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V8엔진은 다른 형식의 엔진들에 비해 남성적인 엔진입니다.
낮은 저음과 적당한 진동은 때론 저를 미치게 만들 정도로 매력적이지요.
무조건 크다고 강하고 야성적인 것은 아닙니다.
사람도 덩치가 커도 순해보이는 경우가 있고, 야성적으로 보이는 경우가 있고, 실제의 인격에서도 차이가 크지요.
제 경험으로는 V8은 4리터 이상이 되어야 V8 특유의 저음과 야성미가 연출이 된다고 봅니다.
저 배기량 8기통 엔진은 펀치가 없고, V8을 바라보며 기대하는 터프함은 전혀 느낄 수 없지요.
이번에 시승한 RS6에 장착한 아이젠만 머플러는 제품 이름에서도 정말 독일스럽기 그지 없을 정도로 게르만 냄새가 강렬합니다.

E39 M5도 그렇지만 V8엔진에 배기튜닝을 하면 두가지 경우의 수로 특성이 연출됩니다.
하나는 저음이 강조되고, 공회전 부근에서 클러치를 연결할 때 웅장한 저음을 만들지만 회전이 올라가면 순정때와 비슷한 느낌...
두번째는 시동을 거는 순간부터 배기진동을 시작으로 고회전까지 으르렁대는 야성미를 그대로 연출하는 경우입니다.
대개 두번째와 같은 머플러는 초반에 너무 시끄러워 시내주행에서 머리가 아프기도 한데, 이번에 시승한 차는 출발할 때 좀 강하게 밟아도 실내를 울리는 불쾌한 공명이 없고, 회전수를 올려도 으르렁대는 성격이 그대로 남아 있어 운전의 재미를 높여주었습니다.

V8엔진은 존재감부터가 6기통이나 4기통하고는 틀리기 때문에 범상치 않은 차가 으러렁대는 저음을 토해내며 달려들 땐 정말 무시무시한 느낌을 줍니다.
몇몇 엔진들을 제외하고는 미제 V8엔진은 초반에는 요란하지만 회전수를 올리는 재미가 전혀 없는데, 반해 독일제 엔진들은 미제 엔진들보다 유연하고 고속에서 압축감이 좋아서 속도를 낼수록 재미있지요.

아이젠만은 RS6의 V8엔진의 배기음을 가장 아름답고 멋지게 연출하는 머플러라는 생각을 한 이유는 예전에 오스트리아 제펠트에서 아우디 드라이빙 스쿨을 했을 때 함께 했던 RS6의 순정 스포츠 이그조스트2의 음색을 떠올리게 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적용이 안된 독일 내수형에만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었던 사양이었지요.
그때 그차를 보면서 순정으로 저런 음량을 팩토리에서 소화해낼 수 있다는 대담성에 놀랐었는데, 아이젠만이 그러한 느낌을 제대로 연출해주었습니다.
RS6는 그냥 타도 재미있고, 신나는 차이지만 배기튜닝을 해놓은 RS6는 자꾸 에어컨 대신 창문을 열고 타게 만듭니다.
저도 언젠가는 제가 원하는 V8엔진이 장착된 차에 제가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배기음을 만들어서 타는 꿈을 세삼 꾸게한 시승이었습니다.
-testkwon-

2006.08.05 00:21:00 (*.0.0.1)
4, 6, 8, 10, 12 기통 순서로 배기량을 매꾸어 나갑니다만, 대체로 10기통은 양산 차에 잘 쓰이지 않다보니 8기통 엔진이 담당해야 하는 배기량 범위가 넓죠. 그러다 보니 실린더당 배기량도 크지는 경향이 다른 기통 엔진보다 강하고.. 터프해지는 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2006.08.05 00:21:00 (*.0.0.1)
8기통 자체의 특성 자체가 독특한 면이 있기도 하지만요... 크랭크축 핀의 배치도 2가지 variation이 있기도 해서 그것에 따라서도 특성이 달라지기도하고..
2006.08.05 00:22:00 (*.0.0.1)
범퍼에 권영주님이 비치는듯~ 그 옆엔 투스카니 인듯... 광빨 좋네요. 범퍼인데도...독특한 배기음의 매력을 뿌리치기 힘들죠~
2006.08.05 00:07:00 (*.0.0.1)
배기튠의 경우 대게는 스탁보다 큰지름을 끼우는 경우가 많은데요. 터보의 경우 그 득과 실에 대해서 좀 알고 싶습니다^^ (->제 얘기입니다 ㅋㅋㅋ)
2006.08.05 00:10:00 (*.0.0.1)
재준님 배기튜닝은 차종마다 엔진의 형식에 따라 그리고 순정 배기시스템에 선택된 지름에 따라 튜닝으로 가야할 방향이 상당히 차이가 많습니다.
2006.08.05 00:10:00 (*.0.0.1)
순정보다 부스트를 제법 많이 높여 놓은 엔진이라면 배기를 순정보다 굵게 가는 것이 정석이지만 순정배기로 소화해내지 못하는 정도의 튜닝이 아니라면 때론 역효과가 나기도 합니다.
2006.08.05 00:10:00 (*.0.0.1)
배기가 출력에 비해 너무 두꺼워지면 저속이 허당이 되고, 고속에서도 뒤에 받쳐주는 느낌이 없이 맹숭맹숭 회전이 상승해서 토크감이 약하게 느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2006.08.05 00:10:00 (*.0.0.1)
특히 배기량이 작은 엔진들은 특히 배기 지름을 올리는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해당 차종과 엔진에 따른 해외리뷰들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2006.08.05 00:10:00 (*.0.0.1)
다만 제 개인적으로 미국쪽 퍼포먼스 관련 일반 유저들의 데이터를 그리 신뢰하지 않는 이유는 미국은 최고속을 달리지 못하기 때문에 범위가 적은 속도영역에서의 테스트를 기준으로 리뷰를 적기 때문에 정작 출력에 변화를 주어야할 영역인 고회전 영역의 궁금증이
2006.08.05 00:22:00 (*.0.0.1)
최고속을 달리지 못한다라.. 정말 맞는듯 합니다. 각종 포럼을 봐도 대부분 400m 드래그나 기껏해야 100마일 남짓하는 속도까지의 영역대 가속을 말할뿐, 고속영역대에 관해서는 거의 데이터도 없는편이고, 리뷰도 잘 하지 않지요.
2006.08.05 00:22:00 (*.0.0.1)
공권력(?)이 너무 강한 나라라서 그런지 쏘다가 잘못걸렸다간 정말 큰 낭패를 보기 십상인지라, 튜닝도 거의 실용영역대 토크위주로 순간가속력을 중점에 두고 하는듯 합니다. 우리나라가 달릴데가 어딨냐 어딨냐들 하시는데 오히려 쏘기에는 우리나라가 훨 좋은것같다는..
2006.08.05 00:01:00 (*.0.0.1)
영주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2.5인치로 다들 가는 이유가 있는데 굵은게(?) 마냥 좋을꺼라 믿었습니다. 3인치로 안간게 어디에여..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