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굿이어 이글 vs 금호 mx 타이어 평가. (front: 225/45/17 rear: 245/40/17) 레이스트랙과 공도에서 이 두가지 종류의 타이어를 써본 경험을 바탕으로 제 생각을 말해보려고합니다. 타이어 선택또는 잡지식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타이어를 개발할때는 한가지 사이즈를 기준으로 정해놓고 그 임의로 정한 기준 사이즈의 타이어로만 테스트를 하여 개발에 들어가고 개발이 끝난 후에는 사이즈만 늘리거나 줄여서 판매하기 때문에 같은 종류의 타이어라 해도 타이어의 사이즈에따라 특성이 다르게 나올수도 있다고 합니다. 한마디로 개발시 기준이 되는 사이즈의 타이어가 그타이어의 컨셉에 가장 최적화 되어있는거죠. 기준이 되었던 사이즈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던 문제가 사이즈가 줄어들고 늘어남에따라 발생할 수있는 문제가 분명 있을텐데 그 점은 고려하지 않고 타이어를 개발한다는 이야기는 약간 충격이었습니다. (**타이어 테스트드라이버에게 직접 들은 얘기)
굿이어 이글 에프원 GS-D3 입니다. 타는 내내 정말 믿음직 스럽다고 느낀 타이어입니다. 트레드웨어 280에 V 형 패턴을 가지고 있어서 횡그립 보다는 종그립에 촛점을 둔게 아닌가 싶습니다.덕분에 배수성도 좋아져서 WET 그립은 거의 제가 타본 타이어들중(몇개없지만) 최고였습니다.
타이어 표면을 손가락으로 밀어 보았을때 "오 그립 나오겠는데" 정도의 끈적함이 느껴지고 눌러봤을때에는 딱딱하다고 느꼈습니다. 타이어랙에서 실시한 테스트에 여러가지 각종 비슷한 레벨 혹은 그이상의 등급들(AD07,RE050,MX,한타RS 등) 과 비교한 자료에 의하면 종합점수에서 당당히 1등을 차지한 바 있습니다. (이점에 끌려서 샀었죠) 제 기억이 맞다면 드라이그립은 절대적으로 우위에 있지 못했었고, WET 그립이 월등했었고 280 이라는 트레드웨어 덕분에 타이어 유지 측면에서도 좋은 점수를 받았었습니다. 브레이킹에서도 꽤 좋은 점수를 받았었죠(V 형 패턴 때문이 아닌가) 그래서 다른 타이어들이 갖추고 있지 못한 점을 두루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드라이그립도 높은 편이라 종합점수에서 1등을 먹었습니다.
다음은 금호MX 입니다. 트레드웨어는 굿이어보다 60 이 낮은 220 입니다. 손가락으로 표면을 문질러봤을때 굿이어만큼의 그립은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좀 미끄럽지 않나 싶더군요 손가락으로 꾹꾹 눌러보면 굿이어보다 훨씬 말랑말랑하고 타이어재질이 많이 부드럽다는 느낌입니다. 사진으로 비교해봐도 MX 가 훨씬 말랑말랑한 느낌입니다. 타이어 만지는 촉감이너무 보드랍고 좋아서 계속 만져봤습니다.
타이어 숄더 부분이 굿이어 보다 조금더 각이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MX 는 그립은 좋은데(안좋다고 하는 사람도 많더라고요) 너무 빨리 닳는다(그렇지만 싼가격) 테스트 평가가 안좋더라.....하는 안 좋아 하는 사람도 많고, 좋아하는 사람도 많은 그런말 많은 타이어라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관심을 많이 받는 타이어라고 할 수도 있겠죠.
트랙주행을 방금 마친 MX 의 모습입니다.
트랙주행을 방금 마친 MX 의 모습입니다.
트랙주행을 방금 마친 GS-D3 의 모습입니다.
경주트랙에서의 사용 느낌은(완전 타이어 테스트 드라이버가된듯한 느낌이네요).
굿이어로 탔을때 그립을 최대로 얻기위해 초기에 타이어 열을 올리는 작업이 조금 필요했습니다.MX 는 그냥 처음부터 빡쎄게 코너를 돌아도 괜찮았습니다.(완전 타임어택용)
공기압의 영향을 굿이어보다는 MX 쪽이 훨씬 많이 받습니다.
MX 의 경우 공기압 세팅에 애를 조금 먹었습니다. 보통 트랙 들어가기전 35 이하로
넣을것을 추천합니다. 저는 이번에 앞뒤 33/34 정도 넣었는데 다음번에는 30까지
내려볼 생각입니다.
굿이어는 사이드월이 MX 에 "비해" 약합니다.(하지만 금호 SPT 보다는 강하고, 사이드월이 뭉개지면서 언더스티어가 더 쉽게 난다..하는 느낌은 전혀 없습니다. 하지만 조금만 더 탄탄했으면 하는정도..)S2000 의 경우 이 단점 때문에 날까로운 회두성이 저속에서 잘 살아나지 못했었는데요.MX 는 사이드월이 탄탄했습니다. 그동안 제가 타왔던 타이어중에서도 말이죠. 고속에서 핸들을 좌우로 흔들어봤을때(차의 방향이 바뀌지않을정도의아주 미세한정도) 이전보다 차가 훠얼씬 민감하게 반응해줍니다. 굿이어를 끼고 이 실험을 했을때는
차가 어디로 가야할지 부르르 흔들리는 모습이었었죠.
트랙에서 타이어를 마구 괴롭히다보면 타이어가 뜯겨져나가는 형상으로 봐서
컴파운드가 약한가 강한가 판단하는데(물론 공기압이라는 변수가 있겠지만요)
굿이어의 경우에는 컴파운드가 강해서(딱딱해서) 뜯겨져 나가거나 하는 일은 전혀
눈을 씻고 볼 수가 없었습니다. 아주 이쁘게 잘 닳아 집니다.
MX 는 컴파운드가 아주 말랑말랑 부드럽습니다.
때문에 타이어가 잘 밀려나가고 뜯겨져 나갑니다.
타이어 특성에따른 차이라고 봅니다.
굿이어는 타이어가 열을 많이 받아도 상당히 젠틀하게 (그립이 많이 안 떨어집니다. 열에강하다고 해야하나요)미끄러지고 스킬음이 MX에 비해 많이 나는 편이었습니다.
그래서 정보를 파악하기도 쉬웠고 스킬음이 나기 시작해도 어느정도 한계까지 더 끌고 갈 수있는 성질이었습니다. MX 는 4km 정도 되는 코스 기준으로 5바퀴째 넘어가면 열이 받아서 그립이 굿이어가 보여줬던 끈질김 보다는 열에 약한모습입니다. 굿이어에 적응 되어있어서 MX 끼고 lab 수가 올라감에따라 카운터스티어 양도 많아지고 급기야 스핀까지 연속으로 하면서야 그제서야 깨달았습니다. 하지만 타이어가 열을 받은 상태여도 굿이어보다는
그립이 좋습니다. 한계를 조용히 알리는 성질이고 한계가 넘어가면 다루기가 굿이어보다 어렵습니다. 개인적으로 MX 가 더 재미있었습니다.
드라이 그립은 확실히 MX 가 굿이어보다 우위에 있었습니다. (F: 225/45/17, R: 245/40/17 기준) MX 를 끼고 코너를 빡쎄게 돌때 훨씬 타이어가 "끈적인다" 라고 느껴지기 굿이어보다 충분했습니다. 전 개인적으로 이 "끈적임" 의 느낌이 아주 좋았습니다.
흡배기와 코일오버가 들어간 E46 M3 에 AD048 앞뒤 같은사이즈로 265/35/18 을 타는 오너도 제차를 동승해보고서 타이어가 아주 끈적이고 좋다며 요꼬하마에 비해 크게 뒤지지 않는것 같다는 의견을 줬습니다.(분명 조수석에서 느끼는 느낌은 드라이버가 느끼는 느낌과 다르다는 것을 미리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반대로 제가 이 M3 옆에 동승해서 타보니 드라이 그립은 요고하마가 조금 더 뛰어났으나
끈적이는 느낌 자체는 거의 비슷했습니다. 또 타이어가 열을 받기 시작하면, 요꼬하마도
그립을 조금 잃는 특성이 있는데 MX 의 그것보다는 젠틀했습니다.
한마디로,
굿이어는 어떤 드라이버에게도 확실하고 편한 정보를 쉽게 전달해주며 다루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립이 많이 높고.(멀티플레이어)
MX 는 초반에 오 이거 좋은데! 하고 빡세게 타며 앞차 추격하다가 나중에 그립이 확 떨어져서 스핀할수있는 그런..신중하게 타이어를 신경쓰면서 달려야한다고 느꼈습니다. 하지만 MX 의 이런 성질을 잘 알고 미리 이쯤되면 그립이 조금 떨어지겠구나 하고 신경써서 달리다보니 나름대로 끈질긴 그립을 보여줍니다.
다만 그 타협점을 찾아가는 과정이 더 섬세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평상시 공도에서
저라면 무조건 굿이어입니다.(그렇다고 뭐 무조건 트랙에선 굿이어는 아니다 라는건 아니고요 ) 이런 wet 그립을 가진 타이어는 정말 처음입니다.
드라이 그립또한 공도에서는 100% 만족스러울 정도 였습니다.(트랙에선 2% 부족)
그러면서 상대적으로 내구성도 좋고...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고요,
또 타이어는 사람마다 좋아하는게 다르니까...제가 느끼는게 틀릴수도 있는거고...
GS-D3 가 한국에서 구하기 어려운 타이어고 많은분들이 관심 있으셔서 적어봤습니다.
나중에 공도에서 그냥 타는 용으로 타이어를 선택해야한다면 전 주저없이 다시
GS-D3 를 선택하고싶을 정도로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하지만 절대적인 드라이그립만을 위하는 트랙 주행에서는 MX 가 훨씬 좋았습니다.

2007.04.10 13:00:22 (*.111.201.85)
저도 위의 두타이어와 한타의 RS-2,요꼬하마 네오바까지 다써봤는데요,드라이그립은 네오바,RS-2,MX,GS-D3순이었고요(물론 GS-D3가 드라이그립이 만족스럽지않다는 뜻은 아니고요),웻그립은 당연 GS-D3가 최고였습니다.E36 M3를 타면서 느낀것은 어느정도의 고출력 후륜차량을 타는데있어서 빗길에서의 안정적인 느낌은 일반적인 날의 약간의 그립차를 아쉬워하지않고 쉽게 포기할수있게 해주더군요!!!^^ 게다가 트레드웨어280은 3~6개월마다 바꾸던 타이어를 1년간 타게해줘서 경제적으로도 너무 고맙더군여^^ 제발 굳이어코리아에서 다양한 사이즈의 GS-D3를 다시 수입해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국산중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하고있는 타이어는 한타의 S1 evo입니다.앞으로 특별히 같은 개념으로 더좋은 타이어가 나오지않는한 두종류중에 하나를 끼고 다닐것 같습니다,,,
2007.04.10 13:08:58 (*.69.95.35)

A048이라면 competition급의 세미슬릭인데 MX의 드라이그립이 정말 좋긴 좋은가보네요 @_@ 금호를 다시 보게 됩니다 :) 실감 나는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2007.04.10 13:23:23 (*.187.30.2)
아주 유용한 정보네요.
F1 GS-D3는 말도 안되는 이유지만..그 패턴 모양이 맘에 안들어서 사용을 안해봤고... ^^ MX는 아주 아주 오래전에 몇번 사용해봤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한국 타이어의 고성능 라인이 금호쪽 보다 제 취향에 맞았었습니다.
지금은 조용하고 가격 착한 미쉐린 PP2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F1 GS-D3는 말도 안되는 이유지만..그 패턴 모양이 맘에 안들어서 사용을 안해봤고... ^^ MX는 아주 아주 오래전에 몇번 사용해봤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한국 타이어의 고성능 라인이 금호쪽 보다 제 취향에 맞았었습니다.
지금은 조용하고 가격 착한 미쉐린 PP2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2007.04.10 13:38:53 (*.226.174.102)
대단한 비교시승기입니다.
강우님의 내공이 장난이 아니네요^^
강우님이 느끼셨던 MX느낌은 제가 생각했던 것이랑 거의 흡사하네요^^
강우님의 내공이 장난이 아니네요^^
강우님이 느끼셨던 MX느낌은 제가 생각했던 것이랑 거의 흡사하네요^^
2007.04.10 13:42:08 (*.12.196.86)

마른 노면보다 젖은 노면에서 실수할 확률이 높고, 젖은 노면에서의 한번 실수는 여파를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라는데에서 일상적으로는 GS-D3가 가장 좋을 듯 합니다만, 눈길에서 맥을 못 출 패턴이라는게 아쉽더군요. (너무 많은 것을 바라면 안 되긴 합니다.)
2007.04.10 14:21:05 (*.72.86.223)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제 알삼이에 순정으로 달려나왔던 타이어가 GS-D3였는데, 개인적으로는 실망감이 많았던 타이어였어요. 평가수치상으로는 정말 좋아야하는데 개인적으로 Wet 그립에 대해선 별로였지요. 결정적으로 사이드 월이 약해서 혹(찐빠라고 하던가요? ㅡ.ㅡ)나는 문제는 2년전부터 여러 알삼이 오너들이 GS-D3에 등을 돌려버리는 계기가 되었지만, 박강우님께서 설명해 놓으신대로 좋은 타이어라는데는 이견이 없습니다.
정한조님이 지적하신 부분, 눈길에서의 GS-D3의 맥을 못추는 건 (정말 해서는 안되는 짓이었지만 ㅡ.ㅡ) 경험해 보면, 소름이 쫙 끼칠 정도인 0%에 근접한 트렉션을 보여줍니다. 가속도, 브레이크도 안된다는... 제자리에서 뱅글뱅글 돌다가 점진적으로 가긴 하는데... 조종 불가... 정지거리 500m... 예전에 다른 여름용타이어로 눈길에서 잠깐씩 장난친 경험을 미뤄봤을 때, 뭐 이런게 타이어가 다있나 싶을 정도로 '정석'이었죠. ^^a
현재 사용하고 있는 BFGoodrich g-force T/A KDW 2 다음 타이어로 금호를 생각하고 있는데(지적하신대로 가격의 장점때문에), 두 타이어를 비교해 주시니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제 알삼이에 순정으로 달려나왔던 타이어가 GS-D3였는데, 개인적으로는 실망감이 많았던 타이어였어요. 평가수치상으로는 정말 좋아야하는데 개인적으로 Wet 그립에 대해선 별로였지요. 결정적으로 사이드 월이 약해서 혹(찐빠라고 하던가요? ㅡ.ㅡ)나는 문제는 2년전부터 여러 알삼이 오너들이 GS-D3에 등을 돌려버리는 계기가 되었지만, 박강우님께서 설명해 놓으신대로 좋은 타이어라는데는 이견이 없습니다.
정한조님이 지적하신 부분, 눈길에서의 GS-D3의 맥을 못추는 건 (정말 해서는 안되는 짓이었지만 ㅡ.ㅡ) 경험해 보면, 소름이 쫙 끼칠 정도인 0%에 근접한 트렉션을 보여줍니다. 가속도, 브레이크도 안된다는... 제자리에서 뱅글뱅글 돌다가 점진적으로 가긴 하는데... 조종 불가... 정지거리 500m... 예전에 다른 여름용타이어로 눈길에서 잠깐씩 장난친 경험을 미뤄봤을 때, 뭐 이런게 타이어가 다있나 싶을 정도로 '정석'이었죠. ^^a
현재 사용하고 있는 BFGoodrich g-force T/A KDW 2 다음 타이어로 금호를 생각하고 있는데(지적하신대로 가격의 장점때문에), 두 타이어를 비교해 주시니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2007.04.10 14:34:22 (*.12.180.129)

한때 앞에 SPT, 뒤에 GS-D3 끼고 눈길을 간 적이 있었는데, ... 영인님 말씀대로 눈길그립이 0이다 보니 뒤만 혼자서 춤추는 결과가 나더군요. 4륜 모델이라 더 심했던 거 같습니다. 액셀링을 무지 잘해야 했어요. 올겨울에는 앞뒤 모두 SPT를 끼고 다녔는데 한참 더 안정적이었습니다.
두 타이어 모두 써봤고, 비슷한 의견입니다. 섬세하게 분석해주셨네요. : )
두 타이어 모두 써봤고, 비슷한 의견입니다. 섬세하게 분석해주셨네요. : )
2007.04.10 14:59:17 (*.34.197.186)

일전에..저두 s2k에 GS-D3, AD07, N3000, RE070을 태백에서 나름 테스트를 해보았는데...GSD3가 컨트롤이 쉽더군요...마모도 이쁘게 닳구요...강우님이 쓰신 내용과 비슷한 느낌이었습니다...
2007.04.10 17:29:50 (*.82.76.203)

제 경우엔, 초기의 MX 그립은 상당히 좋다고 느꼈으나, 트레드의 마모율이 높아짐에 따라 그립력이 떨어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우천시 빗길에서의 그립도 초기엔 좋은 편이였으나, 마모율이 높아짐에 따라 젖은 노면의 그립력 또한 급격히 떨어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종합해 보면, 100%~80% 정도까진 상당한 만족감을 주나 80% 정도 이하로 트레드가 닳아지면 '이게 MX 가 맞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그립이 현저히 떨어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R-s2 가 종합적인 면에서 더 좋은 느낌으로 다가왔던것 같구요.
GSD3 는 한번 꼭 써보고 싶네요 ^^;
혹시 S1evo 를 써보신분이 계시면 사용기도 부탁좀 드리겠습니다 ^^;
우천시 빗길에서의 그립도 초기엔 좋은 편이였으나, 마모율이 높아짐에 따라 젖은 노면의 그립력 또한 급격히 떨어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종합해 보면, 100%~80% 정도까진 상당한 만족감을 주나 80% 정도 이하로 트레드가 닳아지면 '이게 MX 가 맞나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그립이 현저히 떨어지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R-s2 가 종합적인 면에서 더 좋은 느낌으로 다가왔던것 같구요.
GSD3 는 한번 꼭 써보고 싶네요 ^^;
혹시 S1evo 를 써보신분이 계시면 사용기도 부탁좀 드리겠습니다 ^^;
2007.04.10 17:47:25 (*.159.88.123)
네오바는 Break-in 어느정도 하고 난 후의 그립이 완전 마모시까지 쭈욱~ 유지됩니다^^
(완전 열받았을 때는 제외)
(완전 열받았을 때는 제외)
2007.04.10 20:07:07 (*.152.221.109)
네오바의 소음과 승차감은 어느 정도인가요...? MX는 세미슬릭 정도의 좋은 드라이그립을 느꼈었는데...마모도 빠르고 엄청난 와글와글대는 소음때문에 고통스러웠지만 그립하난 참좋았었고~ 현재는한타 S1 evo를 쓰고 있습니다.트레드웨어가 280이고 먼저 소음과 승차감이 완전...짱입니다.고성능의 범주에드는 놈들중에는 가장 조용한 등급인것같고 승차감도 아주 쫀득하니 만족할만하고요. 고속직진성,횡그립,웨트그립...브리지스톤 RE050A와 아주 비슷하다고 할까요..PS2에 2%정도 애교로 접어주면 될정도일거라 봅니다.아주 한국타이어를 새롭게 보게된 놈입니다. 이정도면 구지 비싸게 고민할 필요있나 싶군요.
2007.04.11 00:23:11 (*.12.215.141)

저도 S1 EVO 로 사용 중인데.. 만족합니다. 그동안 카라이프에 빠져들면서 한국타이어는 한번도 써본적이 없었는데.. 깜딱 놀랐습니다. 가격대비 성능 매우 좋네요.. ^^ 아직 본격적인 테스트는 못해보았지만.. PS2 에 비해 사이드월 강성도 더 좋게 느껴지네요..
2007.04.13 11:18:37 (*.46.159.51)
테드의 내공 높으신 분들이 각각 타이어의 느낌을 비교해보고 정리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음 좋을 것 같습니다. 타이어에 관한 외국 자료는 많은데 국내 사정에 맞는 국내에 출시된 타이어들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느낌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자료가 나오지 않을까요?
2007.05.07 17:58:41 (*.114.62.34)

좋은 글과 자세한 비교 설명 잘 봤습니다.
GSD3 235/40.18을 아직 창고에 고히 보관중입니다.
A6용으로 사용했었고, 현재는 브릿지스톤 RE050A 동일 사이즈를 신고 있는데, 세단에 사용하기에 대단히 좋으면서도 그립도 기대를 훨씬 상회했었습니다.
독일산 굿이어는 여러모델을 경험해보았는데, 특징이 수명이 상당히 길다는 점이 좋았고, 무게가 덜 나간다는 점도 좋았습니다.
GSD3 235/40.18을 아직 창고에 고히 보관중입니다.
A6용으로 사용했었고, 현재는 브릿지스톤 RE050A 동일 사이즈를 신고 있는데, 세단에 사용하기에 대단히 좋으면서도 그립도 기대를 훨씬 상회했었습니다.
독일산 굿이어는 여러모델을 경험해보았는데, 특징이 수명이 상당히 길다는 점이 좋았고, 무게가 덜 나간다는 점도 좋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