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아는 후배의 고민을 상담 받아주고 있는데
현대자동차의 디젤엔진(HD 1.6VGT)이라서
지식의 부족함을 절실히 느끼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곳에 조언을 구하고자 질문을 올리게 되었네요..
목표마력을 다이노 상에서 130~140을 잡고 있던데
그럴 경우 터빈 업글을 반드시 해야 하는지요?
그러면 부스트랙은 어느정도 커지는지요..
터빈업글 없이 그냥 인터쿨러를 키우고 매니와 배기를 새로 뽑고 맵핑을 해서
마력 상승은 어느정도 이루어지는지도 궁금합니다.
어떤 곳은 순정에 임펠러의 개조도 하던데 이런 경우 내구성은 보장되는지요...
그외에 중요한 참고사항이 있으면 서슴없는 답변 부탁드립니다.
현대자동차의 디젤엔진(HD 1.6VGT)이라서
지식의 부족함을 절실히 느끼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곳에 조언을 구하고자 질문을 올리게 되었네요..
목표마력을 다이노 상에서 130~140을 잡고 있던데
그럴 경우 터빈 업글을 반드시 해야 하는지요?
그러면 부스트랙은 어느정도 커지는지요..
터빈업글 없이 그냥 인터쿨러를 키우고 매니와 배기를 새로 뽑고 맵핑을 해서
마력 상승은 어느정도 이루어지는지도 궁금합니다.
어떤 곳은 순정에 임펠러의 개조도 하던데 이런 경우 내구성은 보장되는지요...
그외에 중요한 참고사항이 있으면 서슴없는 답변 부탁드립니다.
2008.09.13 16:41:50 (*.247.84.244)

어차피 매핑만 해도 수명은 많이 짧아집니다.
예전에 같은 출력을 내던 순정엔진 배기량이 얼마인지 생각해보면 마진이 별로 없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죠.
예전에 같은 출력을 내던 순정엔진 배기량이 얼마인지 생각해보면 마진이 별로 없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죠.
2008.09.13 22:38:52 (*.208.206.153)

1.6 U 엔진 이라면 다이노 측정 장비에 따라 조금씩 측정결과가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다이노젯 장비에서라면 순정상태의 터보에서도 리매핑 많으로도 130마력 내외의 수치가 나올것 입니다. 1.5 U 엔진을 사용하는 저의 경험을 살펴보면 순정 ECU 상태에서 흡기(K&N 순정형)+배기(다운파이프 촉매확관 중통 엔드, 매니폴더제외)만 작업했을때에도, 대략 1.2 토크 12마력이상의 출력향상이 있었습니다.
주변 지인들의 터보 업그레이드 작업결과(보통 2.0 디젤엔진터보사용) 업그레이드는 금액대비 그다지 대단한 효과를 보긴 어렵지 않았나 생각됩니다만, 터보 내구성 측면에서는 지금까진 유효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내구성은 매핑의 유무보단 운전자의 운전성향에서 판가름되지 않나 생각됩니다. 주로 터빈에 자주 과부하가 걸리거나 최고속으로 장시간 주행시 터빈블로우가 발생합니다. 저도 10만km 주행을 앞두고 있지만 아직까지 터빈트러블이 발생한적은 없습니다.
주변 지인들의 터보 업그레이드 작업결과(보통 2.0 디젤엔진터보사용) 업그레이드는 금액대비 그다지 대단한 효과를 보긴 어렵지 않았나 생각됩니다만, 터보 내구성 측면에서는 지금까진 유효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내구성은 매핑의 유무보단 운전자의 운전성향에서 판가름되지 않나 생각됩니다. 주로 터빈에 자주 과부하가 걸리거나 최고속으로 장시간 주행시 터빈블로우가 발생합니다. 저도 10만km 주행을 앞두고 있지만 아직까지 터빈트러블이 발생한적은 없습니다.
2008.09.14 00:41:43 (*.50.144.112)

1.5vgt엔진의 터빈 업그레이드는 출력보다는 터빈의 안정성을 위주로 합니다,
기표님말씀대로 운용방식에 따라 틀리겟지만 아쉽게도 상당한 출력을 올린 맵핑에서 효율적으로 차량운용을 하시는분들이 안타깝게도 그리 많지는 않네요. 터빈트러블에 대한 사례가 자주 올라오는것을 보면요
위에서 말씀하셨듯이 마진이 많지 않은 목표출력인거 같습니다,
터빈업을 하면 출력도 좋아지지만 무엇보다도 터빈의 내구성이 어느정도 보장이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표님말씀대로 운용방식에 따라 틀리겟지만 아쉽게도 상당한 출력을 올린 맵핑에서 효율적으로 차량운용을 하시는분들이 안타깝게도 그리 많지는 않네요. 터빈트러블에 대한 사례가 자주 올라오는것을 보면요
위에서 말씀하셨듯이 마진이 많지 않은 목표출력인거 같습니다,
터빈업을 하면 출력도 좋아지지만 무엇보다도 터빈의 내구성이 어느정도 보장이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008.09.14 00:44:20 (*.50.144.112)

스풀업에 대한부분은 맵핑에 따라서 많이 좌우가 되는데 크게 일상에서 불편함없이 사용하실 정도입니다,
빠르게 터지는 차들은 2000알피엠즈음에서 출력이 나오기도 하고요
승용디젤이 재미난차긴하지만 출력보다는 코너혹은 주행성위주의 아기자기한 출력을 다루며 타는것이 더 잘 어울리는것도 같습니다,
파트내구성이 차량출력을 커버하기가 힘이 들어보입니다,
빠르게 터지는 차들은 2000알피엠즈음에서 출력이 나오기도 하고요
승용디젤이 재미난차긴하지만 출력보다는 코너혹은 주행성위주의 아기자기한 출력을 다루며 타는것이 더 잘 어울리는것도 같습니다,
파트내구성이 차량출력을 커버하기가 힘이 들어보입니다,
2008.09.14 00:47:30 (*.62.7.82)

기표님~ 오랫만이시군요~ ^^
저도 기표님처럼...
흡기 오픈필터
배기 다운파이프, 촉매확관, 직관중통...에 맵은 순정맵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엔진오일 신경써주고, 예/후열 오버스럽게 해 주는 걸로 만족하고 있구요.
순정상태를 0, 일반적인 (내구성 세팅보다 조금 더 빡센 세팅) 매핑 상태를 100 정도로 보았을때, 저와같은 상태가 대략 7~80 정도는 되더군요.
물론 정확한건 다이노에 올려봐야겠지만, 일단 운전을 하며 느껴지는 체감상 그렇습니다.
이제 1년 조금 넘었고, 3만킬로 남짓 타긴 했지만, 중고속으로 꽤 달리고, 급가속도 많이 하는지라... 저도 좀 걱정이 되긴 합니다. -_-;;;
터빈업이 내구성 보장에 어느정도의 답이 되긴 합니다만...
터빈업을 하면 또 그에 걸맞는(-_-) 맵핑으로 출력을 올리다보면... 결국...
저도 기표님처럼...
흡기 오픈필터
배기 다운파이프, 촉매확관, 직관중통...에 맵은 순정맵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엔진오일 신경써주고, 예/후열 오버스럽게 해 주는 걸로 만족하고 있구요.
순정상태를 0, 일반적인 (내구성 세팅보다 조금 더 빡센 세팅) 매핑 상태를 100 정도로 보았을때, 저와같은 상태가 대략 7~80 정도는 되더군요.
물론 정확한건 다이노에 올려봐야겠지만, 일단 운전을 하며 느껴지는 체감상 그렇습니다.
이제 1년 조금 넘었고, 3만킬로 남짓 타긴 했지만, 중고속으로 꽤 달리고, 급가속도 많이 하는지라... 저도 좀 걱정이 되긴 합니다. -_-;;;
터빈업이 내구성 보장에 어느정도의 답이 되긴 합니다만...
터빈업을 하면 또 그에 걸맞는(-_-) 맵핑으로 출력을 올리다보면... 결국...
흡배기 효율향상 정도로 충분히 나오는 수치가 아닌가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