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안녕하세요^^; 강성환 입니다.
일단 제 차량은 파워업이 되어있지 않은 심장을 가진 투스카니입니다^^;
현재 엔진은, 배기매니폴드를 제외한 완전 순정입니다.
(순정촉매개조후 장착 4-2-1 --순정털렸을때 사제가 더 싸서장착)
흡기나 플러그 케이블같은 자잘한 교체도 이루어지지 않은 전부 순정품 상태.
다이노 마력 132의 낮은 출력의 차량이랍니다..
(투카 타는분들은 보통 흡,배기라도 해서..140마력이 넘던데ㅠㅠ;;)
일단 이번에 장착한 타이어는 이렇습니다.
앞,뒤 동일 스펙의 휠.. 8.5J 35
앞타이어 K104(235-40-17)
뒷타이어 S-drive(215-45-17)
앞타이어의 접지면이 늘어서 그런지.
혹은 림폭대비 적절한 넓이의 타이어를 껴서 그런지..
핸들링이 상당히 개선되었고요.
다운힐에서 타이어 사이드월이 접히는 현상이 사라졌습니다.
그러나....K104가 종래에 써오던 RE050이나,S-drive보다는 접지력이 떨어지네요..^^;
힐클라임보단 다운힐에서 더 재미 있습니다~
사이드월이 안접히고 언더가 잘나니까..
코너 선회부터 인으로 감고 들어가면..
자연 스레 약한 언더스티어로 아웃라인이 그려집니다^^;;
넓고 무거운 타이어가 추가되어 가속력이 다소 희생된 느낌이지만,
막상 주행때 별 차이는 없으며(하체가 튼튼하여 각종 부쉬의 변형률이 적어서 손실량이 적은듯합니다.).
더욱더 칼날같은 핸들링과 안정성으로 좀더 빠르고,재미있고,안전한 다운힐이 가능할듯합니다^^;;
훗....역시 나의 판단은 틀리지 않았어.ㅋ
But, K104가 저의 무식한 바디 앞에서 쉽게 슬립하는걸 보니 눈물이 ㅠㅠ;;;
235~245-40-17 급의 쓸만한 타이어 추천부탁드립니다.
사이드월 단단한걸로... 접지력은 S-drive정도면 되고요^^;;
그 이상은 괜히 어줍짢은 실력에 높아진 접지력으로 코너웍향상된걸 제 실력으로 착각하게 되는
불상사가 생길수도 있으니 패스..ㅋ
현재 생각하는건.
S-drive,re001 정도 입니다.
네오바,A048,rs-2,mx,re-01r,re070등의 타이어를 쓰라는 말씀은 ㅠㅠ;;;
일단 본격적인 시즌을 시작하는 K군의 잡담이었습니다.
허리는 상당히 많이 치유가된듯하고...
다음주중 퇴원후 본격적인 재활운동(산책,스트레칭,헬스등..)과 함께
체중감량도 하고..더욱더 건강한 신체와 차량...그리고 건전한 마인드로 ...
산에서 뵙겠습니다 -_-;;
(등산모임도 아니고 ...)
일단 제 차량은 파워업이 되어있지 않은 심장을 가진 투스카니입니다^^;
현재 엔진은, 배기매니폴드를 제외한 완전 순정입니다.
(순정촉매개조후 장착 4-2-1 --순정털렸을때 사제가 더 싸서장착)
흡기나 플러그 케이블같은 자잘한 교체도 이루어지지 않은 전부 순정품 상태.
다이노 마력 132의 낮은 출력의 차량이랍니다..
(투카 타는분들은 보통 흡,배기라도 해서..140마력이 넘던데ㅠㅠ;;)
일단 이번에 장착한 타이어는 이렇습니다.
앞,뒤 동일 스펙의 휠.. 8.5J 35
앞타이어 K104(235-40-17)
뒷타이어 S-drive(215-45-17)
앞타이어의 접지면이 늘어서 그런지.
혹은 림폭대비 적절한 넓이의 타이어를 껴서 그런지..
핸들링이 상당히 개선되었고요.
다운힐에서 타이어 사이드월이 접히는 현상이 사라졌습니다.
그러나....K104가 종래에 써오던 RE050이나,S-drive보다는 접지력이 떨어지네요..^^;
힐클라임보단 다운힐에서 더 재미 있습니다~
사이드월이 안접히고 언더가 잘나니까..
코너 선회부터 인으로 감고 들어가면..
자연 스레 약한 언더스티어로 아웃라인이 그려집니다^^;;
넓고 무거운 타이어가 추가되어 가속력이 다소 희생된 느낌이지만,
막상 주행때 별 차이는 없으며(하체가 튼튼하여 각종 부쉬의 변형률이 적어서 손실량이 적은듯합니다.).
더욱더 칼날같은 핸들링과 안정성으로 좀더 빠르고,재미있고,안전한 다운힐이 가능할듯합니다^^;;
훗....역시 나의 판단은 틀리지 않았어.ㅋ
But, K104가 저의 무식한 바디 앞에서 쉽게 슬립하는걸 보니 눈물이 ㅠㅠ;;;
235~245-40-17 급의 쓸만한 타이어 추천부탁드립니다.
사이드월 단단한걸로... 접지력은 S-drive정도면 되고요^^;;
그 이상은 괜히 어줍짢은 실력에 높아진 접지력으로 코너웍향상된걸 제 실력으로 착각하게 되는
불상사가 생길수도 있으니 패스..ㅋ
현재 생각하는건.
S-drive,re001 정도 입니다.
네오바,A048,rs-2,mx,re-01r,re070등의 타이어를 쓰라는 말씀은 ㅠㅠ;;;
일단 본격적인 시즌을 시작하는 K군의 잡담이었습니다.
허리는 상당히 많이 치유가된듯하고...
다음주중 퇴원후 본격적인 재활운동(산책,스트레칭,헬스등..)과 함께
체중감량도 하고..더욱더 건강한 신체와 차량...그리고 건전한 마인드로 ...
산에서 뵙겠습니다 -_-;;
(등산모임도 아니고 ...)

2008.05.25 17:38:22 (*.206.228.28)
김광삼님 말씀대로 네오바 강추합니다.
저는 6.5J림폭에 195/55/15사이즈 쓰고있는데.....
공도 와인딩에서는 두려울 것이 없습니다. ㅋㅋㅋ
저는 6.5J림폭에 195/55/15사이즈 쓰고있는데.....
공도 와인딩에서는 두려울 것이 없습니다. ㅋㅋㅋ
2008.05.25 17:50:38 (*.39.111.51)

전 좀 생각이 다릅니다. 235 찬성입니다.
강화된 샤시에는 그 만큼의 넓어진 트레이드도 좋습니다.
단 와인딩에서요 작년에 처음 티뷰론 바디에 245 타이어를
앞 뒤로 장착하고 시합 나갈때 모든 사람들이 비웃고 반대했습니다.
저 역시도 그러했습니다. 245/45/17에 티뷰론 바디라....,
참 어렵더군요 핸들도 다 안돌아가고 하우스 작업을 해도 말이죠
ㅎㅎ 헌데 씨즌이 넘어갈 수록 245끼는 차들이 엄청 많아지고
랩타임도 더 단축되더군요 샤시가 받쳐주고 와인딩이 목적이라면 와이드
타이어의 쎄팅값만 찾아주면 더 유리하고 안정적이면 빠른 랩타임이
가능하다는 1인입니다 다만 공도에서 최속이나 순간가속은 떨어지고
노면타는것도 많지만 오로지 와인딩만을 위한 쎄팅이라면 괜찮을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타이어는 네오바 훌륭합니다. 만약 좀 더라는
생각이 있으시면 RE01R 정도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강화된 샤시는 업그레이드된 타이어의 그립을 요구하니까요 ^^;;
마스터님이 최근 이 타이어를 쓰시던데 네오바와 비교 시승기
부탁드립니다.
전 개인적으로 남산주행시에 네오바 보다 더 낫다는 생각이 들던데요 ^^;;
강화된 샤시에는 그 만큼의 넓어진 트레이드도 좋습니다.
단 와인딩에서요 작년에 처음 티뷰론 바디에 245 타이어를
앞 뒤로 장착하고 시합 나갈때 모든 사람들이 비웃고 반대했습니다.
저 역시도 그러했습니다. 245/45/17에 티뷰론 바디라....,
참 어렵더군요 핸들도 다 안돌아가고 하우스 작업을 해도 말이죠
ㅎㅎ 헌데 씨즌이 넘어갈 수록 245끼는 차들이 엄청 많아지고
랩타임도 더 단축되더군요 샤시가 받쳐주고 와인딩이 목적이라면 와이드
타이어의 쎄팅값만 찾아주면 더 유리하고 안정적이면 빠른 랩타임이
가능하다는 1인입니다 다만 공도에서 최속이나 순간가속은 떨어지고
노면타는것도 많지만 오로지 와인딩만을 위한 쎄팅이라면 괜찮을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타이어는 네오바 훌륭합니다. 만약 좀 더라는
생각이 있으시면 RE01R 정도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강화된 샤시는 업그레이드된 타이어의 그립을 요구하니까요 ^^;;
마스터님이 최근 이 타이어를 쓰시던데 네오바와 비교 시승기
부탁드립니다.
전 개인적으로 남산주행시에 네오바 보다 더 낫다는 생각이 들던데요 ^^;;
2008.05.26 16:08:34 (*.39.213.85)

타이어의 둘레가 순정보다 많이 크지 않나요?
구동축에 장착된 타이어가 순정 수치에서 3% 이상 커지면 동력 계통에 무리간다고 하던데...
구동축에 장착된 타이어가 순정 수치에서 3% 이상 커지면 동력 계통에 무리간다고 하던데...
2008.05.26 17:55:36 (*.32.163.140)

FF에서 전륜에 광폭을 넣으면 좀 더 다이나믹한 드라빙이 가능하지요.
일본 FF튜닝카들에겐 흔한 셋팅입니다.
달리기위한 타이어를 고르신다면 뭐 더 볼 것없습니다. 네오바나 RE01R로
가시는게 후회없는 선택이 될 것입니다. 강력한 접지력과 사이드월을 느끼
실 수 있습니다.^^
일본 FF튜닝카들에겐 흔한 셋팅입니다.
달리기위한 타이어를 고르신다면 뭐 더 볼 것없습니다. 네오바나 RE01R로
가시는게 후회없는 선택이 될 것입니다. 강력한 접지력과 사이드월을 느끼
실 수 있습니다.^^
2008.05.29 22:44:46 (*.60.104.12)

던롭 디렛쟈 DZ 101도 많이 쓰는 타이어인데 절대그립은 떨어지지만 다방면에선
좋은 성능을 냅니다..
국내에 있을지모르겠네요.....
좋은 성능을 냅니다..
국내에 있을지모르겠네요.....
웬만해선 잘 안날아가는 차체를 보며 감동하게 된다니까..요
그나저나 순정 파워트레인에 235는 좀 -_-a;;
(그래도 테드이니, 여기선 높임말을 쓰겠습니다 ^^)
얼마전에.. 235 네오바 앞뒤 네짝을 끼운 이후로는 최초로,
(이전에는 훨씬 잘 날렸는데 이놈의 네오바 235 사이즈는..)
공도의 90' 교차로에서 슬라이드 턴을 성공했습니다.
(3번국도에서 서이천IC근처의 산업도로로 들어가는 좌회전 90')
진짜 웬만해선 절대 안날아가던 네오바도 100km 오버에서 던지니까,
결국 쫘아아악 돌아가더군요 ㅎ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