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01년산 SM520 입니다. 12만 뛰었습니다.
3년전 6만정도 뛰었을 때 배터리를 새로 교환하고 지금 3년째 배터리를 쓰고 있는데, 오늘 차를 쓰려고 보니 리모콘으로 도어잠금해제가 안되어 배터리 방전임을 직감하고 시동키를 ON해보니 아무 등도 들어오지 않습니다.
천장의 실내등 스위치를 보니 아니나 다를까 ON으로 되어 있습니다. 아내가 2-3일전 차를 쓰고 실내등을 on한 채로 내렸나봅니다. (애기들이 있어서 애기들이 그렇게 한 것을 아내가 체크 못한 것 같다고 하네요 -_-)
보험사 긴급출동을 불러 출장기사님이 배터리 점프선 연결 후 시동키를 돌리는데 아무런 반응이 없습니다. 배터리를 점프한 뒤 제 차의 각종 경고등, 실내등, 시계등이 들어오는 것으로 봐서는 제대로 점프된 것 같은데 시동키를 돌려도 스타트 모터가 돌아가지를 않습니다.
기사님이 수차례 시도해보다가 결국 난감해하시며 항복하시네요. 아무래도 방전 문제같은데 이해가 안된다고 하십니다. 할 수 없이 돌아가시라고 했습니다.
제 경우 배터리 외에 다른 문제가 있을 수 있을까요? 설령 배터리 수명이 다 되었다고 해도 정상배터리를 점프시킨 상태에서는 일단 시동을 걸려야 하지 않습니까?
여러분의 조언을 들어보고 내일 카센타에 가던 조치를 할 생각입니다...
01년산 SM520 입니다. 12만 뛰었습니다.
3년전 6만정도 뛰었을 때 배터리를 새로 교환하고 지금 3년째 배터리를 쓰고 있는데, 오늘 차를 쓰려고 보니 리모콘으로 도어잠금해제가 안되어 배터리 방전임을 직감하고 시동키를 ON해보니 아무 등도 들어오지 않습니다.
천장의 실내등 스위치를 보니 아니나 다를까 ON으로 되어 있습니다. 아내가 2-3일전 차를 쓰고 실내등을 on한 채로 내렸나봅니다. (애기들이 있어서 애기들이 그렇게 한 것을 아내가 체크 못한 것 같다고 하네요 -_-)
보험사 긴급출동을 불러 출장기사님이 배터리 점프선 연결 후 시동키를 돌리는데 아무런 반응이 없습니다. 배터리를 점프한 뒤 제 차의 각종 경고등, 실내등, 시계등이 들어오는 것으로 봐서는 제대로 점프된 것 같은데 시동키를 돌려도 스타트 모터가 돌아가지를 않습니다.
기사님이 수차례 시도해보다가 결국 난감해하시며 항복하시네요. 아무래도 방전 문제같은데 이해가 안된다고 하십니다. 할 수 없이 돌아가시라고 했습니다.
제 경우 배터리 외에 다른 문제가 있을 수 있을까요? 설령 배터리 수명이 다 되었다고 해도 정상배터리를 점프시킨 상태에서는 일단 시동을 걸려야 하지 않습니까?
여러분의 조언을 들어보고 내일 카센타에 가던 조치를 할 생각입니다...
2008.08.25 22:57:11 (*.252.237.160)

차종은 다릅니다만, 99년에 비슷하게 전기는 동작하는데 스타터만 돌지 않는 상황을 맞은 적이 있었습니다. 정비지침서 들고 헤매다가 스타터의 마그네틱쪽 배선을 어루만져서 잘 꽂아준 후에 그냥 되었었죠. -_-;;;
2008.08.26 00:35:27 (*.245.132.153)

완전방전 상태면 점프해서 한 5분정도는 충전을..... 예전에 한번 당해봐서....당황스럽지요.... 다른장치는 회복하는데.... 순간 전력을 사용해야하는 스타터만큼은 좀 기다려야 합니다.
2008.08.26 01:04:14 (*.175.215.122)

베터리가 과방전되어 0v라면 점프해도 잘 안걸립니다.
12v베터리를 0v 베터리에 점프하면 두 베터리 전압은 같은 수준이 되는 6v가 되므로
시동이 안 걸리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최소 10v는 나와야....
12v베터리를 0v 베터리에 점프하면 두 베터리 전압은 같은 수준이 되는 6v가 되므로
시동이 안 걸리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최소 10v는 나와야....
2008.08.26 01:05:05 (*.58.156.47)

최태웅님 리플에 한표 던져 봅니다. 카니발1 탈적에(배터리가 100암페어) 방전이 됐는데, 보험사출동 불렀더니 점프할 수 있는 배터리가 없더군요. 결국 타고온 갤로퍼(그나마 다행히 갤로퍼 타고 오셨기 망정)로 풀악셀로 직결해서 겨우 걸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것도 안돌아갈 듯 하면서 겨우 돌아갔었지요. 이런 경우는 좀 특이한 경우입니다만 완전 방전되었다면 어느정도 충전시키고 해보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2008.08.26 08:52:28 (*.80.101.10)

태웅님과 주영님 리플에 백표 던져봅니다.
2년전 겨울에 회사 동료의 카니발이 완전 방전되어 제차로 점프를 시도하다가 제차 시동까지 꺼질뻔했지만 시동모터의 구동도 어렵더군요. 때마침 그 옆을 지나가던 스타렉스타는분이 내려서 더 굵은 점프선으로 점프를 시도했지만 스타트 모터에서 틱틱 거리기는 하지만 역시 시동은 안걸리고.. 견인차가 와서 다시 시도했지만 못하고 결국 견인해가서 새 배터리를 끼우니까 시동이 걸리더라구요. ㅎ.ㅎ
또 한가지 마트등에서 파는 굵기가 얇은 저렴한 점프선을 사용했을 때 전류량이 적은 승용차는 괜찮지만 SUV등을 점프할때는 발열이 상당하더라구요. 고무선을 굵어도 실제 구리선은 무지 얇은 것들이 있으니 잘보시고 구입하셔야 합니다.
2년전 겨울에 회사 동료의 카니발이 완전 방전되어 제차로 점프를 시도하다가 제차 시동까지 꺼질뻔했지만 시동모터의 구동도 어렵더군요. 때마침 그 옆을 지나가던 스타렉스타는분이 내려서 더 굵은 점프선으로 점프를 시도했지만 스타트 모터에서 틱틱 거리기는 하지만 역시 시동은 안걸리고.. 견인차가 와서 다시 시도했지만 못하고 결국 견인해가서 새 배터리를 끼우니까 시동이 걸리더라구요. ㅎ.ㅎ
또 한가지 마트등에서 파는 굵기가 얇은 저렴한 점프선을 사용했을 때 전류량이 적은 승용차는 괜찮지만 SUV등을 점프할때는 발열이 상당하더라구요. 고무선을 굵어도 실제 구리선은 무지 얇은 것들이 있으니 잘보시고 구입하셔야 합니다.
2008.08.26 09:54:49 (*.133.223.166)

점프선을 굵은 걸로 해보시기 바랍니다. 제 경우 코란도밴이 완전방전(키 꼽아도 전혀 경고등도 안들어옴) 돼서 배터리 큰 걸로 점프했는데 꿈쩍도 안하더군요. 다시 점프선 굵은 걸로 점프하니까 한 방에 걸렸습니다.
2008.08.26 10:34:24 (*.58.156.47)

전에 중국제 점프선 잘라낸거 보니까 고무두께는 1센티가까이, 구리전선은 두께 2미리도 채 안 되는 것이 많더군요. 모 마트에서 팔던 제품이었습니다 ㅋㅋㅋㅋㅋ.
특히 디젤은 전용의 굵은 제품이 아니면 걸리지도 않습니다. 특히 승용으로 많이 팔린 현대기아 2.9 J디젤엔진..
특히 디젤은 전용의 굵은 제품이 아니면 걸리지도 않습니다. 특히 승용으로 많이 팔린 현대기아 2.9 J디젤엔진..
2008.08.26 21:48:59 (*.94.1.37)
제가 글을 남긴것 같았는데 엔터를 안했었나보네요...ㅎㅎ
점프하시고 상대차량을 공회전으로 두시면 충전이 잘 안됩니다.. 이유는 발전성능이 공회전시에는 떨어져서 그 차에도 남는 전력이 별로 없기때문이죠.. 따라서 상대차량의 RPM을 3~4천으로 높히고 난뒤에 1~2분 후에 시동을 걸어보세요... 굵은 케이블이 좋지만.. 굳이 중복구매를 할필요는 그리 많지 않구여... 어차피 어쩌다 한번이라면 RPM을 높혀서 해보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저희형차가 오래 주차되어서 동일했고, 긴급출동기사도 못하고 간것을 제가 얇은 중국산 점프 케이블로 RPM높혀서 걸어줬답니다...^^)
점프하시고 상대차량을 공회전으로 두시면 충전이 잘 안됩니다.. 이유는 발전성능이 공회전시에는 떨어져서 그 차에도 남는 전력이 별로 없기때문이죠.. 따라서 상대차량의 RPM을 3~4천으로 높히고 난뒤에 1~2분 후에 시동을 걸어보세요... 굵은 케이블이 좋지만.. 굳이 중복구매를 할필요는 그리 많지 않구여... 어차피 어쩌다 한번이라면 RPM을 높혀서 해보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저희형차가 오래 주차되어서 동일했고, 긴급출동기사도 못하고 간것을 제가 얇은 중국산 점프 케이블로 RPM높혀서 걸어줬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