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첫차, 수동이고 학생신분이라 잘안타게되어서 고급유를 주유했지만 덜컥취업이되버려서 출퇴근차로 바뀌게되었습니다. 그래서 본의아니게 일반유로 바꾸게되었는데요.
일반유를 넣으면서 와인딩을 가끔씩해도 무리가지않을까 고민이됩니다. 세컨드차는 좀 자리도잡고해야 구입할수있을것같아 당분간은 아반떼로 즐겨야될것같아서요ㅎ
괜찮을지 걱정이되네요ㅎㅎ경험자분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추가로 현대 gdi엔진은 고급유를 넣으면 출력이 미세하게 올라가고 카본슬러지가 일반유에 비해서 덜 쌓이게되고 노킹도 없거나 미미한수준이라는 정보를 보고 넣게 되었습니다.
일반유만 사용했고 서킷 고속 문제 없었습니다
헌데 md타는 동생은 일반에서 고급유로 변경 후 많이 좋아졌다고 하네요 최근에 보증으로 엔진 교체 후 고급유만 사용합니다

터보차량 아닌 이상 GDI엔진에 고급유 까지 필요 할까 싶습니다. 셋팅 자체도 일반유에다가, 카본누적 걱정되시면 주기적으로 고속주행 고알피엠 사용 하셔서 카본 날려 주시는게 낫지 않을까요?

md는 노킹이 문제되는 차량이 많아서 고급유 넣으시는 분들도 계셨습니다만 ad 타시면서 일반유 넣고 노킹이 없다면 일반유 넣는게 이득입니다. 카본 쌓이는건 주행조건에 영향이 커서 고급유 넣더라도 시내주행만 하면 세척효과가 많이 없고 장거리 주행시에만 고급유 넣고 카본을 한번 날려주는 쪽으로 관리하시면 좋습니다.
고급유 이름때문에 뭔가 좋은건 줄 아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냥 불이 좀 더 잘 안 붙는 휘발유일 뿐입니다.
피스톤 압축시 자연발화를 억제하는 성질을 이용해서 점화시기를 진각시키고, 진각된 점화시기는 피스톤이 상사점(TDC)에 도달하기 전 보다 일찍 연소행정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연소가 TDC 이전에 일찍 일어나면 날수록 (상식적인 엔진 rpm에서) TDC를 지나 피스톤을 내리는 시점의 실린더 내 압력을 높게 만들 수 있습니다.
간략하지만 대충 저런 원리로 고급유를 넣으면 출력을 조금 더 낼 수 있다는거니.... 일반유 셋팅이 된 기계식 차량에 고급유를 넣으면 화염전파 속도가 너무 느려서 일부분 토크가 죽는 현상이 생길 수도 있고 - 불을 붙이긴 했는데 화염 전파가 설계보다 느려서 연소행정의 일부가 배기로 버려짐, AKI 89를 권장하는 크라이슬러 5.7엔진의 경우 AKI 93(고급유) 사용시 연비가 AKI 89(미국에파는 중간급)보다 연비가 20%가량, AKI 87(일반유)보다 연비가 15%가량 낮게 나왔습니다. 물론 출력도 당연히 낮았겠지요.

고급유 넣으면 엔진룸이 더 깨끗해지고 카본 슬러지가 덜 쌓인다는 것은 말이 안됩니다.
주행환경이 더 중요할 뿐 일반유 넣고도 고속 주행만 한다면 엔진 컨디션은 시내주행만 한
고급유 주유 차량보다 훨씬 좋습니다. 그냥 일반유 넣으셔도 충분합니다.
출고 당시 세팅 대로 넣어주는 것이 제일 좋아요.
일반유 권장 차량은 일반유, 고급유 권장 차량은 고급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