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현재 06년식 뉴싼타페 4wd가 있습니다.
구입하자마자 고성능의(?) 3.0엔진을 장착한 베라크루즈가 나와
엄청난 복통을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20"로의 인치업과
약간의 서스펜션 수정을 생각하는 현 시점에서
출력에 대한 목마름으로 ecu 튠을 생각도 했지만
무엇인가 더 안정적인 것을 찾다
스마트 디젤 이라는 상당히 매력적인 아이템을 알게되었습니다.
어짜피 지난 워런티 기간
그냥 안정적인 데이터를 구축하고 있는 곳에서의
ECU 튠을 해야할지 (60~70 여만원!!)
아니면 스마트 디젤로 갈 것인지...
큰 폭의 출력 증가를 기대하는 것도 아닌 상태에서
연비모드와 파워모드 등이 있다고하는데
혹시 스마트 디젤에 대해 아시는 바가 있으신지 글을 올려봅니다.
구입하자마자 고성능의(?) 3.0엔진을 장착한 베라크루즈가 나와
엄청난 복통을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20"로의 인치업과
약간의 서스펜션 수정을 생각하는 현 시점에서
출력에 대한 목마름으로 ecu 튠을 생각도 했지만
무엇인가 더 안정적인 것을 찾다
스마트 디젤 이라는 상당히 매력적인 아이템을 알게되었습니다.
어짜피 지난 워런티 기간
그냥 안정적인 데이터를 구축하고 있는 곳에서의
ECU 튠을 해야할지 (60~70 여만원!!)
아니면 스마트 디젤로 갈 것인지...
큰 폭의 출력 증가를 기대하는 것도 아닌 상태에서
연비모드와 파워모드 등이 있다고하는데
혹시 스마트 디젤에 대해 아시는 바가 있으신지 글을 올려봅니다.
2008.09.08 21:03:59 (*.178.3.174)

^^ 저도 제목만 보고는 스마트 디젤(?)을 말씀하시는줄 알았습니다..
차가 아니라 이슈 맵핑 처럼 보조이슈를 말씀하시는거 같은데요..
주변 분들의 의견이 분분하더군요 괜찮다와 별로다...
장착하신분들 차량을 한번 타보시고 판단을 하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차가 아니라 이슈 맵핑 처럼 보조이슈를 말씀하시는거 같은데요..
주변 분들의 의견이 분분하더군요 괜찮다와 별로다...
장착하신분들 차량을 한번 타보시고 판단을 하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2008.09.08 21:33:55 (*.12.196.35)

다른 것보다 연료레일 압력을 올리는 것 때문에 연료펌프 수명이 짧아진다는 정도는 알아두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연료펌프 교체비용도 감안하시고요.
2008.09.09 01:10:51 (*.98.187.226)
저는 개인적으로 SUV를 달리기 위해 개조하는 것에 대해서 참 반대입니다. 저도 뉴싼타페 2wd를 2년정도 몰고있는데요 150km이상에서 조금만 균형을 잃어도 전복으로 이어지기 참 쉬운 차량이며 중량대비 A필러의 강성을 믿을만 하지도 못하고, 150km에서 바운딩되면 거의 전원사망이 되는 차량이라는 생각이 들고 나니 함부로 못 밟겠더군요....
SUV는 분명 운전이 편하고, 디젤이라 힘이 넘치고, 실내 공간이 넓지만 전 앞으로 달리기를 위해서라면 SUV 말고 다른 차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SUV는 분명 운전이 편하고, 디젤이라 힘이 넘치고, 실내 공간이 넓지만 전 앞으로 달리기를 위해서라면 SUV 말고 다른 차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2008.09.09 01:23:43 (*.143.37.254)
ECU 튜닝은 본인이 밟거나 않밟거나 할때 부하가 상당히 많이 걸립니다. 스로틀 각도 변환도 심하구요. 대신 스마트 디젤의 경우 연료쪽 컨트롤로 순간 마력을 볼수 있죠.. 스캔게이지를 달고 있는데 부하량 체크를 해보면 동일엔진 다른차량의 경우 ECU튠을 했는데 부하가 상당히 많이 걸립니다. 제 차량은 스마트만 했는데 부하량은 훨씬 적습니다. 주위에서 수도없는 분들이 많이 하셧는데 불만은 아직? 들어본적 없습니다. 분명 효과 있고 연비 모드도 있어 시내주행때는 유용합니다. 대신 파워 1모드나 2모드일때는 변속 충격이 없으나 연비 모드일경우 변속충격이 좀 있습니다. 변속 딜레이 현상 떄문에 일어나더군요.
그리고 파뭐 2모드일때 풀~가속일때 변속의 마지막 부분에서 잠깐? 멈칫 하는게 있습니다. 연료 컷과 관련있다 하는데 별 이상 없이 타고있습니다. 가격대비 성능 편의성 내구성 등등 좋은 놈이죠.
그리고 파뭐 2모드일때 풀~가속일때 변속의 마지막 부분에서 잠깐? 멈칫 하는게 있습니다. 연료 컷과 관련있다 하는데 별 이상 없이 타고있습니다. 가격대비 성능 편의성 내구성 등등 좋은 놈이죠.
2008.09.09 07:54:41 (*.138.148.13)

명호님이 적어주신 글이 정말 스마트 디젤을 장착한 모든분들이 생각하는 그런 말들인거 같아 정말 동감합니다^^ 저 또한 스마트 디젤을 장착하고 있고요~
저의 생각도 가격대비 성능 편의성 내구성 참 괜찮은 녀석이라는 말씀 드리고 싶네요^^
저의 생각도 가격대비 성능 편의성 내구성 참 괜찮은 녀석이라는 말씀 드리고 싶네요^^
2008.09.09 18:50:57 (*.64.164.3)
답변 감사합니다!
일단 스마트디젤과 스마트디젤 (?) 을 헷갈리게 해서 죄송합니다 ㅋㅋ
과하게 달릴려는 생각은 없구요
롤링을 줄이고자 서스팬션을 손좀 보려는 참이었습니다^^
매연 또한 스마트 디젤이나 훌륭한 ECU셋팅시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슬슬 시작해야 겠군요! ㅎㅎ
일단 스마트디젤과 스마트디젤 (?) 을 헷갈리게 해서 죄송합니다 ㅋㅋ
과하게 달릴려는 생각은 없구요
롤링을 줄이고자 서스팬션을 손좀 보려는 참이었습니다^^
매연 또한 스마트 디젤이나 훌륭한 ECU셋팅시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슬슬 시작해야 겠군요! ㅎㅎ
2008.09.09 22:15:52 (*.170.184.67)
이런 류의 전기적 신호를 속이는 튜닝을 한 후 부하가 낮게 나오는것은 정상적인 정보가 아닙니다. 연료가 ECU가 계산한 연료량보다 많이 나가기 때문에 부하가 낮게 나오는거죠. 낮게 나온다고 더 좋은것은 아닙니다.
2008.09.10 00:01:30 (*.234.208.112)

저의 경우 말씀하신 스마트 디젤이나 CRDI-XXX 등의 보조 ECU류 주변 지인들이 장기간 사용한결과 장착할게 못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습니다. (스마트디젤은 초기에 문제가 있었던것을 많이 개량했다고 들었습니다) 출력향상모드로 장시간 사용시 고압펌프쪽에 과도한 부하를 준다는것이 문제입니다.
출력모드로 사용하던 지인들은 고압펌프파열이나 터빈파손으로 이어진 사례가 있으며
연비모드로 사용하던 저는 수동차량에서 시동꺼짐을 경험한적도 있습니다.
지금은 탈거후 중고로 팔아버리고 ECU 매핑하였습니다.
출력모드로 사용하던 지인들은 고압펌프파열이나 터빈파손으로 이어진 사례가 있으며
연비모드로 사용하던 저는 수동차량에서 시동꺼짐을 경험한적도 있습니다.
지금은 탈거후 중고로 팔아버리고 ECU 매핑하였습니다.
2008.09.10 21:30:14 (*.49.26.10)
디젤 커먼레일 고압펌프의 경우 시동을 건 순간부터 시동을 끄기 전까지는 항상 RPM 에 비례해서 동작합니다. ECU 맵핑을 했든, 보조 ECU 를 장착을 했든 동일 RPM 이라면 파워펌프는 똑같은 속도로 돌고 있습니다. 튜닝을 했다고 해서 파워펌프가 무리가 갔다기보다는 잦은 고알피엠 운전을 했거나 펌프류에 치명적인 기포 등이 발생(연료가 부족한 상태에서 과도한 주행 등)할 경우 수명이 단축됩니다. 연료가 부족한 상태로 잦은 운전을 할 경우 연료펌프가 쉽게 고장날 수 있는 것과 같다고 봅니다.
2010.10.24 23:28:10 (*.150.22.38)
세월이 지났으니 이즈음엔 생활용품으로 쓸겁니다. 이제보니 상당히 편견에 사로잡힌 답변이 많았군요 2년 전에는 ....
마치 완성차 업계의 대변인이라도 되는양.....ㅋㅋㅋ
다임러 크라이슬러는 최근 곧 출시될 신형 스마트 포투 디젤모델의 스펙을 발표했다.
신형 스마트 디젤모델에는 CDI(직분사 방식 커먼레일) 엔진을 개량한 신형 디젤엔진이 탑재됐다. 이 엔진은 배기량 800cc급으로 경량화를 꾀해 중량을 86kg으로 낮췄다.
이에따라 연비도 리터당 30km로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카의 리터당 23.2km보다 6.8km가 높으며 최고출력과 최대토크도 10%가 향상됐다.
신형 스마트 디젤은 최고속도가 시속 135km,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출발가속력이 19.8초로 순발력도 매우 탁월하다.
차체크기는 길이 2895mm, 넓이 1559mm, 높이 1542mm이며 차량중량은 780kg(카브리올레는 820 kg)이다.
다임러 크라이슬러는 주행거리 1km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88g으로 세계에서 가장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모델이라고 밝히고 있다.
출처 : 오토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