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d Impression
글 수 332












과거에는 자동차의 장르를 구분하는 기준이 전장과 모양 그리고 엔진사이즈 정도였지만 지금은 세그먼트와 세그먼트 사이를 메우는 각종 다양한 장르의 차량들이 쏟아지고 있다.
현재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차를 구지 장르별로 나눈다면 60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으며, 20년 전과 비교해 3배나 많은 장르의 차가 팔리고 있다.
이렇게 자동차를 소형, 중형, 대형으로 고리타분하게 나누던 차원에서 벗어나 폭스바겐 골프와 같은 A세그먼트 승용차도 완전히 동일한 플랫폼으로 10cm지상고를 키운 Golf Plus, MPV형태의 Touran, 스포츠 버전인 GTI, 4인승 하드탑 카브리오레인 Eos 등등의 다양한 모습으로 고객에게 접근한다.
이러한 트랜드는 그만큼 소비자들이 틀에 박힌 장르의 차보다는 좀 더 개성이 강하고 성격이 독특한 차를 원하고, 이보다 한발 앞서서 메이커들은 틈새시장 공략에 회사의 사활을 걸 정도에 이르렀다.
우리나라는 아직 자동차의 선택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매력적인 자동차에 대한 접근이 아직 미비한 상태이기는 하지만 현재의 수입차 시장 확대 속도를 비롯해 수입차의 구매연령이 낮아지고 있는 긍정적인 신호는 현재와 같은 한국사람 특유의 지루하기 짝이 없는 차량선택의 폭이 넓어질 것으로 확신한다.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로 돌아와 보자.
이차는 D세그먼트 최고급 차량군에 속하는 럭셔리 스포츠 세단이다.
구매능력을 가진 소비층이 벤츠 S클래스, BMW 7시리즈, 아우디 A8, 폭스바겐 페이톤과 같은 최고급 세단밖에 구입할 수 없다면 이처럼 큰 불행도 없을 것이다.
위에 나열된 세단은 럭셔리 세단을 대표하는 상당히 보수적인 성향의 차량이다.
즉 높은 주행성능을 확보한다는 제1철학에서 절대로 벗어나지 않았지만 실내공간과 트렁크 공간 그리고 높은 승차감의 확보를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기술적 지원이 가해진 차량이라는 것이다.
콰트로포르테의 경우 D세그먼트 최고급 세단이라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지만 레이아웃과 주행본능 그리고 운전자에게 주는 감성에 대한 접근방식과 표현법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과감하다.
트렁크 공간을 상당히 잡아먹는 트랜스액슬 방식은 변속기와 디퍼렌셜을 함께 배치하는 방식으로 후륜 차축부근에 상당한 부피를 요한다.
이로 인해 전후 47:53이라는 5m가 넘는 세단으로서 과히 환상적인 무게배분을 실현했고, 결과적으로 상당히 가벼운 머리의 움직임을 가능케했다.
콰트로포르테에 올라간 V8 4.2리터 400마력짜리 엔진은 페라리에 실리는 엔진을 개량한 것이며, 토크특성을 세단에 맞게 개선한 것 이외에 뿌리는 페라리의 그것과 같다.
시승차는 Quattroporte Sport GT라고 불리는 에디션으로 20인치 휠과 실내의 카본파이버 내장재로 스포티한 감각을 높인 차종이다.
시동을 걸었다.
시동이 걸릴 때 벽에 반사되어 전해지는 배기음이 이차가 근본적으로 유전인자가 완전히 다른 세단이라는 것을 대변한다.
기대에 부풀어 가속패달을 밟아 회전을 높이니 페라리가 보여주는 표현법을 그대로 보여준다.
콰트로 포르테가 페라리 세단으로 불려도 되는 이유가 바로 이 배기음이다.
창문을 닫고 시내를 주행하는 콰트로 포르테의 주행 느낌은 수동베이스의 시퀜셜 트랜스미션의 독특한 변속과 연결감을 제외하고는 기타 고급세단과 큰 차별이 되지 않는다.
그만큼 편안하다는 이야기이다.
0->100km/h가속을 5.2초에 끝내버리고, 제원상 최고속도는 275km/h이다.
회전상승은 저회전에서 고회전으로 넘어갈수록 힘이 붙는 전형적인 스포츠 엔진이며 6000rpm에서 미묘하지만 한번 더 상승되는 느낌을 전해준다.
아니나 다를까 회전한도에서 변속을 하면 다음단 반응이 극도로 예민한 6000rpm에서 재가속되게 세팅되어 있다.
고속코너에서의 날카로움과 고속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몸놀림은 트랜스액슬 방식과 최대한 뒤쪽으로 배치된 엔진의 덕을 톡톡히 본다.
Sky hook방식의 액티브 서스펜션은 항상 수평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하는데, 콰트로포르테가 스포츠카가 아닌 럭셔리 세단이라는 본연의 신분을 강조하기 위해 적용된 무기의 역할을 한다.
고속코너는 과히 발군이지만 고속코너에서 노면의 기복을 만나면 속도가 아주 높은 경우 약간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4단 220km/h, 5단 250km/h를 찍고 6단으로 변속되면 265km/h까지 거침없이 올라간다.
강력한 배기음은 최소한 실내에서는 나름대로 절제되어 침투되며, 엔진의 야성을 다른 D세그먼트 고급차와 비교해 조금 더 가깝게 접할 수 있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뒷좌석과 앞좌석에서 들리는 배기음은 분명 차이가 있었다.
뒷좌석에서는 머플러의 메탈릭한 음색을 좀 더 생생하게 들을 수 있고, 이를 즐길 수 있는 뒷좌석 오너는 구지 만나보지 않아도 멋진 사람임에 틀림없다.
페라리의 F1시프터 보다는 변속이 느리지만 부드럽다. 그리고 다운시프트때 회전수 보상이 정교하다.
7500rpm회전한도까지 시원하게 뻗으면서 고르고 일정하게 증가하는 배기음을 뿜는 콰트로포르테를 가장 인상적으로 즐기는 사람은 안에 탄 사람이 아니라 밖에서 이차가 가속을 하며 지나갈 때 주변을 지나가는 행인인 것이 샘이 날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V8엔진들은 저음이 강한 반면 고음으로 갈수록 배기음이 사라지는 특성이 있다.
반면 콰트로포르테는 회전한도에 닿는 순간까지 점점 강하고 맑은 고음을 그대로 표현해준다.
유전인자가 완전히 다른 V8엔진이 만드는 음색은 단순히 멋지다는 표현으로 얼버무릴 수준의 것이 아니다.
콰트로포르테는 차고가 아닌 집의 거실에 세워두고 차를 이해하는 지인들을 초대해 원두커피를 마시면서 이야기를 나누다가 오너가 기분이 좋아지면 실내에서 시동을 걸어 먼길 찾아온 손님들에게 추억의 배기음을 선사시켜주는 멋진 장면을 연상케한다.
이태리차와 독일차는 근본적으로 접근방식과 표현방식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같은 선상에서 제품평가의 잣대로 평가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그만큼 이태리차가 불리한 조건이라는 뜻이다.
전혀 다른 세상에 사는 인간들이 전혀 다른 독창적인 상상의 세계에서 창조해낸 컨셉과 제품에 반영한 표현을 미국의 Cunsumer report식으로 평가하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콰트로포르테가 만들어내는 1000만불짜리 배기음만으로도 이차는 제품(Product)이 아닌 예술품(A work of art)으로 접근해야 한다.
그냥 우연히 만들어진 배기음, 혹은 고귀하고 높으신 고객분들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최첨단 사일렌서를 장착해 머플러를 배기가스가 지나가는 철제파이프로 전락시키는 대신 그 어떤 인위적인 장비로도 감히 흉내도 내지 못하는 천상의 선율을 제공하는 악기를 창조해낸 페라리와 마세라티의 엔지니어들에게 멀리서 존경의 박수를 쳐주고 싶다.
-testkwon-

2006.10.31 10:51:30 (*.154.212.170)

책을 읽을 때 표지의 일러스트나 단순 활자, 표면적인 내용만 볼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녹아들어가 있는 작가의 창작의도를 아는 것이 중요한 것처럼, 차를 평가함에 있어서도 그 차를 만들어낸 자동차메이커와 엔지니어들의 숨은 의미를 아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마스터님의 시승기는 그런면에서 늘 제가 보지 못하는 차 속에 숨겨진 귀중한 숨은의미를 알게해주어서 참 좋습니다.
하이톤의 여성소프라노가 부르는 모짜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의 '밤의 여왕 아리아'를 떠올리게 하는 콰트로포르테의 환상적인 배기음이 아직도 귀에 맴돌고, 가슴띠는 설레임으로 남아있습니다.
마스터님의 시승기는 그런면에서 늘 제가 보지 못하는 차 속에 숨겨진 귀중한 숨은의미를 알게해주어서 참 좋습니다.
하이톤의 여성소프라노가 부르는 모짜르트의 오페라 '마술피리'의 '밤의 여왕 아리아'를 떠올리게 하는 콰트로포르테의 환상적인 배기음이 아직도 귀에 맴돌고, 가슴띠는 설레임으로 남아있습니다.
2006.11.01 00:50:32 (*.250.26.117)
마세라티는 아무리 쿼트로포르테라도 기사가 운전하고 오너가 뒤에 앉아있는 모습을 보니 묘한 위화감을 느끼게 되더군요.. ^^
2006.11.06 01:59:44 (*.147.47.161)

<이태리차와 독일차는 근본적으로 접근방식과 표현방식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같은 선상에서 제품평가의 잣대로 평가하는 것은 불합리하다>..심히 공감합니다. 단적인 예로 저희 아버지께선 콰트로포르테를 혹평하시더군요. 제 아버지는 10년전부터 국산, 독일, 일본 세단만 겪어보신지라 콰트로포르테만의 이태리식 넘치는 정열을 알아차리지 못하셨습니다. 차가 굼뜨고 기어조작은 복잡하고 인테리어는 조잡하다는 등...그런 비판을 하시는 모습을 보고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었더랬습니다. 가치절하되는 콰트로포르테도 안습이었지만 콰트로포르테를 제대로 느끼질 못하시는 아버지가 정말 안타깝더군요. 한국 수입차소비자들의 가치기준이 워낙에 독일차, 일본차에 중심이 맞춰지다보니 확실히 이태리차가 구매력있는 대다수의 사람들에겐 제값만큼 평가받긴 힘든게 사실입니다. 개스페달을 찔끔 밟아보고는 이차 잘나가네 안나가네 하는 시각으로는 페라리/마세라티의 가격대비가치는 거의 뭐 땅바닥을 기겠지요..(실제 콰트로포르테의 파워밴드는 상당히 높이 위치하기 때문에 RPM을 올리지 않는다면 제원보다 차가 굼뜨단 말이 나올만 합니다.)..이런차들은 차를 탄다는 마인드보다 차와 함께 달린다는 마인드가 필수적입니다. RPM이 올라갈 때마다 내 심장박동도 덩달아 올라가는 것 같고 코너를 감아 나갈 때도 내 손발과 척추로 차와 운전자가 교감하는 것..그것이 이태리차의 주인이 반드시 가져야 할 태도이자 차에 대한 예의일 것입니다.
2006.12.01 20:04:14 (*.75.189.214)

세상에는 이런 사람도 있고 저런 사람도 있기 마련이지요. 마스터님처럼 많은 차를 경험해 본 사람이나 다양한 사람들의 욕구와 만족을 이해나마 하는 거죠... 이제 겨우 수입차가 3% 넘어가고 있고 팔리는 차의 대부분이 세단에 오토매틱인 나라에서 얼마나 기대할 수 있을까요? 더 다양한 자동차들이 많이 팔리고 문화의 영역에 이르러야 이런 글을 즐겁게 읽는 사람들이 생기겠지요.
2010.05.07 01:20:37 (*.41.16.234)
아주 늦게 올리는 답변입니다만..꼭 누가 봐야 한다는 생각이 없기에 생각을 올려 봅니다.
\예전에 어느 잡지에서 본 글이 생각 되네요...페라리 창업자라 생각 되는데..기억이 가물가물...
페라리는 젋은 사람이 어울리나 젋은 사람은 페라리를 살만한 능력이 안되 안타까움이 있다는...
젋었을때 좋은 차를 탈수 있다는 것은 직업, 부모님의 배려, 본인의 탁월한 능력 이라고 봅니다.
위 3가지 모두 차를 좋아 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모두 부러운 조건이죠.
젋었을때 차를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 성공을 가늠했던 우리 아버님 세대, 6.25. 세대 분들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운차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하지만 충분한 능력이 없는 저에게는 중년에 성능 및 뽀다구 다 충족시켜줄 차이기에는
너무너무 착한 차 임을 저도 부인하지 않으며 저도 나이들면 무지무지 가지고 싶은 차입니다.
머....돈벌면 한번은 타보고 싶다는 그런 글 입니다.. ^^
2007.06.08 14:48:37 (*.211.109.189)

배기음을 뿜는 콰트로포르테를 가장 인상적으로 즐기는 사람은 안에 탄 사람이 아니라 밖에서 이차가 가속을 하며 지나갈 때 주변을 지나가는 행인인 것이 샘이 날 정도이다.
---->> 어디까지나 주변을 지나가는 행인 입장인 제가 더 행복하다고 해야할지..ㅎㅎ
가끔 지나가는 쿼트로포르테를 보면서 느낀것은 성능과 가격대비 가치 이외에 , 그이상의 어떤 무엇인가가 존재하는 차라는 느낌이 들더군요. 예술적 가치 라고 단정 짓기에도 모자란듯합니다. 다만 쿠즈의 도산으로 불투명해진 수입원이 안정화되어 a/s의 문제가 적어진다면 판매량이 조금은 더 늘어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모처에서 재수입 예정이라고도 하던데..아뭏든 소유하진 못하더라도 멋진 사운드를 즐길수있는 기회가 자주있기를...
---->> 어디까지나 주변을 지나가는 행인 입장인 제가 더 행복하다고 해야할지..ㅎㅎ
가끔 지나가는 쿼트로포르테를 보면서 느낀것은 성능과 가격대비 가치 이외에 , 그이상의 어떤 무엇인가가 존재하는 차라는 느낌이 들더군요. 예술적 가치 라고 단정 짓기에도 모자란듯합니다. 다만 쿠즈의 도산으로 불투명해진 수입원이 안정화되어 a/s의 문제가 적어진다면 판매량이 조금은 더 늘어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모처에서 재수입 예정이라고도 하던데..아뭏든 소유하진 못하더라도 멋진 사운드를 즐길수있는 기회가 자주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