 알고 있고 센서자체는 전세계 표준값이 있어서 걱정이
없으나 다만 디스플레이인 저 게이지를 믿고 타야하는가 의심이 있습니다.
상황별 배기온을 알려주시면 보정하는데 도움이 될듯하니 도움 바랍니다. ^^
1200도가 실재 배기온이라면, 연료압레큘레이터를 조정하던가
(현재 아이들링시 3.5바) 그것도 안되면 촉매를 바꿔볼까 합니다.
PS: 연료압을 대충 감으로 조금올려도 문제가 없을까요?
PS2: 센서는 매니홀더 윗부분으로 엔진과 가깝습니다.
우선 제차를 먼저 까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시동즉시 : 600
2.워밍업 후 : 500~530
3.80-100 정속주행시 : 700
4.120이상 정속주행시 : 800
5.Y00 이상에서 가감속 배틀시: 1200도
배기온센서는 좋은놈이나, 게이지가 조금 싼놈으로 싼거라 믿지 못하는것 아닌가 하는
얄팍한 의심도 있습니다. 배틀시 1200도정도 까지 가면 악셀에 스르르 힘이 빠집니다.
과연, 어차피 배기온센서에 노출되는 열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읽어들이는 형태가
온도게이지의 원리라고 알고 있고 센서자체는 전세계 표준값이 있어서 걱정이
없으나 다만 디스플레이인 저 게이지를 믿고 타야하는가 의심이 있습니다.
상황별 배기온을 알려주시면 보정하는데 도움이 될듯하니 도움 바랍니다. ^^
1200도가 실재 배기온이라면, 연료압레큘레이터를 조정하던가
(현재 아이들링시 3.5바) 그것도 안되면 촉매를 바꿔볼까 합니다.
PS: 연료압을 대충 감으로 조금올려도 문제가 없을까요?
PS2: 센서는 매니홀더 윗부분으로 엔진과 가깝습니다.
2008.08.20 07:40:11 (*.67.233.70)
1200가 실온도라면...........문제가 좀 있는데요......? 근데 실온도가 1200까지 뜬다면 이미 엔진이 죽었을듯 한데요........?
2008.08.20 07:45:00 (*.155.138.208)

저는 터보차를 타고 있지 않은 입장이지만 순정이 아닌 튜닝상태라면 튜닝업체와 상담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배기온이라는게 게이지간의 오차도 있을 뿐더러 센서의 위치나 깊이에 따라 꽤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고 들었고 실제로 그런경우도 주위에서 보아왔습니다. 즉, 배기온센서작업을 한 작업자가 보았을 때 이 위치, 깊이의 배기온센서이면 몇도까지는 안전하다는 말 한마디면 되지않을까 싶습니다. 배기온수치의 절대값보다는 내차에만 적용되는 값(?)으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이상 다 아는 내용만 다시한번 짚어봤습니다. -_-
p.s 센서가 매니폴더 윗부분이라면 미세한 깊이에 따라서도 배기온이 100도정도는 그냥 왔다갔다 하더군요.
p.s 2 혹시 희재님 몇주전에 중부고속도로 하행선 3터널 부근에서 검정 구형아반떼랑 잠시 달리지 않으셨나요? ㅡㅡㅋㅋ
이상 다 아는 내용만 다시한번 짚어봤습니다. -_-
p.s 센서가 매니폴더 윗부분이라면 미세한 깊이에 따라서도 배기온이 100도정도는 그냥 왔다갔다 하더군요.
p.s 2 혹시 희재님 몇주전에 중부고속도로 하행선 3터널 부근에서 검정 구형아반떼랑 잠시 달리지 않으셨나요? ㅡㅡㅋㅋ
2008.08.20 09:55:04 (*.124.158.247)

애프터마켓용으로 나오는 베기온 센서의 경우 센서의 깊이는 다들 동일하지 않나요? 미세한 값의 오차 범위가 얼마정도인지 몰라서...
제 모빌의 경우
아이들링시 250도
정속주행시(100키로) 500
120키로 정속 주행시 600
y00이상 조질때 820도 정도입니다.
긴 오르막 코스를 계속 반복적으로 조질때 900도 가까이 올라가긴 하지만 그이상은
안올라가네요.
제 차량의 경우 동일 게이지에 인터쿨러 개선작업 및 스댕 메니폴더 작업전엔 거의 1000도 까지 육박하긴 했지만 현재는 850도 정도가 마지노선입니다.
1200도는 엔진도 엔진이지만 터빈이 먼저 죽어버릴거 같은데...
제 모빌의 경우
아이들링시 250도
정속주행시(100키로) 500
120키로 정속 주행시 600
y00이상 조질때 820도 정도입니다.
긴 오르막 코스를 계속 반복적으로 조질때 900도 가까이 올라가긴 하지만 그이상은
안올라가네요.
제 차량의 경우 동일 게이지에 인터쿨러 개선작업 및 스댕 메니폴더 작업전엔 거의 1000도 까지 육박하긴 했지만 현재는 850도 정도가 마지노선입니다.
1200도는 엔진도 엔진이지만 터빈이 먼저 죽어버릴거 같은데...
2008.08.20 11:16:04 (*.54.199.99)

전민근님 그게 저는 아닌것 같습니다. ^^
9-5 달리는차 보기 힘든데 (9-3가 많아요), 같이 달리셨나보군요
적어주신 회원분들 배기온을 보니
아이들링시 200도 정도 차이가 있군요.
정속주행은 100도 정도 차이가 있는것 같고.
튜너의 메일로는 max 1100~1200까지 괜챦다고 하나
에이 게이지를 한번 갈아보고, 다음에 촉매를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PS: 온도센서 공급업체 홈페이지들어가서 보니 이 센서의 측정범위가 0~ 1100도
이던데 어떻게 1200까지 디스플레이를 하는거지? 의문이 생깁니다. 땀나네요 ^^
9-5 달리는차 보기 힘든데 (9-3가 많아요), 같이 달리셨나보군요
적어주신 회원분들 배기온을 보니
아이들링시 200도 정도 차이가 있군요.
정속주행은 100도 정도 차이가 있는것 같고.
튜너의 메일로는 max 1100~1200까지 괜챦다고 하나
에이 게이지를 한번 갈아보고, 다음에 촉매를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PS: 온도센서 공급업체 홈페이지들어가서 보니 이 센서의 측정범위가 0~ 1100도
이던데 어떻게 1200까지 디스플레이를 하는거지? 의문이 생깁니다. 땀나네요 ^^
2008.08.20 11:30:49 (*.80.101.10)

보통 사용되는 K type thermocouple이면 1200℃까지 사용가능 할 것 같은데요. 그리고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게이지가 정확하게 표시되는지 기존에 알려져있는 온도(예컨대 끓는물)를 갖고 검증을 해보시면 어떨까요 ?
2008.08.20 16:57:53 (*.77.33.105)

오로지 수온.부스트게이지만 달고 3년째 과급차량 운행중 입니다. 1.2bar 피크 300마력 언저리구요.
5만킬로미터 주행한 3년된 올해 시점에 오버홀 한 번 해보자 해서 엔진 열었는데 너무나 상태가 좋아서 허탈하기까지 했습니다. 물론 그래도 피스톤과 각종베어링과 링도 교환했지만요. 제대로 세팅되었다면 걱정마시고 운행하셔도 될듯.
5만킬로미터 주행한 3년된 올해 시점에 오버홀 한 번 해보자 해서 엔진 열었는데 너무나 상태가 좋아서 허탈하기까지 했습니다. 물론 그래도 피스톤과 각종베어링과 링도 교환했지만요. 제대로 세팅되었다면 걱정마시고 운행하셔도 될듯.
2008.08.20 23:09:47 (*.54.199.99)

주변에서 그냥 신경끄고 살라 합니다. -.- 너무 민감한 건가요? ^^
전민근님 담에 벙개 있으면 함께 달려 봐요. 주변에 휠마력 200정도 되는
엘리사가 있는데 함께 달려보면 차들이 어느정도 있으면 추월하기가
그리 쉽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저도 예전에 아반떼 2.0 수동이 신혼차였어요. 그떄만 해도 흔치
않았었는데..밤에 혼자 경부나가서 지나가던 티뷰론을 따던(?) 기억이...^^
93 배틀기 어여 올려주세요..
전민근님 담에 벙개 있으면 함께 달려 봐요. 주변에 휠마력 200정도 되는
엘리사가 있는데 함께 달려보면 차들이 어느정도 있으면 추월하기가
그리 쉽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저도 예전에 아반떼 2.0 수동이 신혼차였어요. 그떄만 해도 흔치
않았었는데..밤에 혼자 경부나가서 지나가던 티뷰론을 따던(?) 기억이...^^
93 배틀기 어여 올려주세요..
2008.08.20 23:18:35 (*.13.72.177)
기억에 대충 센서 위치가 10cm 후방으로 갈 때 배기온이 100도씩 떨어지는 거 같습니다. 매니폴드에 30개쯤 꼽아놓고 동시에 재본 결과입니다. ^^ 당연히 센서팁은 파이프 중앙에 있어야 되구요.
2008.08.20 23:49:00 (*.98.213.35)

영철님이 디젤 터보업차량 저와 비슷한 처지라.. 휘발유와는 차이가 있지만..
올해초에 배기온 1000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무식하게 서킷을 달리다
터빈아웃되었지만...
현재 아이들링(예열완료) 200도 이하 정속주행 400도이하 고속주행Y주행시(한여름)
850도 정도 입니다. 일반공로맵핑일 경우입니다.
기태님 의견인 배기온센서의 위치와 깊이에따라 차이가 많이 나더군요..
올해초에 배기온 1000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무식하게 서킷을 달리다
터빈아웃되었지만...
현재 아이들링(예열완료) 200도 이하 정속주행 400도이하 고속주행Y주행시(한여름)
850도 정도 입니다. 일반공로맵핑일 경우입니다.
기태님 의견인 배기온센서의 위치와 깊이에따라 차이가 많이 나더군요..
2008.08.21 15:16:11 (*.175.255.89)

2.0L, 만 알피엠, 1.3바에 휠마력 450마력, 압축비 9:1
아무리 밟아도 배기온 800도이상 올라간적이 없네요. ^^
배기온 위치는 터보 바로 5cm후에 있습니다.
아무리 밟아도 배기온 800도이상 올라간적이 없네요. ^^
배기온 위치는 터보 바로 5cm후에 있습니다.
2008.08.21 15:21:48 (*.175.255.89)

근데 배기온 센서랑 게이지랑 다른 회사 제품을 쓰시는거 같은데요...
간혼 센서의 켈리버레이션이 조금 틀린경우가 있는데요..
확인해보세요~ ^^
간혼 센서의 켈리버레이션이 조금 틀린경우가 있는데요..
확인해보세요~ ^^
2008.08.21 15:35:58 (*.35.111.146)

염박사님 말씀처럼 열전대의 위치에 따라 측정온도가 많이 차이가 납니다. 음...하지만 아무리 상부라할지라도 섭씨1200도는 너무 높지않나 싶은데요. 센서켈리브레이션을 받아보시는게 제일 좋겠습니다만, 그런툴이 흔치않으니 재필님 말씀처럼 끓는물(증류수이용)로 100도에서의 벗어남정도를 일단 확인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여러점을 찍을 수 있다면 대략 선형화해서 얼마나 오차가 있나 볼 수도 있겠습니다만, 현실적으론 어려우니 100도에서의 편차라도 일단 확인해보시는게 어떨까 생각됩니다.
2008.08.21 16:38:59 (*.124.158.247)

배기온의 위치가 터보 바로 5센티 위이면 조금 이상한거 같은데요...보통 4기통 기준으로 4:1이나 4:2:1형태의 메니폴더라면 합쳐지는 부분에 보통 이식을 하는것으로 아는데...그지점에서 조금만 덜어져도 100도 정도는 차이가 나더군요...
2008.08.21 18:38:48 (*.140.146.177)

꽤 많이 높게 나오시는듯 한데요..
제 경우..
1.시동즉시 : 300
2.워밍업 후 : 400~500
3.80-100 정속주행시 : 600
4.120이상 정속주행시 : 600-700
5.Y00 이상에서 가감속 배틀시: 800-900도
6.극한의 풀가속 최고속모드 : 최대 920도
..정도입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보통 터보차도 웬만해선 1000도는 잘 안넘기는데요..
센서 위치가 일단 문제가 있거나 게이지 문제가 아닐까도 싶습니다..
..아니라면 차가 진짜 위험한걸지도 모르겠지만..
뭐 별 트러블 없다면 센서나 게이지 쪽 문제겠죠..
제 경우..
1.시동즉시 : 300
2.워밍업 후 : 400~500
3.80-100 정속주행시 : 600
4.120이상 정속주행시 : 600-700
5.Y00 이상에서 가감속 배틀시: 800-900도
6.극한의 풀가속 최고속모드 : 최대 920도
..정도입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보통 터보차도 웬만해선 1000도는 잘 안넘기는데요..
센서 위치가 일단 문제가 있거나 게이지 문제가 아닐까도 싶습니다..
..아니라면 차가 진짜 위험한걸지도 모르겠지만..
뭐 별 트러블 없다면 센서나 게이지 쪽 문제겠죠..
2008.08.22 01:13:55 (*.54.199.99)

많은 정보들 감사드립니다. 김광삼님 2번, 3번,4번은 같은데 그 이상이 다르군요
저는 게이지상 1100도 올리는것은 일도 아니라..
다른 센서 한번 써봐야 겠습니다.
다들 고맙습니다. ^^
저는 게이지상 1100도 올리는것은 일도 아니라..
다른 센서 한번 써봐야 겠습니다.
다들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