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아래 글 올렸는데.. 아직 속시원한 답을 얻지 못했네요...
가속시에 엑셀량을 약 40% 로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가속을 하고 싶은 경우에, 항상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예를들어,
3단으로 고정 시켜 놓고 엑셀량 40% 고정을 하면, 약 2000rpm 부터 부스트가 조금씩 차오르고 그에 맞게 가속이 됩니다.
2500rpm 을 넘어서면서 부터 부스트가 거의 최대치에 도달을 하게 되는데 약 2800rpm 부근쯤 도달하면 부스트는 최대치에 고정되어있고 가속이 갑자기 턱 하면서 막히는 느낌이 듭니다. 터보차처럼 가속이 되다가 갑자기 NA 차 타는 느낌으로 바뀐다고 해야하나요?
가속이 갑자기 안되다가 계속 엑셀량을 유지하면 rpm이랑 속도가 꾸준히 오르다가 3000~3200rpm 부근에서 급작스럽게 차가 튀어나갑니다.. 터보랙과는 차원이 다르며, 거의 급발진 수준입니다..
연료를 안쏘다가 갑자기 퍼붓는느낌 같이 느껴지기도 하구요...
그래서 차선변경시에 가속할때 앞에 차가.있으면 무섭네요....
소리마저도 우우우우~ 하다가 갑자기 와아앙 하네요...
세타엔진이고요... 가변식캠따위는 없는데 말입니다..
엑셀량 확인 해보아도 유지가 잘 되고있는데 차만 저렇게 나갑니다...
사실 스로틀 개도량이 갑자기 저렇게 바뀔것 같지도 않고, 부스트게이지가 스로틀바디와 엔진사이(흡기서지) 쪽에 달려있어서 부스트 문제는 아닌것 같습니다..
심지어 부스트가 0에서부터 점점 올라갈때 더 가속력이 좋습니다.
연료맵의 문제인가요?
아니면 하드웨어적 문제라고 봐야하나요?
터빈은 K5 TGDI 터빈입니다.
차량은 yf 소나타 세타엔진이며 압축비작업(신쿱용피스톤 컨로드) 되어있습니다..
고수분들의 고견을 듣고싶습니다..
도와주세요
아래 글 올렸는데.. 아직 속시원한 답을 얻지 못했네요...
가속시에 엑셀량을 약 40% 로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가속을 하고 싶은 경우에, 항상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예를들어,
3단으로 고정 시켜 놓고 엑셀량 40% 고정을 하면, 약 2000rpm 부터 부스트가 조금씩 차오르고 그에 맞게 가속이 됩니다.
2500rpm 을 넘어서면서 부터 부스트가 거의 최대치에 도달을 하게 되는데 약 2800rpm 부근쯤 도달하면 부스트는 최대치에 고정되어있고 가속이 갑자기 턱 하면서 막히는 느낌이 듭니다. 터보차처럼 가속이 되다가 갑자기 NA 차 타는 느낌으로 바뀐다고 해야하나요?
가속이 갑자기 안되다가 계속 엑셀량을 유지하면 rpm이랑 속도가 꾸준히 오르다가 3000~3200rpm 부근에서 급작스럽게 차가 튀어나갑니다.. 터보랙과는 차원이 다르며, 거의 급발진 수준입니다..
연료를 안쏘다가 갑자기 퍼붓는느낌 같이 느껴지기도 하구요...
그래서 차선변경시에 가속할때 앞에 차가.있으면 무섭네요....
소리마저도 우우우우~ 하다가 갑자기 와아앙 하네요...
세타엔진이고요... 가변식캠따위는 없는데 말입니다..
엑셀량 확인 해보아도 유지가 잘 되고있는데 차만 저렇게 나갑니다...
사실 스로틀 개도량이 갑자기 저렇게 바뀔것 같지도 않고, 부스트게이지가 스로틀바디와 엔진사이(흡기서지) 쪽에 달려있어서 부스트 문제는 아닌것 같습니다..
심지어 부스트가 0에서부터 점점 올라갈때 더 가속력이 좋습니다.
연료맵의 문제인가요?
아니면 하드웨어적 문제라고 봐야하나요?
터빈은 K5 TGDI 터빈입니다.
차량은 yf 소나타 세타엔진이며 압축비작업(신쿱용피스톤 컨로드) 되어있습니다..
고수분들의 고견을 듣고싶습니다..
도와주세요
2016.01.29 11:49:00 (*.101.85.219)
매핑문제인듯 합니다. 매핑을 할때는 부스트가 차지않을때와
풀드로틀 상태에서 매핑을 우선하고나서
하프드로틀 상태 맵을 수정하지요.
풀 드로틀 상태에서는 크게 문제가 없다고 지난번 글에서
본것같습니다.
아무래도 말씀하신 구간에서 노킹이 발생을 하거나
연료량이 과다한듯 합니다.
노킹이 발생해서 녹 센서가 이를감지... ECU가 점화
타이밍 지각시키면서 출력이 급격히 빠지고 노킹이
해소되면 다시 점화타이밍을 지각시킬경우...
또는 그 구간에서 연료량이 과다하게 들어간다던지...
혹시 배기온 게이지가 있는지요?
전자의 경우라면 배기온이 급격히 높아지고,
후자의 경우라면 배기온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풀드로틀 상태에서 매핑을 우선하고나서
하프드로틀 상태 맵을 수정하지요.
풀 드로틀 상태에서는 크게 문제가 없다고 지난번 글에서
본것같습니다.
아무래도 말씀하신 구간에서 노킹이 발생을 하거나
연료량이 과다한듯 합니다.
노킹이 발생해서 녹 센서가 이를감지... ECU가 점화
타이밍 지각시키면서 출력이 급격히 빠지고 노킹이
해소되면 다시 점화타이밍을 지각시킬경우...
또는 그 구간에서 연료량이 과다하게 들어간다던지...
혹시 배기온 게이지가 있는지요?
전자의 경우라면 배기온이 급격히 높아지고,
후자의 경우라면 배기온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2016.01.29 18:51:43 (*.101.85.148)

처음부터 그러신건가요?
아니면 최근에 이런 문제가 발생했나요?
원인은 다를수 있지만 일단 매핑한 업체부터 찾아가는게 최우선일거 같습니다
아니면 최근에 이런 문제가 발생했나요?
원인은 다를수 있지만 일단 매핑한 업체부터 찾아가는게 최우선일거 같습니다
2016.01.30 11:46:20 (*.101.85.235)
세타는 기본적으로 최소 vvt일텐데요?
오버랩을 건드리지 않아서 생각외로 과도한 공기량이 들어와서 초킹 걸려서 부스트는 높아도 공기가 제대로 안 들어가는것일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원래부터 이런현상이 없었다면 하드웨어 문제일 가능성이 높거나 이계진님 말이 맞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오버랩을 건드리지 않아서 생각외로 과도한 공기량이 들어와서 초킹 걸려서 부스트는 높아도 공기가 제대로 안 들어가는것일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원래부터 이런현상이 없었다면 하드웨어 문제일 가능성이 높거나 이계진님 말이 맞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2016.01.30 12:56:06 (*.101.85.150)
이교범님 말씀대로 VVT를 간과할수 없습니다.
현재 사용하시는 연료
하드웨어 세팅상태 등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할것 같습니다.
VVT로직이 제대로 동작하도록
매핑이 되었는지 여부...
또는 MAP센서를 와이드밴드로
교체하시면서 발생되는 문제여부...
등등 종합적인 점검이 필요해보입니다.
자연흡기상태에서는 MAP센서의
범위가 대기압(0 bar) 부터 -0.5 bar 구간을
감지하여 ECU로 정보를 보내줍니다.
이 정보는 ECU에 따라 8단계 또는 16단계로
나누어져 인지하게 되는데요..
터보를 인스톨하면서 MAP센서를 교체하여
-0.5bar 에서 최대 2.0 bar 까지를 표현해준다고
하면 기존 0.5바의 범위를 8단계로 표현히는것이
2.5바를 8단계로 표현하게 됩니다.
측정 정밀도가 딸어질뿐더러, 쓰로틀 개도량과
연관성이 높은 부분에 대해서 매핑이 잘못된듯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연료량 부족으로 실화하면서
엔진이 Fail safe 모드로 동작합니다.
점화타이밍을 뒤로 한참 늦추지요...
아무래도 매핑한 샵을 재방문 하시던지
다름 실력있는 샵을 새로찾으시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현재 사용하시는 연료
하드웨어 세팅상태 등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할것 같습니다.
VVT로직이 제대로 동작하도록
매핑이 되었는지 여부...
또는 MAP센서를 와이드밴드로
교체하시면서 발생되는 문제여부...
등등 종합적인 점검이 필요해보입니다.
자연흡기상태에서는 MAP센서의
범위가 대기압(0 bar) 부터 -0.5 bar 구간을
감지하여 ECU로 정보를 보내줍니다.
이 정보는 ECU에 따라 8단계 또는 16단계로
나누어져 인지하게 되는데요..
터보를 인스톨하면서 MAP센서를 교체하여
-0.5bar 에서 최대 2.0 bar 까지를 표현해준다고
하면 기존 0.5바의 범위를 8단계로 표현히는것이
2.5바를 8단계로 표현하게 됩니다.
측정 정밀도가 딸어질뿐더러, 쓰로틀 개도량과
연관성이 높은 부분에 대해서 매핑이 잘못된듯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연료량 부족으로 실화하면서
엔진이 Fail safe 모드로 동작합니다.
점화타이밍을 뒤로 한참 늦추지요...
아무래도 매핑한 샵을 재방문 하시던지
다름 실력있는 샵을 새로찾으시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