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권영주 님께서 아시다 시피 재규어 골수 팬으로서 코멘트를 빼먹을 수는 없겠죠? ^ ^
달리기 성능만으로 재규어의 팬이 되는 분은 한 분도 없습니다.
처음엔 디자인과 승차감, 아늑한 실내 분위기에 끌려서 재규어를 타게 되고 타다보면 달리기도 만만치 않게 꽤 잘하고 운전도 스릴있고 재밌다는 것을 느끼게 되는 것이죠.
재규어는 항상 절대적인 성능보다는 멋스러움과 차에서 느껴지는 감성을 우선합니다.
외양도 그렇지만 화려하지 않으면서도 럭셔리한 인테리어는 재규어만의 매력입니다.
지적하신 마케팅의 문제점에 공감합니다.
특히 포드의 개입( 재규어의 이슈에 자주 이름이 오르내리는 것)은 재규어에 경제적인 후원을 무색하게 할만큼 마케팅에서는 완전히 실패하게 했지요.
하지만 많은 사람들의 생각과 달리 재규어의 성격 자체는 포드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았습니다.
포드가 재규어의 명성을 깎아먹기도 했습니다만 실질적으로 큰 도움을 준 고마운 은인입니다.
그리고 재규어를 존중하는 메이커이기도 합니다( 이런 면에서 포드는 매우 신사적임.)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을 조금 하자면, 포드 자체가 어려운 와중에도 재규어에 전폭적인 투자를 감행하고 있고 차량 개발에 대해 독립성도 보장하고 있습니다.
솔직히 포드가 재규어의 첨단 기술에 대한 어떠한 투자를 가로막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안전과 주행 성능에 있어서 첨단 기술은 재규어도 뒤지지 않기 때문이죠.
단, F-type과 X-type R의 양산 취소, F1 철수 등이 재규어의 출발을 삐걱거리게 한 결정적인 타격이 되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F1에서는 그렇다할 결과를 내놓지 못한 것도 원인이겠으나 재규어는 페라리의 1/10 밖에 안되는 적은 예산으로 좋은 머쉰을 만들어 냈었다지요. 실질적인 철수의 이유는 재규어의 부진 보다는 모기업 포드가 경제적인 어려움에 직면했었기 때문입니다.
재규어의 신차 개발은 코벤트리에 있는 개발 센터에서 진행되며 독립성이 강합니다.
재규어에 들어가는 엔진은 모두 재규어 엔지니어들의 손을 거친 것이고요.
마케팅에서 큰 실패를 하고 후속 모델의 기약이 없는 X-type의 경우 몬데오 플랫폼을 갖다 쓴 것은 개발 기간 단축을 위해 일단 적당한 플랫폼을 결정하게 되었고, 재규어의 엔지니어들이 이미 우수성을 인정받은 몬데오 플랫폼에서 부품을 골라서 적용했습니다.
포드의 정책과 차량 개발 기간 단축을 위해 기존의 플랫폼을 이용하긴 하지만 결국 재규어 엔지니어들에 의해 만들어진 차입니다.
공유 부품은 20% 정도밖에 안됩니다. 더 많은 부품을 공유해도 사실 문제될 것이 없지만 재규어에선 재규어를 만든거죠.
전천후 주행 능력과 후륜 구동의 주행감을 위하여 FF 섀시에서 할덱스 방식을 쓰지 않고 planetary gear set+ viscous coupling 방식의 독특한 AWD까지 도입하고 셋업 튠을 하게 되지요.( 결국 판매 부진으로 웨건형과 FF 모델 출시)
X-type의 드라이브 트레인은 AWD임에도 불구하고 RWD인 당시 BMW 3 시리즈의 드라이브 트레인보다 40kg밖에 무게가 더 나가지 않았습니다.
AJ V6 엔진 역시 전체가 합금으로 이루어져서 가벼운 엔진이죠.
포드의 Duratec 엔진이 베이스라는 것을 아시는 분들은 많지만 Duratec 엔진의 엔지니어링이 포르쉐의 것이라는 사실과 Duratec과 AJ V6의 엔진은 생산 공장은 비록 같지만 엔진 블록과 크랭크 이외의 내용물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 아는 분은 드물죠.
( 하지만 섀시 강성 확보 등의 이유로 차량 전체의 무게가 증가했지요. )
AJ V8엔진은 재규어 고유 디자인이며 영국에서 생산됩니다만, 포드와 볼보 엔진 역시 그 공장에서 생산됩니다.
그리고 재규어는 전체가 영국에서 생산됩니다.
또한 차량의 총체적인 완성은 XJ, XK, S-type, X-type 모두 Chief engineer 인 Mike Cross라는 단 한 사람에 의해 다듬어집니다. ( 그래서 공통 분모를 가질 수밖에요.)
이 사람은 X-type을 만들고 난 후에 재규어를 만드는 것은 좋은 와인을 빚는 것과 같다고 했습니다.
"So to achieve the perfect balance we carried out a great deal of testing and fine-tuning. You could say it’s a little bit like making a fine wine – part science, part art.." - Mike Cross
인식이라는 것은 참 무섭습니다.
마케팅이란 곧 사람에게 판매에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는 것인데 재규어와 포드는 그 점을 간과했습니다.
제가 말씀드린 부분에 대해 잘 알고 계신 분이 거의 없으니 그 점은 쉽게 느끼시리라 봅니다.
" X-type은 몬데오 플랫폼 아니야? " 오로지 그 것만이 그 사람의 생각을 지배하죠.
포드와 재규어는 투자에 비해 큰 실망을 안겨준 X-type의 마켓 세그먼트를 포기하고 본래의 프리미엄 마켓으로 돌아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덕분에 X-type 오너분들은 단종의 걱정보다 희소가치 높아진다고 좋아하는 분들이 많죠. 저렴하게 재규어를 즐긴데다가 희소가치까지.... )
사실 재규어는 XJ6와 XK로 연간 2만대 남짓 팔리는 차량 메이커였지요.
벤츠나 BMW 등과 비교시 상대적으로 소규모입니다.
재규어는 본래가 니치 마켓( 틈새 시장) 메이커고요.
생산량을 생각하면 부품 값이 높아질수밖에 없죠.
사실 재규어는 주행성과 안전성에서 첨단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만 언제나 드라이버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DSC나 TCS의 개입도 사실 도와주는듯 마는듯 합니다.
척 척 잡아주는 느낌이 아니어서 불안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사실 신뢰가 갈만큼 잘 반응합니다.
포르쉐를 몰아보면서 DSC의 성격이 비슷하다고 느꼈습니다.
( 포르쉐와 재규어가 비슷하다고 하면 이상하게 생각하실 분들 많으실 것 같습니다만, 그만큼 달리는 느낌이 비슷합니다. 롤 특성이나 핸들링은 물론 포르쉐의 성능이 더 우수합니다. )
포드와 재규어도 마케팅의 실패가 어떤 것인지 절실하게 깨닫고 있으며 이젠 뭔가 달라지는 모습을 보이고자 하고 있습니다.
그 선두에 Ian Callum이 서 있습니다.
C-XF 컨셉트 카를 토대로 양산될 예정인 XF의 경우 S-type의 생산 라인을 대체하게 됩니다.( 디자인에 있어서 C-XF는 개략적인 방향을 제공하지만 상당부분 수정이 불가피할 것입니다. 특히 헤드 램프와 손잡이는 필수....^ ^)
XF는 S-type의 후속 모델은 아닙니다.
하지만 S-type의 부품을 상당 부분 이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필요에 따라 적절히 개선이나 변경을 하겠죠.
이와 같은 것들은 전혀 문제가 아닙니다만 어떤 비난을 받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알미늄 바디를 만드려면 상당히 높은 부가가치를 추구하게 됩니다.
일단 차량 가격 자체가 비싸집니다.
수리비도 만만치 않고요.
더구나 재규어의 알미늄 바디는 스페이스 프레임이 아니라 모노코크 알미늄 바디죠.
지그부터 다 다시 찍어내야 합니다.
S-type의 세그멘트를 차지하게 될 XF는 차량 가격을 소비자층에 맞춰야하고 수리비나 메인티넌스 비용 역시 그러합니다.( 덕분에 S-type은 단종됩니다.)
그리고 스틸 바디로 만들더라도 문제는 없습니다.
재규어에서 알미늄 바디를 도입한 것은 차량 중량을 줄여서 좋은 핸들링을 추구하기 위해서인데 XF에서 이 것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저도 지켜보고 있습니다.
저도 XF에서 핸들링 성능을 어떻게 해결할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 XF는 420마력 수퍼챠져 엔진이 R 버젼이 아닌기본 모델에 얹힌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R 버젼은 V8엔진을 직분사 방식으로 바꿔서 5.0 리터 수퍼챠져로 나온다는 소문이 있고요.)
사실 new XK는 Ian Callum이 새로운(?) 시도를 했지만 사실 외관은 그다지 재규어 팬들에게 어필하지 않고 인테리어 디자인 역시 애스턴 마틴과 비슷한 분위기를 풍기고 있어 시장에서 성공을 위한 안전 지향적인 면모를 보입니다.
반응은 매우 좋더군요.
개인적으로 XJ8 4.2L의 경우 핸들링에서 만족스럽지는 않았습니다.
특히 특정 각도에서 푸쉬 언더가 조향 반대 방향으로 나는 것은 섬뜩할 지경이죠.
재규어 다운 맛을 느끼시려면 숏 휠베이스를 타보실 것을 권합니다.
물론 성격이야 비슷하지만 좀 더 쫀득하고 안정적인 핸들링을 느끼실 겁니다.
재규어는 본래 오너 드라이버 차이기 때문에 숏 바디가 진정한 재규어입니다.
그리고 XJ의 휠 베이스와 전장을 생각하신다면 그만한 핸들링은 용서가 될지도요. - -;
재규어의 에어 써스펜션인 CATS는 말씀대로 상황에 따라 각각의 댐퍼 압력을 조정합니다.
브레이킹 시엔 앞쪽 댐퍼, 코너링에선 바깥쪽 댐퍼, 출발시엔 뒤쪽 댐퍼가 딱딱해지며, 1초에 3000번 댐퍼 압력을 모니터링 하고 수정합니다.
댐퍼 압력을 운전자가 선택할 수 없는 것이 좀 아쉽긴 합니다만 그 것이 재규어의 성격을 대변합니다.
운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별로 없습니다.
하지만 운전은 제대로 즐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차가 다 해주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가 능동적인 제어를 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습니다.
코너링 도중 급브레이킹을 하면 밸런스가 틀어지는 것.
당연한 것 아닌가요? ㅎㅎ
선회 상황에서는 당연히 급브레이킹은 피해야합니다.
하지만 걱정처럼 재규어가 밸런스를 흐트러뜨린채 코너 밖으로 날아가거나 하지는 않을 겁니다.
휘청거리고 스키드 음을 내기 때문에 운전자는 불안감을 느끼는 거지요.
재규어는 차량의 한계를 DSC로 커버는 하려고 하지만 그런 느낌을 운전자로부터 격리시키지 않습니다. 그리고 근본적인 그립 한계도 높은 편입니다.
위험한 상황을 감추기 보다는 오히려 빨리 알아채게 해주어 안전한 운전을 도모하게 하고 하중 이동을 배우게 합니다( 뭐 그럴 듯한 합리화로 들린다면야... ^ ^;;) .
안락하고 승차감 좋은 써스에 코너링 브레이킹 밸런스도 완벽하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재규어만 그런 비밀을 간직하고 있을 수는 없겠죠.
CATS는 이런 양면을 다 잡기 위해 만든 것입니다만... 그렇다고 써킷 세팅으로 딱딱해지지는 않습니다. R 버젼은 좀 더 딱딱해진다고 합니다만..
재규어가 추구하는 것은 컴포트와 퍼포먼스의 밸런스입니다.
얼마전에 본 베스트 모터링 동영상에서도 안정감하면 빠지지 않는 벤츠 CLS 55 AMG도 재규어 XJR 보다 슬라럼에서 안정적이지 못했고 브레이킹 디스턴스에서도 뒤졌습니다.
타이어는 재규어가 더 좁은 것을 쓰고 있죠.
재규어는 휠 타이어 매칭도 경쟁 독일 차에 비해 림 폭이 한 칫수 작은 것을 씁니다.
따라서 슬립 앵글도 커지고 조향 반응도 한 템포 손해를 봅니다만.... 대신 승차감과 부드러운 스티어링 필을 얻는 것이죠.
재규어에서는 new XK를 필두로 이제는 성능에서도 양보 없는 재규어를 만들겠다고 하는 것 같은데, 앞으로 나올 차들은 성능 면에서 독일차 매니아들에게도 어필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글을 적다보니 계속 이야기가 더 나올 것 같습니다.
재규어를 그다지 마음에 들어하시는 것 같진 않지만 , 독일차와 다른 면을 인정하시려고 하시는 모습이 좋습니다.
아직은 독일차에 대해 제가 모르는 것이 너무 많습니다.
저는 아직 제 차도 다 모르고 그 것에 빠져서 다른 차들을 공부할 여력이 부족합니다.
한 쪽을 중심으로 파이를 넓혀가는 중이기 때문에 독일차 이야기에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그래서 권영주 님과 어떤 깊은 이야기는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직 서로의 파이가 겹치는 부분이 적다는 것을 느끼니까요.
나중에 제 파이가 더 넓어지는 날 서로 재밌는 대화를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만, 그 날이 언제 오련지요. ^ ^;
사람마다 취향이라는 것이 있는 거죠.
제가 그동안 봐온 권영주 님께선 확실히 독일차 취향, 특히 포르쉐 쪽이신 것 같습니다.
독일은 권영주 님께 파라다이스가 아닐지.... 계시는 동안 행복한 카 라이프를 누리시길 바랍니다.
꿈도 이루시고......^ ^
권영주 님께서 아시다 시피 재규어 골수 팬으로서 코멘트를 빼먹을 수는 없겠죠? ^ ^
달리기 성능만으로 재규어의 팬이 되는 분은 한 분도 없습니다.
처음엔 디자인과 승차감, 아늑한 실내 분위기에 끌려서 재규어를 타게 되고 타다보면 달리기도 만만치 않게 꽤 잘하고 운전도 스릴있고 재밌다는 것을 느끼게 되는 것이죠.
재규어는 항상 절대적인 성능보다는 멋스러움과 차에서 느껴지는 감성을 우선합니다.
외양도 그렇지만 화려하지 않으면서도 럭셔리한 인테리어는 재규어만의 매력입니다.
지적하신 마케팅의 문제점에 공감합니다.
특히 포드의 개입( 재규어의 이슈에 자주 이름이 오르내리는 것)은 재규어에 경제적인 후원을 무색하게 할만큼 마케팅에서는 완전히 실패하게 했지요.
하지만 많은 사람들의 생각과 달리 재규어의 성격 자체는 포드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았습니다.
포드가 재규어의 명성을 깎아먹기도 했습니다만 실질적으로 큰 도움을 준 고마운 은인입니다.
그리고 재규어를 존중하는 메이커이기도 합니다( 이런 면에서 포드는 매우 신사적임.)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을 조금 하자면, 포드 자체가 어려운 와중에도 재규어에 전폭적인 투자를 감행하고 있고 차량 개발에 대해 독립성도 보장하고 있습니다.
솔직히 포드가 재규어의 첨단 기술에 대한 어떠한 투자를 가로막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안전과 주행 성능에 있어서 첨단 기술은 재규어도 뒤지지 않기 때문이죠.
단, F-type과 X-type R의 양산 취소, F1 철수 등이 재규어의 출발을 삐걱거리게 한 결정적인 타격이 되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F1에서는 그렇다할 결과를 내놓지 못한 것도 원인이겠으나 재규어는 페라리의 1/10 밖에 안되는 적은 예산으로 좋은 머쉰을 만들어 냈었다지요. 실질적인 철수의 이유는 재규어의 부진 보다는 모기업 포드가 경제적인 어려움에 직면했었기 때문입니다.
재규어의 신차 개발은 코벤트리에 있는 개발 센터에서 진행되며 독립성이 강합니다.
재규어에 들어가는 엔진은 모두 재규어 엔지니어들의 손을 거친 것이고요.
마케팅에서 큰 실패를 하고 후속 모델의 기약이 없는 X-type의 경우 몬데오 플랫폼을 갖다 쓴 것은 개발 기간 단축을 위해 일단 적당한 플랫폼을 결정하게 되었고, 재규어의 엔지니어들이 이미 우수성을 인정받은 몬데오 플랫폼에서 부품을 골라서 적용했습니다.
포드의 정책과 차량 개발 기간 단축을 위해 기존의 플랫폼을 이용하긴 하지만 결국 재규어 엔지니어들에 의해 만들어진 차입니다.
공유 부품은 20% 정도밖에 안됩니다. 더 많은 부품을 공유해도 사실 문제될 것이 없지만 재규어에선 재규어를 만든거죠.
전천후 주행 능력과 후륜 구동의 주행감을 위하여 FF 섀시에서 할덱스 방식을 쓰지 않고 planetary gear set+ viscous coupling 방식의 독특한 AWD까지 도입하고 셋업 튠을 하게 되지요.( 결국 판매 부진으로 웨건형과 FF 모델 출시)
X-type의 드라이브 트레인은 AWD임에도 불구하고 RWD인 당시 BMW 3 시리즈의 드라이브 트레인보다 40kg밖에 무게가 더 나가지 않았습니다.
AJ V6 엔진 역시 전체가 합금으로 이루어져서 가벼운 엔진이죠.
포드의 Duratec 엔진이 베이스라는 것을 아시는 분들은 많지만 Duratec 엔진의 엔지니어링이 포르쉐의 것이라는 사실과 Duratec과 AJ V6의 엔진은 생산 공장은 비록 같지만 엔진 블록과 크랭크 이외의 내용물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 아는 분은 드물죠.
( 하지만 섀시 강성 확보 등의 이유로 차량 전체의 무게가 증가했지요. )
AJ V8엔진은 재규어 고유 디자인이며 영국에서 생산됩니다만, 포드와 볼보 엔진 역시 그 공장에서 생산됩니다.
그리고 재규어는 전체가 영국에서 생산됩니다.
또한 차량의 총체적인 완성은 XJ, XK, S-type, X-type 모두 Chief engineer 인 Mike Cross라는 단 한 사람에 의해 다듬어집니다. ( 그래서 공통 분모를 가질 수밖에요.)
이 사람은 X-type을 만들고 난 후에 재규어를 만드는 것은 좋은 와인을 빚는 것과 같다고 했습니다.
"So to achieve the perfect balance we carried out a great deal of testing and fine-tuning. You could say it’s a little bit like making a fine wine – part science, part art.." - Mike Cross
인식이라는 것은 참 무섭습니다.
마케팅이란 곧 사람에게 판매에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는 것인데 재규어와 포드는 그 점을 간과했습니다.
제가 말씀드린 부분에 대해 잘 알고 계신 분이 거의 없으니 그 점은 쉽게 느끼시리라 봅니다.
" X-type은 몬데오 플랫폼 아니야? " 오로지 그 것만이 그 사람의 생각을 지배하죠.
포드와 재규어는 투자에 비해 큰 실망을 안겨준 X-type의 마켓 세그먼트를 포기하고 본래의 프리미엄 마켓으로 돌아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덕분에 X-type 오너분들은 단종의 걱정보다 희소가치 높아진다고 좋아하는 분들이 많죠. 저렴하게 재규어를 즐긴데다가 희소가치까지.... )
사실 재규어는 XJ6와 XK로 연간 2만대 남짓 팔리는 차량 메이커였지요.
벤츠나 BMW 등과 비교시 상대적으로 소규모입니다.
재규어는 본래가 니치 마켓( 틈새 시장) 메이커고요.
생산량을 생각하면 부품 값이 높아질수밖에 없죠.
사실 재규어는 주행성과 안전성에서 첨단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만 언제나 드라이버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DSC나 TCS의 개입도 사실 도와주는듯 마는듯 합니다.
척 척 잡아주는 느낌이 아니어서 불안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사실 신뢰가 갈만큼 잘 반응합니다.
포르쉐를 몰아보면서 DSC의 성격이 비슷하다고 느꼈습니다.
( 포르쉐와 재규어가 비슷하다고 하면 이상하게 생각하실 분들 많으실 것 같습니다만, 그만큼 달리는 느낌이 비슷합니다. 롤 특성이나 핸들링은 물론 포르쉐의 성능이 더 우수합니다. )
포드와 재규어도 마케팅의 실패가 어떤 것인지 절실하게 깨닫고 있으며 이젠 뭔가 달라지는 모습을 보이고자 하고 있습니다.
그 선두에 Ian Callum이 서 있습니다.
C-XF 컨셉트 카를 토대로 양산될 예정인 XF의 경우 S-type의 생산 라인을 대체하게 됩니다.( 디자인에 있어서 C-XF는 개략적인 방향을 제공하지만 상당부분 수정이 불가피할 것입니다. 특히 헤드 램프와 손잡이는 필수....^ ^)
XF는 S-type의 후속 모델은 아닙니다.
하지만 S-type의 부품을 상당 부분 이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필요에 따라 적절히 개선이나 변경을 하겠죠.
이와 같은 것들은 전혀 문제가 아닙니다만 어떤 비난을 받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알미늄 바디를 만드려면 상당히 높은 부가가치를 추구하게 됩니다.
일단 차량 가격 자체가 비싸집니다.
수리비도 만만치 않고요.
더구나 재규어의 알미늄 바디는 스페이스 프레임이 아니라 모노코크 알미늄 바디죠.
지그부터 다 다시 찍어내야 합니다.
S-type의 세그멘트를 차지하게 될 XF는 차량 가격을 소비자층에 맞춰야하고 수리비나 메인티넌스 비용 역시 그러합니다.( 덕분에 S-type은 단종됩니다.)
그리고 스틸 바디로 만들더라도 문제는 없습니다.
재규어에서 알미늄 바디를 도입한 것은 차량 중량을 줄여서 좋은 핸들링을 추구하기 위해서인데 XF에서 이 것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저도 지켜보고 있습니다.
저도 XF에서 핸들링 성능을 어떻게 해결할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 XF는 420마력 수퍼챠져 엔진이 R 버젼이 아닌기본 모델에 얹힌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R 버젼은 V8엔진을 직분사 방식으로 바꿔서 5.0 리터 수퍼챠져로 나온다는 소문이 있고요.)
사실 new XK는 Ian Callum이 새로운(?) 시도를 했지만 사실 외관은 그다지 재규어 팬들에게 어필하지 않고 인테리어 디자인 역시 애스턴 마틴과 비슷한 분위기를 풍기고 있어 시장에서 성공을 위한 안전 지향적인 면모를 보입니다.
반응은 매우 좋더군요.
개인적으로 XJ8 4.2L의 경우 핸들링에서 만족스럽지는 않았습니다.
특히 특정 각도에서 푸쉬 언더가 조향 반대 방향으로 나는 것은 섬뜩할 지경이죠.
재규어 다운 맛을 느끼시려면 숏 휠베이스를 타보실 것을 권합니다.
물론 성격이야 비슷하지만 좀 더 쫀득하고 안정적인 핸들링을 느끼실 겁니다.
재규어는 본래 오너 드라이버 차이기 때문에 숏 바디가 진정한 재규어입니다.
그리고 XJ의 휠 베이스와 전장을 생각하신다면 그만한 핸들링은 용서가 될지도요. - -;
재규어의 에어 써스펜션인 CATS는 말씀대로 상황에 따라 각각의 댐퍼 압력을 조정합니다.
브레이킹 시엔 앞쪽 댐퍼, 코너링에선 바깥쪽 댐퍼, 출발시엔 뒤쪽 댐퍼가 딱딱해지며, 1초에 3000번 댐퍼 압력을 모니터링 하고 수정합니다.
댐퍼 압력을 운전자가 선택할 수 없는 것이 좀 아쉽긴 합니다만 그 것이 재규어의 성격을 대변합니다.
운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별로 없습니다.
하지만 운전은 제대로 즐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차가 다 해주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가 능동적인 제어를 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습니다.
코너링 도중 급브레이킹을 하면 밸런스가 틀어지는 것.
당연한 것 아닌가요? ㅎㅎ
선회 상황에서는 당연히 급브레이킹은 피해야합니다.
하지만 걱정처럼 재규어가 밸런스를 흐트러뜨린채 코너 밖으로 날아가거나 하지는 않을 겁니다.
휘청거리고 스키드 음을 내기 때문에 운전자는 불안감을 느끼는 거지요.
재규어는 차량의 한계를 DSC로 커버는 하려고 하지만 그런 느낌을 운전자로부터 격리시키지 않습니다. 그리고 근본적인 그립 한계도 높은 편입니다.
위험한 상황을 감추기 보다는 오히려 빨리 알아채게 해주어 안전한 운전을 도모하게 하고 하중 이동을 배우게 합니다( 뭐 그럴 듯한 합리화로 들린다면야... ^ ^;;) .
안락하고 승차감 좋은 써스에 코너링 브레이킹 밸런스도 완벽하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재규어만 그런 비밀을 간직하고 있을 수는 없겠죠.
CATS는 이런 양면을 다 잡기 위해 만든 것입니다만... 그렇다고 써킷 세팅으로 딱딱해지지는 않습니다. R 버젼은 좀 더 딱딱해진다고 합니다만..
재규어가 추구하는 것은 컴포트와 퍼포먼스의 밸런스입니다.
얼마전에 본 베스트 모터링 동영상에서도 안정감하면 빠지지 않는 벤츠 CLS 55 AMG도 재규어 XJR 보다 슬라럼에서 안정적이지 못했고 브레이킹 디스턴스에서도 뒤졌습니다.
타이어는 재규어가 더 좁은 것을 쓰고 있죠.
재규어는 휠 타이어 매칭도 경쟁 독일 차에 비해 림 폭이 한 칫수 작은 것을 씁니다.
따라서 슬립 앵글도 커지고 조향 반응도 한 템포 손해를 봅니다만.... 대신 승차감과 부드러운 스티어링 필을 얻는 것이죠.
재규어에서는 new XK를 필두로 이제는 성능에서도 양보 없는 재규어를 만들겠다고 하는 것 같은데, 앞으로 나올 차들은 성능 면에서 독일차 매니아들에게도 어필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글을 적다보니 계속 이야기가 더 나올 것 같습니다.
재규어를 그다지 마음에 들어하시는 것 같진 않지만 , 독일차와 다른 면을 인정하시려고 하시는 모습이 좋습니다.
아직은 독일차에 대해 제가 모르는 것이 너무 많습니다.
저는 아직 제 차도 다 모르고 그 것에 빠져서 다른 차들을 공부할 여력이 부족합니다.
한 쪽을 중심으로 파이를 넓혀가는 중이기 때문에 독일차 이야기에 선뜻 나서지 못합니다.
그래서 권영주 님과 어떤 깊은 이야기는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직 서로의 파이가 겹치는 부분이 적다는 것을 느끼니까요.
나중에 제 파이가 더 넓어지는 날 서로 재밌는 대화를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만, 그 날이 언제 오련지요. ^ ^;
사람마다 취향이라는 것이 있는 거죠.
제가 그동안 봐온 권영주 님께선 확실히 독일차 취향, 특히 포르쉐 쪽이신 것 같습니다.
독일은 권영주 님께 파라다이스가 아닐지.... 계시는 동안 행복한 카 라이프를 누리시길 바랍니다.
꿈도 이루시고......^ ^

2007.01.24 02:10:29 (*.155.230.238)

독일에서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
저 역시 독일 차를 매우 좋아하고 그들의 철학을 존중합니다.
그들의 토양에서 길러진 차들은 또 그들만의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이겠지요.
독일 차들은 어떠한 공통 분모를 공유하면서도 또 서로 뚜렷한 개성을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한 점들이 충분히 다른 차로 느껴진다는 것에서 또 다른 재미를 주며, 특히 디자인 역시 엇비슷한듯 하면서도 전혀 다른 방향을 추구하는 점이 재밌습니다.
언젠가는 저도 독일차를 타고 있을지도요.
독일차 중에서도 갖고 싶고 타고 싶은 차는 많습니다.
영국차를 먼저 선택했다고 생각하고요.
영국과 독일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당연히 다른 차가 나올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차를 즐기는 것도 즐겁지만 자동차를 통해서 알아가는 것들이 그저 재미있을 따름입니다.
( 요즘 인터넷을 좀 줄이려고 하는데 오늘은 대실패입니다.ㅎㅎ)
저 역시 독일 차를 매우 좋아하고 그들의 철학을 존중합니다.
그들의 토양에서 길러진 차들은 또 그들만의 성격을 띠게 되는 것이겠지요.
독일 차들은 어떠한 공통 분모를 공유하면서도 또 서로 뚜렷한 개성을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한 점들이 충분히 다른 차로 느껴진다는 것에서 또 다른 재미를 주며, 특히 디자인 역시 엇비슷한듯 하면서도 전혀 다른 방향을 추구하는 점이 재밌습니다.
언젠가는 저도 독일차를 타고 있을지도요.
독일차 중에서도 갖고 싶고 타고 싶은 차는 많습니다.
영국차를 먼저 선택했다고 생각하고요.
영국과 독일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당연히 다른 차가 나올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차를 즐기는 것도 즐겁지만 자동차를 통해서 알아가는 것들이 그저 재미있을 따름입니다.
( 요즘 인터넷을 좀 줄이려고 하는데 오늘은 대실패입니다.ㅎㅎ)
2007.01.24 06:10:59 (*.230.135.33)

전 정말 세상에서 영국차와 독일차를 같는것이 꿈 인 사람 입니다.
이경석님.. ㅋㅋ" 정말 잘~ 써주셨네요. 영주님이 느끼신게 어느 영국차를
타나 비슷한 느낌 이실겁니다. ㅎㅎ~
물렁물렁 댐퍼를 가지고 있는 서스펜션 이지만.. 그래도 언재나 끈끈하게
붙어있는 영국차 멋집니다.
XJ 숏바디를 추천하셨지만.. 정말 기회가 되신다면.. XJR을 추천드립니다.
컴포트와 퍼포먼스가 어울어진 최고의 서스펜션 밸런싱을 맛보실수도..ㅋㅋ"
이경석님.. ㅋㅋ" 정말 잘~ 써주셨네요. 영주님이 느끼신게 어느 영국차를
타나 비슷한 느낌 이실겁니다. ㅎㅎ~
물렁물렁 댐퍼를 가지고 있는 서스펜션 이지만.. 그래도 언재나 끈끈하게
붙어있는 영국차 멋집니다.
XJ 숏바디를 추천하셨지만.. 정말 기회가 되신다면.. XJR을 추천드립니다.
컴포트와 퍼포먼스가 어울어진 최고의 서스펜션 밸런싱을 맛보실수도..ㅋㅋ"
2007.01.24 07:48:01 (*.121.235.253)
재규어가 중고차 Resale 가격만 흔들리지 않아도 훨씬 좋은 판매 실적을 보앨텐데.. 매력적인 차이지만 현실적으로 새차를 사기엔 좀 경제적으로 많이 불리하더군요... 영구 디자인을 하도 좋아하고 사실 구형 XK디자인에 처음부터 반해서 중고라도 지를까 했지만 좁은 실내와 낮은 공간 활용도 때문에 상당히 고민했었죠..
다들 재규어의 매력을 인정하면서도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이유인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인 감성으론 요즘 나오는 비머나 아우디 모델들의 서스가 지나치게 단단해서 승차감이 안락하며 같은 수준의 엔지니어링을 해내는 다른 국가의 차로 자꾸 눈이 가더군요.. 재규어도 가서 타보곤 하지만 제나이엔 아직 너무 노티나는거 같기도 하고..
미국에서 XJ중고 가격은 정말 파격적이더군요..
다들 재규어의 매력을 인정하면서도 쉽게 다가가지 못하는 이유인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인 감성으론 요즘 나오는 비머나 아우디 모델들의 서스가 지나치게 단단해서 승차감이 안락하며 같은 수준의 엔지니어링을 해내는 다른 국가의 차로 자꾸 눈이 가더군요.. 재규어도 가서 타보곤 하지만 제나이엔 아직 너무 노티나는거 같기도 하고..
미국에서 XJ중고 가격은 정말 파격적이더군요..
2007.01.24 12:42:46 (*.115.56.83)
역시 이경석님... ^^
재규어에 대한 열정이 부러울정도로 대단하십니다
영국대사관에서 훈장 하나 받으셔야 할것같습니다
차란것이 요즘은 자기만의 색깔이 국경 회사를 넘어서... 넘 흐려져서 재미없는 세상인데...
벤츠도 BMW도 누가 더 망가지나... 식으로 디자인을 망쳐버리는 세상에...
디자인을위해 공간을 당연하다는듯 희생해버리는 아직도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유지하기위해 노력하는 재규어란 회사가 살아있다는것 자체가 매니아에겐 축복입니다 ^^
XJR의 승차감은 어느정도인가요? 사실 승차감의 압빡 때문에 재규어가 필요한데... XJR이라면 성능도 좋고... 혹시 두차종을 모두 타보셨던분 계신다면 부탁드립니다 XJ와는 상당히 차이가 나는지요?
재규어에 대한 열정이 부러울정도로 대단하십니다
영국대사관에서 훈장 하나 받으셔야 할것같습니다
차란것이 요즘은 자기만의 색깔이 국경 회사를 넘어서... 넘 흐려져서 재미없는 세상인데...
벤츠도 BMW도 누가 더 망가지나... 식으로 디자인을 망쳐버리는 세상에...
디자인을위해 공간을 당연하다는듯 희생해버리는 아직도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유지하기위해 노력하는 재규어란 회사가 살아있다는것 자체가 매니아에겐 축복입니다 ^^
XJR의 승차감은 어느정도인가요? 사실 승차감의 압빡 때문에 재규어가 필요한데... XJR이라면 성능도 좋고... 혹시 두차종을 모두 타보셨던분 계신다면 부탁드립니다 XJ와는 상당히 차이가 나는지요?
2007.01.24 13:09:17 (*.93.101.90)

재규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잘 읽엇습니다..
가로배치 엔진임에도 X타입의 4륜 시스템이 기계식 비스커스 커플링 방식이라는 것도 첨 알게 되었네요.. 분명 대중차와는 약간은 다른 컨셉이 적용되는군요..
가로배치 엔진임에도 X타입의 4륜 시스템이 기계식 비스커스 커플링 방식이라는 것도 첨 알게 되었네요.. 분명 대중차와는 약간은 다른 컨셉이 적용되는군요..
2007.01.24 13:52:29 (*.73.8.239)

좋은 말씀들 감사합니다.
이동섭 님, 어느 정도 연식의 XJ를 생각하고 계시는지요?
재규어의 스포츠 써스펜션은 투어링 써스보다 10~20% 정도 하드하다고 보시면 될 것입니다.
최신 연식의 XJR 은 타보지 못했습니다만 1996년식 XJR과 XJ6는 알고 있습니다.
이동섭 님, 어느 정도 연식의 XJ를 생각하고 계시는지요?
재규어의 스포츠 써스펜션은 투어링 써스보다 10~20% 정도 하드하다고 보시면 될 것입니다.
최신 연식의 XJR 은 타보지 못했습니다만 1996년식 XJR과 XJ6는 알고 있습니다.
2007.01.24 18:50:49 (*.132.167.7)

이경석님 >> X-type 에서 4륜구동계에 planetary gear set 과 viscous coupling을 사용한다는 것을 처음 알았습니다. planetary gear set의 용도를 알 수 있을까요?
2007.01.25 12:58:29 (*.73.8.239)

이동섭 님, 일단 타이어 스펙이 1996XJR은 255/45/17, XJ6는 225/55/16 입니다.
타이어에서 오는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승차감은 XJR이라고 해서 스포티하게 하드하다는 느낌은 없습니다만 XJ6 보다는 한결 탄탄한 것이 사실입니다.
구형 XJ의 써스펜션 튠도 매우 편안하고 좋지만 신형에서 더 큰 발전이 있는 것 같습니다.
큰 범프를 만났을 때 - 자유로 하행선 행주대교 부근 SK 주유소 근방의 1차로 등을 고속으로 달릴 때 등- 리바운스가 차이가 있습니다.
X-type 을 타고 다니면서 지금까지 엉덩이가 시트에서 떨어진 적이 한 번도 없었는데 구형 XJ는 그 구간에서 점프하는 느낌을 줍니다..ㅎㅎ
X-type으로 미루어보아 old XJ 보다야 new XJ의 써스펜션이 한결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반 도로에서는 XJR도 편안합니다.
개인적으로 승차감 자체는 XJ6가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릴랙스하고 편안한 재규어의 아아덴티티로 비교한다면 XJ6 쪽의 손을 들어주고 싶습니다.
타이어에서 오는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승차감은 XJR이라고 해서 스포티하게 하드하다는 느낌은 없습니다만 XJ6 보다는 한결 탄탄한 것이 사실입니다.
구형 XJ의 써스펜션 튠도 매우 편안하고 좋지만 신형에서 더 큰 발전이 있는 것 같습니다.
큰 범프를 만났을 때 - 자유로 하행선 행주대교 부근 SK 주유소 근방의 1차로 등을 고속으로 달릴 때 등- 리바운스가 차이가 있습니다.
X-type 을 타고 다니면서 지금까지 엉덩이가 시트에서 떨어진 적이 한 번도 없었는데 구형 XJ는 그 구간에서 점프하는 느낌을 줍니다..ㅎㅎ
X-type으로 미루어보아 old XJ 보다야 new XJ의 써스펜션이 한결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반 도로에서는 XJR도 편안합니다.
개인적으로 승차감 자체는 XJ6가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릴랙스하고 편안한 재규어의 아아덴티티로 비교한다면 XJ6 쪽의 손을 들어주고 싶습니다.
2007.01.25 13:51:00 (*.73.8.239)

이동섭 님께서 말씀하셨지만, 김영모 님의 질문에 답하자면 planetary gear set은 토크를 기본적으로 배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행성 기어의 기어비에 따라 전후 토크의 기본 배분을 바꿀 수 있습니다. 50:50도 가능하고 40:60도 가능하죠.
후륜으로 토크를 많이 배분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RWD의 스티어링 필을 재현하기 위해서입니다.
재규어 뿐 아니라 벤츠나 BMW 역시 planetary gear로 전후 토크를 배분하고 있고 전륜에 40, 후륜에 60 정도의 토크를 기본적으로 실어주고 있습니다.
이 행성 기어들이 바로 센터 디퍼련셜입니다.
AWD에서 센터 디퍼런셜이 있어야하는 이유는 아시겠고요.
네 바퀴에 기본적으로 트랙션이 분배되기 때문에 눈길에서 좋은 성능을 냅니다.
하지만 너무 미끄러운 빙판길에서는 바퀴가 스핀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지요.
이 때 필요한 것이 슬립 제한 장치입니다.
AWD 라고 하더라도 이 슬립 제한 장치가 없으면 바퀴 하나만 헛돌아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것입니다.
X-type 의 경우엔 Viscous couling이 이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겠으나 여느 VC 방식과는 달리 행성 기어의 기어비를 전환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 행성 기어 없이 VC 자체가 센터 디퍼런셜 역할을 하는 차량도 있음.)
디퍼런셜이 락 되는 것이 아니라 토크의 배분이 전륜 60, 후륜 40으로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BMW와 벤츠의 AWD 제어 메카니즘은 약간 다릅니다.
토센 기어를 센터 디퍼런셜에 적용해서 디퍼런셜과 슬립 제한 장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아우디 콰트로는 성격이 다른 메카니즘이고요.
재규어, 벤츠, BMW의 AWD는 기본적으로 후륜구동의 필을 지향하는 메이커이고, 아우디는 콰트로 특유의 주행감이 또 있습니다.
서로에 대한 비교는 이론이 되었건 실제가 되었건... 각자의 몫입니다.
다들 한 가닥씩하는 차들이니까요.
행성 기어의 기어비에 따라 전후 토크의 기본 배분을 바꿀 수 있습니다. 50:50도 가능하고 40:60도 가능하죠.
후륜으로 토크를 많이 배분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RWD의 스티어링 필을 재현하기 위해서입니다.
재규어 뿐 아니라 벤츠나 BMW 역시 planetary gear로 전후 토크를 배분하고 있고 전륜에 40, 후륜에 60 정도의 토크를 기본적으로 실어주고 있습니다.
이 행성 기어들이 바로 센터 디퍼련셜입니다.
AWD에서 센터 디퍼런셜이 있어야하는 이유는 아시겠고요.
네 바퀴에 기본적으로 트랙션이 분배되기 때문에 눈길에서 좋은 성능을 냅니다.
하지만 너무 미끄러운 빙판길에서는 바퀴가 스핀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지요.
이 때 필요한 것이 슬립 제한 장치입니다.
AWD 라고 하더라도 이 슬립 제한 장치가 없으면 바퀴 하나만 헛돌아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것입니다.
X-type 의 경우엔 Viscous couling이 이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겠으나 여느 VC 방식과는 달리 행성 기어의 기어비를 전환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 행성 기어 없이 VC 자체가 센터 디퍼런셜 역할을 하는 차량도 있음.)
디퍼런셜이 락 되는 것이 아니라 토크의 배분이 전륜 60, 후륜 40으로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BMW와 벤츠의 AWD 제어 메카니즘은 약간 다릅니다.
토센 기어를 센터 디퍼런셜에 적용해서 디퍼런셜과 슬립 제한 장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아우디 콰트로는 성격이 다른 메카니즘이고요.
재규어, 벤츠, BMW의 AWD는 기본적으로 후륜구동의 필을 지향하는 메이커이고, 아우디는 콰트로 특유의 주행감이 또 있습니다.
서로에 대한 비교는 이론이 되었건 실제가 되었건... 각자의 몫입니다.
다들 한 가닥씩하는 차들이니까요.
2007.01.28 01:22:20 (*.235.109.227)
뭐 썩을 4륜이긴 하지만 제가 타는 DSM 계열의 미쯔비시의 4WD시스탬이 센터 디프렌셜이없고 비셔스 커플자체의 락업으로 토크 배분 합니다요ㅋ. 근데 웃긴게요 -_- 일명 tarmac 기어라고도 불리는 이 비셔스 커플링 통이. 미숑 까보면 둥그러니 통같이 되어잇습니다. 근데 이 비셔스커플링은 오버홀이 안되고 -_- 분해하면 도저히 조립할 제간이 없는 안에 오일이랑 클러치 판같은거 들어간 통짜 실린더리클 원형 통입니다.
2007.01.28 01:27:37 (*.235.109.227)
문제는 머냐면, 국내 DSM타시는분들이 뭐 차가 x차고 싸구려가 되서 그런건지.. -_- 잘모르시는 분이나 양아치 같은 쇼키들이 많이 타서 서비스 매뉴얼에 적혀져잇는건 쓰래기통에 떤지는지. 앞뒤 타이어 싸이즈 다른거 끼우고 휠 J수 틀린거 끼우고 멋지다 하고 안자잇드라구요-_-. 이렇게 되면 회전차가 항상 발생할수밖에 없기때문에 비셔스 커플링이 락업이 된상태를 오래 유지하게 되면(뭐 고속도로 항속이라도 가면요) 통안에 클러치 판같이 생긴것들이랑 오일이 타버립니다 -_- DSM부속집가도 비셔스 커플링 통 자체만 따로 잘 안팔아서 미숑아세이로 교체해야하는 상황이 -_-; 뭐 이야기가 살짝 빗나갓네요. 재규와에 관한 좋은글 감사합니다.
재규어는 제가 열광하는 브랜드가 아닌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저역시 세상에 독일차가 지금보다 많아져야한다고 믿는 사람은 결코 아닙니다.
세상에 독일차만 있다면 그보다 슬픈 카라이프는 없을 것 같습니다. 최소한 저처럼 여러차를 저 개인적인 관심에 의해 시승기회를 많이 가지는 사람에게는 말입니다.
자동차는 평가하는 사람이 어떤 방향으로 접근하느냐에 따라 좋은쪽으로 혹은 나쁜쪽으로 몰고갈 수 있습니다.
전 열정을 가지고 차를 깊이있게 평가하려고 노력하는 분들의 글을 존중합니다.
저 역시 제차는 물론이거니와 독일차에 대해 모르는 것이 많지만 기회가 되면 다른나라차들도 기회가 될 때마다 시승합니다. 제차를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른차를 많이 타봐야하고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론 때문이지요.
독일로 출국하기 전에도 마지막으로 레인지로버 스포츠를 시승했었지요.
이경석님의 재규어에 대한 열정만큼 재규어의 새로운 행보에 큰 성과가 있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