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지인과 얘기중 공회전과 연비에 관해 서로 다르게 알고있는듯 하여
제가 지금껏 잘못 알고 있었나 해서 질문 드려 봅니다.
저는 시동을 잘 안끄는 편 입니다.
예를들어 운행중 편의점에가서 담배를 사온다거나 부터
여친을 데리러 가서 기다릴때나
차안에서 잠시 얘기를 할때나.. 기타 등등
평균 5~10분정도 되겠네요 여름처럼 더워서 에어컨을 켜야할땐 20분 정도.
저는 당연히 5~10분정도의 공회전 보다
엔진이 한번 시동할때의 연료소모가 더 심하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당연히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었네요.
하지만 지인의 얘기는 시동걸때 연료소모가 아이들시 1분도 채 안되는 양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거의 시동을 바로바로 끄는 편이라고..
요새 연비관련 글들을 볼때 신호대기시 시동을 끈다는 내용이 있는 글들을 보며
좀 의아하기도 했는데.
저와 제 지인중 누가 맞게 생각하는 걸까요?
대략 "시동시 연료소모가 몇분의 공회전과 비슷하다"
라고 대답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차량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가장 대중(?)적인 휘발유 2리터 엔진으로 가정하겠습니다.
(연료타입과 배기량에 따라서도 변수가 되겠지요?)
제가 지금껏 잘못 알고 있었나 해서 질문 드려 봅니다.
저는 시동을 잘 안끄는 편 입니다.
예를들어 운행중 편의점에가서 담배를 사온다거나 부터
여친을 데리러 가서 기다릴때나
차안에서 잠시 얘기를 할때나.. 기타 등등
평균 5~10분정도 되겠네요 여름처럼 더워서 에어컨을 켜야할땐 20분 정도.
저는 당연히 5~10분정도의 공회전 보다
엔진이 한번 시동할때의 연료소모가 더 심하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당연히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었네요.
하지만 지인의 얘기는 시동걸때 연료소모가 아이들시 1분도 채 안되는 양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거의 시동을 바로바로 끄는 편이라고..
요새 연비관련 글들을 볼때 신호대기시 시동을 끈다는 내용이 있는 글들을 보며
좀 의아하기도 했는데.
저와 제 지인중 누가 맞게 생각하는 걸까요?
대략 "시동시 연료소모가 몇분의 공회전과 비슷하다"
라고 대답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차량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가장 대중(?)적인 휘발유 2리터 엔진으로 가정하겠습니다.
(연료타입과 배기량에 따라서도 변수가 되겠지요?)
2008.08.22 11:33:51 (*.150.0.242)

어디서 들은 것인데... 아이들링 시 2분인가가 넘어서면 오히려 시동을 끄는 것이 더 좋다고 합니다. 저는 그래서 신호 대기가 길어질 듯 하면 바로 꺼 줍니다. 연비왕이 된 분의 기름 절약법에도 나와있더군요.
2008.08.22 12:45:15 (*.223.209.53)

일반적인 상황에서 시동을 한 번 켤때의 연료 소모량은 공회전을 7~10초정도 돌릴 때의 연료 소모량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전 혼자 타고 다닐 때는 신호 대기를 위해 정차시 항상 시동을 끕니다. 출처는 한국 과학 재단 국책 연구 본부장 정동수 박사님의 '차세대 자동차 기술 전망'이란 세미나입니다. 제발 시동 좀 꺼달라고 외치시더군요^^ 걸리는 점은 시동 모터, 배터리의 과부하등인데 제겐 앞의 두 놈보다 기름값이 더 중요한지라 신경쓰지 않습니다.
2008.08.22 12:45:31 (*.18.80.54)
30초라고 들었습니다. 시동 한번시 30초정도의 공회전과 같다고 자주끄는것도 안좋지만 30초이상시에는 끄는게 낫다고 합니다.
2008.08.22 13:00:10 (*.117.99.154)
여튼 조금만 길게 서있게되면 무조건 시동끄는게 100% 이익입니다.^^
저는 도로주행도중에 신호대기등에는 시동을 끄지않지만(시동 다시켜면 오디오가 리셋되면서 듣고있던 라디오/음악들이 그냥 끊겨버려서...;;;) 정차해서 누굴 기다리거나하면 그냥 꺼버리죠.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재시동시 연료소모가 공회전 5분보다 많다는건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시지않나요;;;;;;;;;
저는 도로주행도중에 신호대기등에는 시동을 끄지않지만(시동 다시켜면 오디오가 리셋되면서 듣고있던 라디오/음악들이 그냥 끊겨버려서...;;;) 정차해서 누굴 기다리거나하면 그냥 꺼버리죠.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재시동시 연료소모가 공회전 5분보다 많다는건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시지않나요;;;;;;;;;
2008.08.22 14:09:34 (*.104.213.3)

답변 감사합니다.
한평생을 잘못 알고 살아왔네요 ㅡㅡ
시동시 예상보다도 훨씬 적은 연료량에 놀랐습니다.
저도 바로바로 끄는 습관을 길러야 겠습니다^^
한평생을 잘못 알고 살아왔네요 ㅡㅡ
시동시 예상보다도 훨씬 적은 연료량에 놀랐습니다.
저도 바로바로 끄는 습관을 길러야 겠습니다^^
2008.08.22 17:36:05 (*.236.17.123)
문득 옛 추억이 생각납니다.
온 동네 엘리베이터에 '닫힘'버튼이 작동이 안되던 그시절...^^;;
개인적으로는 많은 의구심을 품고 있었지만
'티비에 나왔다니깐!!' 이라는 한마디에 끽소리 못했었지요..ㅜㅜ
온 동네 엘리베이터에 '닫힘'버튼이 작동이 안되던 그시절...^^;;
개인적으로는 많은 의구심을 품고 있었지만
'티비에 나왔다니깐!!' 이라는 한마디에 끽소리 못했었지요..ㅜㅜ
2008.08.22 17:55:54 (*.146.19.172)

엘리베이터는 정말 어떨까요?
여러군데에서 나온 말들은.... 닫힘버튼을 누르는것 자체가 전기를 더 소모한다고 했는데 이해가 안가는 부분입니다. 사람이 닫힘을 누르건 엘리베이터 컨트롤러가 닫힘신호를 줘서 닫히건 어차피 같은 동작 아닐까 해서요. 단지 닫힘버튼을 먹통으로 만들면 아무래도 문이 닫히다 열리고 하는것이 줄어들어 사람들이 그냥그냥 천천히 여유있게 엘리베이터를 쓰게 되서 전기를 아끼는것 같은데요^^ 정답은 무엇일까요?
여러군데에서 나온 말들은.... 닫힘버튼을 누르는것 자체가 전기를 더 소모한다고 했는데 이해가 안가는 부분입니다. 사람이 닫힘을 누르건 엘리베이터 컨트롤러가 닫힘신호를 줘서 닫히건 어차피 같은 동작 아닐까 해서요. 단지 닫힘버튼을 먹통으로 만들면 아무래도 문이 닫히다 열리고 하는것이 줄어들어 사람들이 그냥그냥 천천히 여유있게 엘리베이터를 쓰게 되서 전기를 아끼는것 같은데요^^ 정답은 무엇일까요?
2008.08.22 18:44:10 (*.162.58.20)

엘리베이터는 빨리 닫으면 다른사람이 못타서 생기는 낭비를
막으려고 하는것 같아 보입니다. ^^
저도 기름이 얼마 안남아 간당 간당 할때는 가끔 시동을 끄고 싶지만
노후된 차량을 타다보니 시동이 안걸릴까봐 엄두를 못내고 있네요
막으려고 하는것 같아 보입니다. ^^
저도 기름이 얼마 안남아 간당 간당 할때는 가끔 시동을 끄고 싶지만
노후된 차량을 타다보니 시동이 안걸릴까봐 엄두를 못내고 있네요
2008.08.22 19:02:18 (*.20.190.39)
엘레베이터는 닫힘 버튼을 사용 못하게 함으로써, 운행횟수를 줄여 전기를 절약 하는 방식이라더군요... 한마디루 속고 살은 겁니다.
2008.08.22 19:14:20 (*.135.228.60)

시동을 끄거나 걸어도 AV는 끊김없이 그대로 나오는 차들만 타다보니... 신호체계를 잘 아는(주로 집 근처) 곳에서는 가끔 끄기도 합니다.
근데 시동을 껐는데 앞차가 1m정도 가버리면, 좀 난감하죠^^;
근데 시동을 껐는데 앞차가 1m정도 가버리면, 좀 난감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