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글 수 1,578
08년식 GTI를 출고받고 튜닝은 최소한 1년은 지나서 해야겠다고 마음 먹었습니다.
더군다나 그 전에는 차에 어떤것을 바꾸는 것을 해본적이 없었기에 막연한 두려움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다짐은 두달 밖에 가지 않았습니다. 밤을 새서 이곳에서
정보를 얻었습니다. 다들 말씀하시는것이 중복투자, 과잉투자를 막기위해서는
많이 공부를 하라고 조언을 하시더군요.
특히 서스펜션 쪽의 튜닝은 중복투자를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튜닝된
차를 시승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제품을 찾아보라는 글이 가장 기억에 남았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것을 지키지 못했습니다. 그래도 처음 다짐했던것을 어느정도 지키기위해
하나씩 바꿔나가기로 마음을 먹고 로워링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1. 외관
저는 이곳 장터에서 H&R 스포츠 스프링을 구입하고 VAG에 가서 교체를 했습니다. 교체작업하면서
뒤바퀴에 12mm스페이서도 달았습니다(다른 것은 모두 순정상태). 장착을 하고 VAG측에서 시운전을 하고 오는데
제 차를 보니 정말 이쁘게 맞아 떨어지더군요. 둔턱을 넘어 오는데 바퀴가 휠하우스에서
움직이는 모습을 보니 적당한 딱딱함(혹은 소프트함)을 가지는 것 같아 참 마음에 들더군요.
주차를 하고 꼭 뒤돌아보면서 적당히 낮아진 차고와 빵빵한 엉덩이를 감상하면서 출근, 퇴근을 했습니다.
2. 승차감
제가 이곳에 올렸던 GTI 굴욕 이라는 글을 읽으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여자친구가 GTI를 굴욕시키는
내용의 글을 웃어보자는 식으로 올렸던 글입니다. 여자친구는 제가 스프링을 교체한 줄 모릅니다.
교체 후 여자친구를 처음으로 태우던 날이었습니다. 간호사 인지라 새벽에 일하고 만났던 날이었습니다.
여느때와 같이 조수석에 태우고 이동중이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여자친구가
"나 오늘 왜이렇게 속이 울렁거리지?" 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저는 "새벽까지 일해서 피곤해서 그런가보다"
라고 하면서 재웠습니다. 피곤해서 그런지 순식간에 신발을 벗고 양반다리를 하고 잠이 든 모습을 보니
참 미안했습니다. 하지만 더 미안한 마음이 든건 양반다리를 한 채 무릎이 계속 위아래로 떨리고 있는
모습을 보았을 때 였습니다. 특히 노면이 안좋아서 도로가 길게 푹 꺼진 부분을 고속으로 지나치면
롤러코스터 탈때의 느낌이 나더군요.
동일한 날 여자친구와 여자1, 남자1을 태우고 강변 북로를 달리게 되었습니다. 여자1이 여자친구에게
출발 직후 이 차의 승차감이 어떻냐고 물어봤습니다. 이떄 여자친구가 "언니, 이차 승차감 최악이에요"
라고 하는 것을 듣고 있자니 참 기분이 묘하더군요. 강변북로를 달리는데 여자1도 승차감에 대해
동의하더군요. 남자1은 승차감에 대해 별로 거부감이 없었구요.
3. 퍼포먼스
스프링도 교체 했겠다...차고도 낮아졌으니 코너링이 좀 좋아졌겠지 싶어서 한번 돌아나가봤습니다.
순정에 비해서 좋아진것이 좀 느껴졌습니다. 어쩌면 순전히 느낌이었는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분명히 순정에 비해 뭔가 좋아졌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어느날 퇴근길에 상습정체 구간이었던 곳이
안막히길래 큰 코너를 돌고 가속을 했습니다. 그런데 노면이 안 좋은 곳을 실수로 제대로 지나쳤더니
하부에서 '퍽' 소리가 나더군요. 이것이 글로만 보던 순정뎀퍼와 짧아진 스프링의 궁합이라는 건가..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순정스프링에 맞춰진 뎀퍼가 짧아진 스프링과의 움직임이 꼬여서 일어나는 일일까...
아니면 스프링이 짧아져서 뎀퍼가 최고로 압축되면서 나는 소리인가...
무엇이던지 가슴이 찢어지더군요...
4. 깨달음
결론적으로 튜닝을 하면 얻는것과 잃는것이 모두 있다는 것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제 자신을 잘 파악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운전을 살살 하는 줄 알았습니다.
그래서 로워링 해도 괜찮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실제로 스프링 교체전에 올린 질문글에
H&R 스포츠 스프링만 교체하시고 2년간 아무 무리없이 잘 다니신다는 분의 답변도 받았기에
믿었습니다만 저는 아니었더군요. 그리고 제가 승차감을 어느정도 따지는 줄 알았는데
타보니 지금 보타 훨씬 딱딱해도 괜찮겟더군요
5. 결론
스프링을 바꾸고 나니 속력을 내기에 겁이 납니다. 특히 노면이 안좋은 도로에서는 말이죠.
ps.
아무것도 모르는 GTI 오너이지만 저랑 비슷한 경험치를 가지고 계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긴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더군다나 그 전에는 차에 어떤것을 바꾸는 것을 해본적이 없었기에 막연한 두려움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다짐은 두달 밖에 가지 않았습니다. 밤을 새서 이곳에서
정보를 얻었습니다. 다들 말씀하시는것이 중복투자, 과잉투자를 막기위해서는
많이 공부를 하라고 조언을 하시더군요.
특히 서스펜션 쪽의 튜닝은 중복투자를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튜닝된
차를 시승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제품을 찾아보라는 글이 가장 기억에 남았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것을 지키지 못했습니다. 그래도 처음 다짐했던것을 어느정도 지키기위해
하나씩 바꿔나가기로 마음을 먹고 로워링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1. 외관
저는 이곳 장터에서 H&R 스포츠 스프링을 구입하고 VAG에 가서 교체를 했습니다. 교체작업하면서
뒤바퀴에 12mm스페이서도 달았습니다(다른 것은 모두 순정상태). 장착을 하고 VAG측에서 시운전을 하고 오는데
제 차를 보니 정말 이쁘게 맞아 떨어지더군요. 둔턱을 넘어 오는데 바퀴가 휠하우스에서
움직이는 모습을 보니 적당한 딱딱함(혹은 소프트함)을 가지는 것 같아 참 마음에 들더군요.
주차를 하고 꼭 뒤돌아보면서 적당히 낮아진 차고와 빵빵한 엉덩이를 감상하면서 출근, 퇴근을 했습니다.
2. 승차감
제가 이곳에 올렸던 GTI 굴욕 이라는 글을 읽으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여자친구가 GTI를 굴욕시키는
내용의 글을 웃어보자는 식으로 올렸던 글입니다. 여자친구는 제가 스프링을 교체한 줄 모릅니다.
교체 후 여자친구를 처음으로 태우던 날이었습니다. 간호사 인지라 새벽에 일하고 만났던 날이었습니다.
여느때와 같이 조수석에 태우고 이동중이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여자친구가
"나 오늘 왜이렇게 속이 울렁거리지?" 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저는 "새벽까지 일해서 피곤해서 그런가보다"
라고 하면서 재웠습니다. 피곤해서 그런지 순식간에 신발을 벗고 양반다리를 하고 잠이 든 모습을 보니
참 미안했습니다. 하지만 더 미안한 마음이 든건 양반다리를 한 채 무릎이 계속 위아래로 떨리고 있는
모습을 보았을 때 였습니다. 특히 노면이 안좋아서 도로가 길게 푹 꺼진 부분을 고속으로 지나치면
롤러코스터 탈때의 느낌이 나더군요.
동일한 날 여자친구와 여자1, 남자1을 태우고 강변 북로를 달리게 되었습니다. 여자1이 여자친구에게
출발 직후 이 차의 승차감이 어떻냐고 물어봤습니다. 이떄 여자친구가 "언니, 이차 승차감 최악이에요"
라고 하는 것을 듣고 있자니 참 기분이 묘하더군요. 강변북로를 달리는데 여자1도 승차감에 대해
동의하더군요. 남자1은 승차감에 대해 별로 거부감이 없었구요.
3. 퍼포먼스
스프링도 교체 했겠다...차고도 낮아졌으니 코너링이 좀 좋아졌겠지 싶어서 한번 돌아나가봤습니다.
순정에 비해서 좋아진것이 좀 느껴졌습니다. 어쩌면 순전히 느낌이었는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분명히 순정에 비해 뭔가 좋아졌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어느날 퇴근길에 상습정체 구간이었던 곳이
안막히길래 큰 코너를 돌고 가속을 했습니다. 그런데 노면이 안 좋은 곳을 실수로 제대로 지나쳤더니
하부에서 '퍽' 소리가 나더군요. 이것이 글로만 보던 순정뎀퍼와 짧아진 스프링의 궁합이라는 건가..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순정스프링에 맞춰진 뎀퍼가 짧아진 스프링과의 움직임이 꼬여서 일어나는 일일까...
아니면 스프링이 짧아져서 뎀퍼가 최고로 압축되면서 나는 소리인가...
무엇이던지 가슴이 찢어지더군요...
4. 깨달음
결론적으로 튜닝을 하면 얻는것과 잃는것이 모두 있다는 것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제 자신을 잘 파악하지 못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운전을 살살 하는 줄 알았습니다.
그래서 로워링 해도 괜찮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실제로 스프링 교체전에 올린 질문글에
H&R 스포츠 스프링만 교체하시고 2년간 아무 무리없이 잘 다니신다는 분의 답변도 받았기에
믿었습니다만 저는 아니었더군요. 그리고 제가 승차감을 어느정도 따지는 줄 알았는데
타보니 지금 보타 훨씬 딱딱해도 괜찮겟더군요
5. 결론
스프링을 바꾸고 나니 속력을 내기에 겁이 납니다. 특히 노면이 안좋은 도로에서는 말이죠.
ps.
아무것도 모르는 GTI 오너이지만 저랑 비슷한 경험치를 가지고 계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긴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2008.07.03 17:12:59 (*.131.58.115)

저도 같은 조합입니다. 순정 댐퍼에 H&R 스포츠 스프링. 전 다행히도 현호님과 같은 트러블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만, 전 장착과정에서 샵의 실수가 있어서 여러번 샵을 들락거렸고 그걸로 인한 스트레스가 장난 아니었죠 ^^ 암튼, 지금은 전 만족하면서 타고다니는데요. 일단 딱 떨어지는 자세가 너무 맘에 들고요, 롱코너에서 롤이 약간 줄어든 느낌입니다. 200오버의 고속에서는 댐퍼가 100% 받아주지지는 못하는 느낌이지만, 중고속에서는 상당히 매칭이 좋구요.. 요철많은 시내길은 아무래도 전보다는 승차감이 떨어집니다만, 원래 GTI가 편안한 차는 아니니까요. 전 만족하면서 타고 있습니다.
2008.07.03 19:47:35 (*.140.148.249)

투스카니에 일체형 서스펜션을 달고 있는 제 경우는..
아예 와이프나 딸내미들도 제 차 타기를 거부합니다 -_-
(그래서 완전히 저 혼자 타는 차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런데 가끔은 오히려 그게 더 좋기도 합니다..
제 차에게 안락함 같은 건 전혀 신경안쓰면서,
순수하게 퍼포먼스에만 투자할 수 있는 차가 되어버려서..
(물론 가족용 차량이 따로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이야깁니다만)
아예 와이프나 딸내미들도 제 차 타기를 거부합니다 -_-
(그래서 완전히 저 혼자 타는 차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런데 가끔은 오히려 그게 더 좋기도 합니다..
제 차에게 안락함 같은 건 전혀 신경안쓰면서,
순수하게 퍼포먼스에만 투자할 수 있는 차가 되어버려서..
(물론 가족용 차량이 따로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이야깁니다만)
2008.07.03 20:45:57 (*.25.141.250)

버텀아웃이 안되게 고무 부싱이 끼워져 있으니 성능상에 이상은 안생기지만 상당히 불쾌한 느낌이죠. 순정댐퍼에 로워링스프링 조합은 특별한 문제가 없으나 5%부족한 뭔가가 항상 따라 다니는거 같습니다.
2008.07.03 22:10:25 (*.54.199.79)

빌스테인에 H&R조합은 많은 사람들이 그냥 답이다라고 이야기들 해서 (어차피 선택의 여지가 많지도 않고) 저도 그렇게 갔습니다. 세단이라 어느정도의 부드러운 승차감을 저는 유지하는 편입니다만 편하게 다닐때 또는 달릴때 두루두루 만족시키는 80%정도의 답이라 생각합니다.
2008.07.03 22:13:05 (*.54.199.79)

노면이 좀 안좋은 곳에서 마음놓고 밟을수 있는 편안함은 역시 순정이요, 코너링한계도 생각보다 낮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급차선회피 또는 연속회피 동작에서 또는 예상치 않은 바운싱등의 급격한 거동에서는 역시 쇽업과스프링을 바꾸어 주는것이 좋다고 결론내렸고 빌스테인+HR스프링은
개인적인 판단으로 너무 고급스러운? 승차감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급차선회피 또는 연속회피 동작에서 또는 예상치 않은 바운싱등의 급격한 거동에서는 역시 쇽업과스프링을 바꾸어 주는것이 좋다고 결론내렸고 빌스테인+HR스프링은
개인적인 판단으로 너무 고급스러운? 승차감이라 생각합니다.
2008.07.04 05:31:48 (*.230.177.101)

예전애마(구SM5)에 순정댐퍼에 H&R 스프링만 장착하고 다녔습니다.
고민에 고민끝에 첫 투자를 한 튜닝이었는데, 현호님과 같은 기분이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조금은 더 익숙해지긴 하지만..
튜닝이라는 것이 만족도가 어느정도인지도 중요한데 그 부분이 쉽게 바뀌진 않더군요.
고민에 고민끝에 첫 투자를 한 튜닝이었는데, 현호님과 같은 기분이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조금은 더 익숙해지긴 하지만..
튜닝이라는 것이 만족도가 어느정도인지도 중요한데 그 부분이 쉽게 바뀌진 않더군요.
2008.07.06 15:56:52 (*.174.211.178)

제 경험담 입니다만. 국산차에 해당되었던 이야기 입니다.
스프링만 바꿔서 조금 탄탄.낮아진 차고로 코너링을 즐기는데... 뭔가 좋지 못한 노면에서 더 울렁거리며 더 튄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스프링의 탄성계수(?)그 운동성능 만큼 댐퍼가 댐핑력을 따라가지 못해서 그렇다고 어디선가 주워듣고 보고 했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궁합이 잘 맞기도 했겠지만 애프터마켓의 댐퍼로 교체를 하자마자 차량은 밸런스가 잡혔구요. 정말 주행성능과 승차감이 좋았습니다.
물러터진 탄탄함(?)이라는 게 제 개인적인 표현입니다. 슬슬 갈땐 탄탄한거 같지만 어느정도 선을 넘어서니 물러터져서 퍽! 쿵! 하고 그랬었거든요...
댐퍼를 바꾸니... 정말 독일차 같은 탄탄함(비머3시리즈 같은 느낌.)
(차종은 조금 우습게 보이실 지 모르겠지만 순정서스펜션이 정말 "배"같은 기아의 스펙트라 입니다. 나름 준중형이라고 당시에... -_-; 19살때의 첫 차네요. ㅋ)
당시 보라색 메르위드 제 스프링과 가야바 울트라(?)댐퍼 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스프링만 바꿔서 조금 탄탄.낮아진 차고로 코너링을 즐기는데... 뭔가 좋지 못한 노면에서 더 울렁거리며 더 튄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스프링의 탄성계수(?)그 운동성능 만큼 댐퍼가 댐핑력을 따라가지 못해서 그렇다고 어디선가 주워듣고 보고 했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궁합이 잘 맞기도 했겠지만 애프터마켓의 댐퍼로 교체를 하자마자 차량은 밸런스가 잡혔구요. 정말 주행성능과 승차감이 좋았습니다.
물러터진 탄탄함(?)이라는 게 제 개인적인 표현입니다. 슬슬 갈땐 탄탄한거 같지만 어느정도 선을 넘어서니 물러터져서 퍽! 쿵! 하고 그랬었거든요...
댐퍼를 바꾸니... 정말 독일차 같은 탄탄함(비머3시리즈 같은 느낌.)
(차종은 조금 우습게 보이실 지 모르겠지만 순정서스펜션이 정말 "배"같은 기아의 스펙트라 입니다. 나름 준중형이라고 당시에... -_-; 19살때의 첫 차네요. ㅋ)
당시 보라색 메르위드 제 스프링과 가야바 울트라(?)댐퍼 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2008.07.07 09:42:32 (*.160.136.27)

한국에서는 차가 낮으면 불편한게 한두개가 아니죠.
일단 둔덕이 생각나는데... 차를 낮추면 딱딱해지는 기능도 반드시 따라올테고... 여튼 아파트촌에 들어가면 짜증이 슬슬...
또 오래된 도시를 가면 지하주차장의 좁기와 각도 엄청난데 진입각, 이탈각이 대단한 수준이라 범퍼 앞뒤가 긁히기 쉽상이죠.
예전에 제가 타던 차는 낮고, 앞뒤가 길어서 주차장에 들어갔다가 못나오는 경우가 허다했죠.
그래도 낮으면 안정감이 극대화되니 뭐 참아야죠.
근데 저는 참으로 궁금한데요. 한국보다 선진국, 후진국 많이 가봤지만 아직까지 어느나라도 과속을 잡자고 둔덕설치해 놓은 경우가 없던데...
둔덕만 보면 한국은 후진국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어요.
일단 둔덕이 생각나는데... 차를 낮추면 딱딱해지는 기능도 반드시 따라올테고... 여튼 아파트촌에 들어가면 짜증이 슬슬...
또 오래된 도시를 가면 지하주차장의 좁기와 각도 엄청난데 진입각, 이탈각이 대단한 수준이라 범퍼 앞뒤가 긁히기 쉽상이죠.
예전에 제가 타던 차는 낮고, 앞뒤가 길어서 주차장에 들어갔다가 못나오는 경우가 허다했죠.
그래도 낮으면 안정감이 극대화되니 뭐 참아야죠.
근데 저는 참으로 궁금한데요. 한국보다 선진국, 후진국 많이 가봤지만 아직까지 어느나라도 과속을 잡자고 둔덕설치해 놓은 경우가 없던데...
둔덕만 보면 한국은 후진국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어요.
빌스타인 정도 구입 하셔서 여름에는 빌스타인 + H&R 겨울에는 순정 + H&R도 좋을 듯 싶습니다. (빌스타인 + H&R은 겨울엔 좀 별로 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