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2006년 9월 출고, 현재 2000 킬로 주행한 그랜드카니발 VGT모델입니다.
1500킬로에 엔진오일 합성유(BP visco 7000)으로 교환하고 울산<=>거제 왕복할 일이 생겼습니다
3천 알피엠을 넘기지 않고 운행중이었고 이번에도 무리하게 급가속이나 고알피엠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약간씩 최고속에 적응되도록 살짝 밟아줄 계획으로 고속도로에 접어들었습니다.
울산 <=> 언양 구간은 공사중으로 노면상태가 좋지 않아서 정속주행을 했습니다
언양 <=> 양산 구간에서는 차량들이 제법 많아서 그리 속도를 내지 못했고 120~140킬로정도로 주행했습니다.
요금소를 지나고 김해를 지나 남해고속도로가 4차선으로 확장되는 구간에 접어들때, 뒤쪽에 매그너스 한대가 바싹 붙어서 따라오고 있었습니다. 낮에도 안개등을 켠것으로 보아 제법 달릴 기세, 4차로로 넓어지고 차량이 뜸해지느것을 확인한 후 4단으로 기어 내리고 가속했습니다. 완전 풀악셀 상황이라고는 볼 수 없는데, 매그너스 점점 멀어지네요....안밟았을수도 있겠지만..120킬로에서 계속 가속, 180에 도달했을때 앞쪽 차량으로 인해 감속....진영휴게소까지 계속진행 후 전 휴게소로 들어왔고 매그너스는 직행...
잘 올라가더군요...그리 엔진에 무리주지 않고도 부드럽게 올라가는 속도..만족입니다
진영부터 진주구간까지는 차량이 많아..거의 규정속도로 달렸습니다.
가끔 추월타이밍이 오면 가볍게 추월해주고...
진주 <=> 통영 고속도로에 올렸습니다...고성 휴게소에 들릴 계획으로 100킬로로 정속주행..2차로로 운행했습니다..이때 1차로로 렉스턴 2 가 질주하네요...대강 속도가 160정도?
이때 고민 많이 했습니다...'따라갈까 말까...따라갈까 말까' 거의 비슷하게 따라갈 수 있을거란 자신이 들었지만....아직 너무 고속을 내긴 이른 시기이고..그냥 보내고 말았습니다...ㅠ.ㅠ 길들이기만 끝나라...
거제에 도착해서 볼일을 본 후 다시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울산에서 고속도로에 올리기 직전 주유를 했습니다.
그 전에 주유할 때부터 적산거리는 453킬로미터..주유량은 43리터. 10킬로 넘었네요(전 주유때마다 트립 리셋합니다. 그리고 가득 주유하구요..) 가득 주유하니 주행거리가 795킬로 나옵니다..
고속도로 달리는 동안 평균연비를 리셋했습니다. 왕복 평균연료소모율은 8.2 L/100Km 나왔습니다. 양호하네요..
아직까지 급가속을 할 순 없었지만 그래도 충분한 동력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제가 지금 카니발이 4대째 입니다.
카니발1 디젤(초창기 모델이 좀 엉망이었죠..)
카니발 1 휘발유(고속빨 좋았습니다. 그때도 200킬로 꺾고 다녔으니까)
카니발 2 디젤(CRDi 145마력) 속도계 꺾였죠..
현재 그랜드카니발 VGT입니다..
결론은 예전 카니발에 비해서 편안하게 달릴 수 있는 차인것 같습니다
자동문도 약간 인내심을 갖고 기다린다면(!) 아주 편리한 장치이죠. 특히 테일게이트
자동기능은 아주아주 만족스럽습니다...주위의 눈길끌기에도 만점!!
고속에서의 안정성도 아주 좋습니다. 단 뒤가 가볍다는 느낌이 듭니다
전륜구동이라 분명 언더스티어가 나야되는데...뒤가 가벼워서 도는 느낌이 나서
오히려 오버스티어인가? 라고 생각될때도 있습니다.
일부 시트에 대한 불만도 나오곤 있지만...개선되길 바라고..운전하기엔
아주 여유롭고 좋은 차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더 달려보고 또 글 올리겠습니다. 꿉벅.
1500킬로에 엔진오일 합성유(BP visco 7000)으로 교환하고 울산<=>거제 왕복할 일이 생겼습니다
3천 알피엠을 넘기지 않고 운행중이었고 이번에도 무리하게 급가속이나 고알피엠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약간씩 최고속에 적응되도록 살짝 밟아줄 계획으로 고속도로에 접어들었습니다.
울산 <=> 언양 구간은 공사중으로 노면상태가 좋지 않아서 정속주행을 했습니다
언양 <=> 양산 구간에서는 차량들이 제법 많아서 그리 속도를 내지 못했고 120~140킬로정도로 주행했습니다.
요금소를 지나고 김해를 지나 남해고속도로가 4차선으로 확장되는 구간에 접어들때, 뒤쪽에 매그너스 한대가 바싹 붙어서 따라오고 있었습니다. 낮에도 안개등을 켠것으로 보아 제법 달릴 기세, 4차로로 넓어지고 차량이 뜸해지느것을 확인한 후 4단으로 기어 내리고 가속했습니다. 완전 풀악셀 상황이라고는 볼 수 없는데, 매그너스 점점 멀어지네요....안밟았을수도 있겠지만..120킬로에서 계속 가속, 180에 도달했을때 앞쪽 차량으로 인해 감속....진영휴게소까지 계속진행 후 전 휴게소로 들어왔고 매그너스는 직행...
잘 올라가더군요...그리 엔진에 무리주지 않고도 부드럽게 올라가는 속도..만족입니다
진영부터 진주구간까지는 차량이 많아..거의 규정속도로 달렸습니다.
가끔 추월타이밍이 오면 가볍게 추월해주고...
진주 <=> 통영 고속도로에 올렸습니다...고성 휴게소에 들릴 계획으로 100킬로로 정속주행..2차로로 운행했습니다..이때 1차로로 렉스턴 2 가 질주하네요...대강 속도가 160정도?
이때 고민 많이 했습니다...'따라갈까 말까...따라갈까 말까' 거의 비슷하게 따라갈 수 있을거란 자신이 들었지만....아직 너무 고속을 내긴 이른 시기이고..그냥 보내고 말았습니다...ㅠ.ㅠ 길들이기만 끝나라...
거제에 도착해서 볼일을 본 후 다시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울산에서 고속도로에 올리기 직전 주유를 했습니다.
그 전에 주유할 때부터 적산거리는 453킬로미터..주유량은 43리터. 10킬로 넘었네요(전 주유때마다 트립 리셋합니다. 그리고 가득 주유하구요..) 가득 주유하니 주행거리가 795킬로 나옵니다..
고속도로 달리는 동안 평균연비를 리셋했습니다. 왕복 평균연료소모율은 8.2 L/100Km 나왔습니다. 양호하네요..
아직까지 급가속을 할 순 없었지만 그래도 충분한 동력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제가 지금 카니발이 4대째 입니다.
카니발1 디젤(초창기 모델이 좀 엉망이었죠..)
카니발 1 휘발유(고속빨 좋았습니다. 그때도 200킬로 꺾고 다녔으니까)
카니발 2 디젤(CRDi 145마력) 속도계 꺾였죠..
현재 그랜드카니발 VGT입니다..
결론은 예전 카니발에 비해서 편안하게 달릴 수 있는 차인것 같습니다
자동문도 약간 인내심을 갖고 기다린다면(!) 아주 편리한 장치이죠. 특히 테일게이트
자동기능은 아주아주 만족스럽습니다...주위의 눈길끌기에도 만점!!
고속에서의 안정성도 아주 좋습니다. 단 뒤가 가볍다는 느낌이 듭니다
전륜구동이라 분명 언더스티어가 나야되는데...뒤가 가벼워서 도는 느낌이 나서
오히려 오버스티어인가? 라고 생각될때도 있습니다.
일부 시트에 대한 불만도 나오곤 있지만...개선되길 바라고..운전하기엔
아주 여유롭고 좋은 차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더 달려보고 또 글 올리겠습니다. 꿉벅.

2006.10.01 23:13:08 (*.4.204.12)

탑기어 10월호에 보니 카니발이 제로백15.5초 나오는 군요. 그랜드카니발은 16초초중반정도 나올것 같습니다. 엔진반응이 빠르다고 나오는군요..
2006.10.02 02:47:07 (*.129.171.156)
저도 첫차가 카니발1이라서 관심이 많은데 새로나온 카니발역시 상당한 상품성을 가지고 있나 보네요..
그래도 카니발은 상당히 매력있는 모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배기량에 비해서 상당한 연비 (예전에 국도주행으로 리터당 18km정도 갔던 기억이..)
브란자를 약간 손보면 계기판을 꺾을수 있는 출력 (물론 매연과 롤링의 압박은..^^)
넓은 실내와 시트의 활용성..
고속도로 주행시 5단이 안먹는 증상과 군입대 때문에 여러번 수리끝에 결국 팔았지만
첫차라서 애착이 많이 가는 차였는데..시승기 잘봤습니다.
그래도 카니발은 상당히 매력있는 모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배기량에 비해서 상당한 연비 (예전에 국도주행으로 리터당 18km정도 갔던 기억이..)
브란자를 약간 손보면 계기판을 꺾을수 있는 출력 (물론 매연과 롤링의 압박은..^^)
넓은 실내와 시트의 활용성..
고속도로 주행시 5단이 안먹는 증상과 군입대 때문에 여러번 수리끝에 결국 팔았지만
첫차라서 애착이 많이 가는 차였는데..시승기 잘봤습니다.
2006.10.02 07:38:07 (*.149.144.138)

그랜드카니발은 유턴할때 정말 편하더군요...^^
육중한차가 한번에 획 돌아가니...왠지 유턴각을 잘잡은것 같은 착각을 줘서ㅋㅋ
육중한차가 한번에 획 돌아가니...왠지 유턴각을 잘잡은것 같은 착각을 줘서ㅋㅋ
2006.10.02 14:11:03 (*.202.82.124)

그랜드 카니발이 VGT인가요. 아닌걸로 아는데..
아버지도 개선장군 타시다 그랜드카니발로 바꾸셨는데.. 아주 만족하시더군요.
음.. 정말 편하더군요. 아버지차는 3열을 띠어버렸습니다. ㅎㅎ"
저 자동문은 정말.. 왕~부럽습니다. 일명.. 보대가..
데일리카로 트라제를 쓰는 저로서는 너무..너무.. 부러운.. ㅎㅎ"
아버지도 개선장군 타시다 그랜드카니발로 바꾸셨는데.. 아주 만족하시더군요.
음.. 정말 편하더군요. 아버지차는 3열을 띠어버렸습니다. ㅎㅎ"
저 자동문은 정말.. 왕~부럽습니다. 일명.. 보대가..
데일리카로 트라제를 쓰는 저로서는 너무..너무.. 부러운.. ㅎㅎ"
2006.10.02 15:11:52 (*.248.138.170)
그카 모델중에 리미티드 모델만 vgt적용되는 걸로 아는데요..
출력은 20마력정도 올라갔고 토크는 1kg.m정도..
출력에 비해 토크가.. 조금 그렇죠?
출력은 20마력정도 올라갔고 토크는 1kg.m정도..
출력에 비해 토크가.. 조금 그렇죠?
2006.10.03 16:07:03 (*.202.82.124)

아~ VGT이네요. 저녁에 뚜껑 열어보니.. VGT 라고 쓰여있네요.
출력 22마력에.. 토크는 0.5kg 차이네요. 헐~
출력 22마력에.. 토크는 0.5kg 차이네요. 헐~
2006.10.03 19:54:23 (*.85.44.192)

토크가 0.5Kg 올라갔는데 마력이 22마력 올라갔다면
상당히 플랫토크에 가깝게 되지 않았나 생각되네요.
그리고 그랜드카니발에 올라가는 5단 미션이 높은 토크를
받쳐주지 못해서 37Kg 이상 셋팅을 못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쪼금 이해가 안되긴 하지만..^^
상당히 플랫토크에 가깝게 되지 않았나 생각되네요.
그리고 그랜드카니발에 올라가는 5단 미션이 높은 토크를
받쳐주지 못해서 37Kg 이상 셋팅을 못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쪼금 이해가 안되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