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d Impression
글 수 332





















국내 수입차 시장이 2002년도에 국산차 대비 점유율 1%를 넘어선 이래 현재까지 급성장하고 있는 배경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소위 히트모델이라고 하는 베스트셀러 모델의 약진이 두드러졌던 몇년이었다.
렉서스가 현재의 시장 지위를 누리게 된데에는 ES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다 할만큼 많은 대수가 팔려나갔다.
선대 모델인 ES330의 히트는 ES350으로 풀모델체인지가 되면서도 전혀 식지 않았고, 5000만원대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붙박이 모델이 되었다.
기본형 5960만원, 프리미엄 6390만원이라는 가격은 5시리즈, A6, E클래스의 C세그먼트 대표선수들의 주판매 모델과 절묘하게 가격 간섭을 피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위치에서 경쟁자가 없었다.
528i가 파격적인 가격인하를 통해 ES350의 안정된 포지션에 충격을 가하는 듯 보였지만 작년에 3300대가 팔려 월평균 300대를 조금 못미치는 판매실적이 올해에도 거의 비슷한 숫자를 유지하는 것만 보더라도 부동의 렉서스 로얄층이 확실히 두텁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독일차가 가격을 인하해도 렉서스와 대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가진 고객층이 많아졌다는 이야기가 되고 렉서스 입장에서 새제품을 포지셔닝할 때 수월해지는 이점도 생긴다.
렉서스 전용모델은 원래 후륜구동 베이스의 GS, LS가 렉서스의 정통성을 가지며, 사실 ES는 도요타의 캠리를 베이스로 하는 모델이다.
철저히 북미의 주행패턴과 구매기호를 고려해서 만든 모델인만큼 우리나라 실정에도 잘 맞는 모델이라 볼 수 있다.
커다란 덩치에 출렁이는 승차감, 골프백 4개를 소화해낼 수 있는 큰 트렁크, 실제 차량의 수준보다 높게 평가되게 만든 시각적인 고급성과 높은 품질등은 왠만한 한국 중년층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항목이겠다.
시동을 걸면 들리는 초저소음 엔진작동음과 가벼운 핸들의 느낌은 여성들이 특히 좋아할 부분이다.
277마력의 3.5리터 엔진은 생각보다 파워풀했고, 가속력도 일품이었다.
비슷한 출력의 혼다 어코드와 비교하면 급가속시 차를 견인하는 자세가 조금 어정쩡한 것이 하체의 능력에 비해 파워가 터무니없이 높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토크스티어도 클뿐더라 완전히 직선이 아니면 파워를 높이면서 주행하는 재미를 전혀 느낄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출렁이고, 근본적으로 밸런스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안정감이 없다.
ES를 선택하는 오너들이 특별히 고려하는 내용이 아닐 수도 있겠지만 주행안정성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현대의 TG의 서스펜션 세팅보다 오히려 한수 아래이다.
전체적인 킥백이나 조향감각에서 느껴지는 느낌이 현대 XG세대의 수준과 비슷하다고 보면 될 것 같다.
구지 국산차와 비교를 하는 이유는 TG나 제네시스가 얼마나 큰 성과를 냈는지 상대적인 평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ES는 철저히 특정 시장이 원하는 형태의 차로 만들어졌다.
렉서스라는 그럴듯한 포장에 왠만해선 고장이 안나는 품질을 앞세웠지만 하체 설계 단계에서 고도의 엔지니어링이 들어갔다던지 주행의 재미를 느끼게하는 요소는 전혀 없다.
신분이 전혀 다르다고 볼 수 있는 GS와 비교하면 ES에 투입된 세팅능력은 정말 보잘 것이 없다.
GS는 부드러움속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기초 운동신경이 갖춰졌지만 ES는 운동신경이 전혀없는 운동치라고 해도 과장이 아니다.
언급된 장점 이외에 프리미엄 모델의 경우 파노라마 선루프가 기본이라는 점과 네비게이션의 작동을 순정 스위치들을 모두 이용해서 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차체에 장착된 G센서와 횡가속센서가 한국형 네비게이션과 연결되어 있어 지하에서 램프를 따라 빙글빙글 돌아도 네비게이션이 작동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 앞좌석 쿨링 시트등은 상당히 매력적인 옵션이다.
ES는 시장에서 엄청나게 환대받는 모델이기는 하지만 시승을 통해 한가지 얻은 확신은 이정도 수준이면 현대의 수준에서 그리 멀리 위치하고 있지는 않다는 점이다.
차의 전체를 평가할 때 특정항목만 두드러지는 것은 객관성을 잃을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현대는 아직도 풀어야할 숙제가 많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현대가 그동안 풀었던 숙제의 난이도와 비교하면 ES를 따라잡기 위해 남은 숙제의 난이도는 이전것보다 강도가 약하다는 점이다.
-testkwon-

- IMG_4944.jpg (207.2KB)(7)
- IMG_4946.jpg (158.0KB)(6)
- IMG_4947.jpg (193.0KB)(6)
- IMG_4949.jpg (210.1KB)(6)
- IMG_4950.jpg (313.1KB)(6)
- IMG_4951.jpg (262.0KB)(6)
- IMG_4952.jpg (243.4KB)(6)
- IMG_4954.jpg (209.6KB)(6)
- IMG_4955.jpg (245.4KB)(6)
- IMG_4956.jpg (214.6KB)(5)
- IMG_4957.jpg (203.4KB)(5)
- IMG_4958.jpg (145.9KB)(6)
- IMG_4959.jpg (215.6KB)(5)
- IMG_4960.jpg (266.6KB)(6)
- IMG_4961.jpg (189.8KB)(6)
- IMG_4963.jpg (73.8KB)(6)
- IMG_4965.jpg (77.4KB)(6)
- IMG_4979.jpg (249.3KB)(6)
- IMG_4980.jpg (242.4KB)(6)
- IMG_4981.jpg (253.4KB)(6)
- IMG_4985.jpg (205.6KB)(6)
2008.06.10 13:11:19 (*.88.78.169)

매니아 눈으로 보면 정말 매력이라곤 없는 모델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선택 받는것 같습니다...ㅡ.ㅡ+
솔직히 일본차의 품질특성만 생각하면 어코드도 고를수 있고
운행시의 느낌이 TG대비 좋거나 개성이 있다거나는 느끼기 힘들었기에
아무래도 'L' 로고만으로 1.5~2배의 비용차이를 극복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L로고중에 막내 IS는 참 잘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만
나머진 모.....=.=
그렇기 때문에 선택 받는것 같습니다...ㅡ.ㅡ+
솔직히 일본차의 품질특성만 생각하면 어코드도 고를수 있고
운행시의 느낌이 TG대비 좋거나 개성이 있다거나는 느끼기 힘들었기에
아무래도 'L' 로고만으로 1.5~2배의 비용차이를 극복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L로고중에 막내 IS는 참 잘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만
나머진 모.....=.=
2008.06.10 13:37:06 (*.68.61.62)

ES의 가격대비 공간, 겉보기에 그럴 듯한 고급스러움, 거기에 파노라마루프 등...사모님들이 좋아하실만한 사양이 적당한(?) 가격대에 있기에 지금의 렉서스의 포지션을 갖게 해주었죠. 하지만 계급장 떼고 보면 그 가격이면 제네시스가 훨씬 낫습니다. 차원이 다를 정도로. 그래서 주변에서 ES를 사니마니 할 때마다 제가 거품 물고 비싼 캠리는 절대 안된다고 하고 있습니다.
2008.06.10 13:39:04 (*.87.60.90)

정말 출중한 엔진성능에 터무니 없는 하체 세팅..
차라리 연비를 높이고 출력을 죽여 놓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지 않나 하네요
차라리 연비를 높이고 출력을 죽여 놓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지 않나 하네요
2008.06.10 14:45:47 (*.237.10.58)

그런데, 제가 렉서스 ES350의 외부와 실내를 보면 느끼는 것이......
1. 보기에는 고급 같지만, 원가절감 레벨의 고급화를 이룬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솔찍히, 부품의 체결이나 마무리는 좋아보이는데, 뭔가 부족하지요.
이상하더라고요.....^^;
2. 오히려 구형 렉서스 ES330, 300이 더 좋아보인다?
=>저만 이런 생각을 하는 줄 알았는데, 렉서스에서 정비하는 분들이나
실제 ES330, 300과 ES350의 오너들도 이런생각을 하는 분들이 계시
더군요,
3. 렉서스 ES를 보다가.....그렇게도 안팔린다는 혼다 레전드를 보면....
=>차의 레벨이 전혀 틀리구나.....
렉서스 ES타는 오너들이 레전드 한번 타보면 깜짝 놀랄것인데.....
가장 안팔리는 수입차에 항상 포지션을 굳건히 지키고 있는 혼다 레전드....
뭐.....안 팔리는 이유는 있지만......
만약 저에게 렉서스 ES350과 레전드를 선택하라고 하면.....
무조건 레전드를 구입할 껌니다.
성능을 떠나 훨씬 고급스러운 차량이 레전드인데.....*^^*
혼다의 기함으로서 제 역활을 못하고 있지만, 막상 운전하지 않고
실내에 앉아보면 ES와는 격이 전혀 틀립니다.
분명히 ES와는 한수 위입니다. 급이 다르죠.
문제는 실제 실내에 앉아 보지 않는 이상 모른다는거......^^;
PS. 아참 파노라마 선루프.......ES350에 많이 선택하는 패키지(?)옵션
인데......저라면 절대로 선택 안할 껌니다.
가뜩이나 A필러와 C필러가 너무 기울기가 심하고 실내고도 그리 높지
않은 차인데, 여기다 파노라마 선루프까지 있으면 지붕이 더 답답하지요.
마크레빈슨.......때문에 파노라마 선루프를 선택하기에 오디오도 사실
그리......뛰어나지 않다는.......*^^*
1. 보기에는 고급 같지만, 원가절감 레벨의 고급화를 이룬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솔찍히, 부품의 체결이나 마무리는 좋아보이는데, 뭔가 부족하지요.
이상하더라고요.....^^;
2. 오히려 구형 렉서스 ES330, 300이 더 좋아보인다?
=>저만 이런 생각을 하는 줄 알았는데, 렉서스에서 정비하는 분들이나
실제 ES330, 300과 ES350의 오너들도 이런생각을 하는 분들이 계시
더군요,
3. 렉서스 ES를 보다가.....그렇게도 안팔린다는 혼다 레전드를 보면....
=>차의 레벨이 전혀 틀리구나.....
렉서스 ES타는 오너들이 레전드 한번 타보면 깜짝 놀랄것인데.....
가장 안팔리는 수입차에 항상 포지션을 굳건히 지키고 있는 혼다 레전드....
뭐.....안 팔리는 이유는 있지만......
만약 저에게 렉서스 ES350과 레전드를 선택하라고 하면.....
무조건 레전드를 구입할 껌니다.
성능을 떠나 훨씬 고급스러운 차량이 레전드인데.....*^^*
혼다의 기함으로서 제 역활을 못하고 있지만, 막상 운전하지 않고
실내에 앉아보면 ES와는 격이 전혀 틀립니다.
분명히 ES와는 한수 위입니다. 급이 다르죠.
문제는 실제 실내에 앉아 보지 않는 이상 모른다는거......^^;
PS. 아참 파노라마 선루프.......ES350에 많이 선택하는 패키지(?)옵션
인데......저라면 절대로 선택 안할 껌니다.
가뜩이나 A필러와 C필러가 너무 기울기가 심하고 실내고도 그리 높지
않은 차인데, 여기다 파노라마 선루프까지 있으면 지붕이 더 답답하지요.
마크레빈슨.......때문에 파노라마 선루프를 선택하기에 오디오도 사실
그리......뛰어나지 않다는.......*^^*
2008.06.10 16:38:22 (*.61.201.2)

음...ES가 베트스 셀러인 이유는...
차량의 성격을 구매자의 needs에 적합하게 마케팅했기 때문입니다.
그러한면에선 TG나 레젼드보다 훨씬 높은 점수를 줄수밖에 없습니다.
거이 모든 ES운전자가 와인딩을 즐긴다던지..
3000알피엠 이상 쓸일은 없으니깐요.
대중적 소비자가 가려운곳을 잘 긁어 주는 회사~
렉서스가 매우 잘하고 있는것중에 하나죠. ^^
차량의 성격을 구매자의 needs에 적합하게 마케팅했기 때문입니다.
그러한면에선 TG나 레젼드보다 훨씬 높은 점수를 줄수밖에 없습니다.
거이 모든 ES운전자가 와인딩을 즐긴다던지..
3000알피엠 이상 쓸일은 없으니깐요.
대중적 소비자가 가려운곳을 잘 긁어 주는 회사~
렉서스가 매우 잘하고 있는것중에 하나죠. ^^
2008.06.10 18:41:30 (*.254.218.61)

개인사업자 중에서.. 을의 입장에서 약간 다른사람의 눈을 의식하고 차종을 선택하는 경우에.. 많이 선택하시더군요. 저야..렉서스에 별 관심이 없어서..가격대로 잘 몰랐는데, 의외로 비싼 가격에 놀랐던 기억이 있습니다. (아마도..최대 이윤 모델일것 같기도 합니다..^^)
2008.06.12 00:15:54 (*.117.254.250)

'초저소음 엔진작동음' 하나로 렉서스가 세계 최고라고 인식하는 부류들이 꽤나 있는게 현실입니다. 그런 사고방식을 절대 싫어하는 제 자신이지만, 20만킬로가 넘어도 여전히 조용하고 부드러운 질감의 es를 보면 소음차단하나는 참 일품인게 렉서스가 아닌가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