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d Impression
H1 허머를 경험했던 것은 96년도의 일이었다.
당시 운전을 해본 것은 아니고 옆좌석과 뒷좌석에 동승했었다.
V8 5.7리터 가솔린 엔진으로 최고시속이 120km/h였던 것으로 기억하며, 시내버스와 맞먹는 차폭으로 인해 상당한 차폭감각이 필요했었다.
실내의 시내버스 좌석 비슷한 4개의 좌석과 좌우에 앉은 승객간 거리를 고려한다면 도로용으로 만들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내부나 구조적인 부분에서 군용에 가까운 구조였다.
H2는 근본적으로 군용의 터프한 외모를 유지하지만 그래도 고급스러워졌고, 실내의 구조도 최대한 승용과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노력한 모습이 보였다.
시승차는 2006년식 325마력/5200rpm, 53.6kgm/3600rpm을 발휘하며 최고속도는 160km/h에서 제한된다.
V8 6.0리터 엔진은 2007년부터 6.2리터로 커졌고, 4단변속기에서 6단으로 변경되었다.
높은 시야와 누가봐도 한마디씩할만큼 자신감 넘치는 외모로 인해 덤프트럭들도 함부로 할 수 없는 카리스마가 H2에서 풍긴다.
이것이 H2가 가진 최대의 세일즈 포인트일 것이다.
SUV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실내가 넓지도 트렁크가 크지도 않다. 샤시의 구조가 군용으로 설계된만큼 플로우가 높고 공간 효율이 차량의 크기에 비해 극도로 떨어진다.
3톤이나 되는 무게는 정비받을 때도 리프트를 잘 선택해야하며, 이런 차를 얼라인먼트를 보기도 쉽지 않다.
8기통 6리터 엔진은 기대했던 것보다 4000rpm이후에도 힘차게 돌아주었지만 2단에서 3단으로 넘어갈 때 갑자기 기어비가 떨어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차에 가속할 때 묵직한 느낌을 피할 수 없다.
160km/h까지는 생각보다 쉽게 도달했고, 안정감도 나쁘지 않았다. 다만 브레이크가 많이 밀리기 때문에 120km/h가 넘어가면 H2로 급조작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엔진소리도 좋고, 특이한 차를 운전하는 느낌이 강하기 때문에 H2를 몰고 있으면 기분이 좋아진다.
캐릭터가 모든 것을 말해주는 차인만큼 기계적으로 숙성되고 안되고를 따질 필요는 구지 없다고 생각한다.
미국차에 대한 선입견을 깰만큼 미국차가 많이 바뀌었다고 하지만 여전히 미국차 특유의 조금은 엉성하고 짜임새없는 차만들기의 흔적은 H2에서 여지없이 드러났다.
미국차들의 technical solution들은 일단 단순한 것을 추구한다.
H2의 내부 플라스틱이나 조립상태를 보면 국산차는 커녕 이제 중국차의 그것과 비교할 수 밖에 없어진다.
질감도 나쁘고, 견고한 맛이 전혀없다.
가장 재미있었던 것은 실내 버튼등이 LED가 아니라 모두 꼬마전구 타입으로 되어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헤드라이트를 켜고 달리다가 버튼 조작을 하기 위해서 버튼을 만져보면 상당히 뜨겁다.
어떤 버튼은 손을 데기가 거부감이 생길 정도로 뜨거워 오래 데고있지도 못할 정도이다.
트렁크 공간에 있는 보조의자는 소위 벌서는 자리의 용도로 보인다.
바닥이 높아 무릎이 많이 올라와 초등학교 학생이 아니면 불편해서 오래 앉아있기 힘들다.
미국차만 오래 타왔던 분들의 경험담을 들어보면 이렇게 엉성하기 짝이없는 차라도 단순한 구조로 인해 고장률이 높지 않다고 한다.
그리고 오래된 하드웨어다보니 진상을 떠는 불가사의한 기계적 문제점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항속위주로 설계된 미제 8기통 엔진은 정속주행연비도 상당히 좋다.
H2의 오너의 말로는 고속화도로와 시가지를 번갈아가며 탈 때 리터당 5km라는 경이적인(?) 연비를 보여준다고 말한다.
3톤의 무게에 6리터 엔진으로서 한국도로에서는 정말 좋은 연비가 아닐 수 없다.
300마력이 넘는 가솔린 엔진을 가진 독일제 SUV보다 훨씬 좋은 연비라고 봐도 무방하다.
H2로 좀 빠르게 운전할 때 다른차들의 반응이 재미있다.
차선을 변경하려던 차들이 H2가 달려오면 움찔하거나 들어오려고 하다가도 다시 자기 라인으로 돌아가는 것을 자주 경험하게 된다.
한편으로 통쾌한 기분이 들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 H2와 도로에서 마주치는 것 자체가 위협적일 수도 있겠다.
커다란 바퀴에 스치기만해도 견적이 살벌하게 나올 것이 뻔하고 잘못 사고가 나면 H2가 상대차를 밟고 타 넘을 수도 있다.
H2는 웬만한 SUV들을 모두 어정쩡한 컨셉의 차로 만들어버리기에 충분할 정도로 외적으로 당당하고, 버스의 운전석 위치와 흡사한 승차위치로 왠만한 차들을 모두 내려다보는 재미도 크다.
재미있는 컨셉의 H2에서 이제는 군용의 이미지는 찾기 어렵고 충분히 모던해졌으면서도 가벼워보이지 않는 디자인 이미지도 시대와 동떨어지지 않아 H2를 몰고 있으면 제법 흐뭇해진다.
<특이한 기능>
센터는 물론 전후 디퍼렌셜 역시 따로 잠글 수 있다.
후륜에 장착된 에어서스펜션은 후륜의 지상고를 높일 수도 있고 견인시와 같은 상황에서 후륜의 지상고가 낮아지지 않도록 지상고를 보정시켜준다.
트랙션 컨트롤 2라는 장치는 디퍼렌셜을 잠그었을 때 선택할 수 있는데 눈길이나 사막에서 탈출하기 쉽게 컨트롤해준다.
-testkwon-

- IMG_0544.jpg (257.3KB)(11)
- IMG_0545.jpg (165.0KB)(6)
- IMG_0546.jpg (100.6KB)(6)
- IMG_0548.jpg (88.9KB)(7)
- IMG_0549.jpg (182.6KB)(6)
- IMG_0550.jpg (100.8KB)(6)
- IMG_0551.jpg (75.2KB)(6)
- IMG_0554.jpg (190.9KB)(6)
- IMG_0556.jpg (211.9KB)(6)
- IMG_0557.jpg (190.6KB)(6)
- IMG_0558.jpg (205.5KB)(6)
- IMG_0559.jpg (205.9KB)(6)
- IMG_0560.jpg (161.9KB)(7)
- IMG_0561.jpg (223.0KB)(6)
- IMG_0563.jpg (201.3KB)(6)
- IMG_0564.jpg (182.4KB)(6)
- IMG_0567.jpg (181.1KB)(6)
- IMG_0568.jpg (196.9KB)(6)
- IMG_0571.jpg (200.9KB)(6)
- IMG_0572.jpg (205.2KB)(6)
- IMG_0578.jpg (207.2KB)(6)
- IMG_0585.jpg (178.8KB)(6)
- IMG_0589.jpg (201.1KB)(6)
- IMG_0591.jpg (187.7KB)(6)
- IMG_0592.jpg (209.8KB)(6)
- IMG_0594.jpg (194.3KB)(7)
- IMG_0595.jpg (166.6KB)(8)



이거 이렇게 커졌어도 충돌안전성평가는 별로라고 들었네요.
근데 이렇게 큰차가 그럴리가 없다는 생각이 들고, 그건 거짓말아닐까 합니다.
결국 큰 엔진에도 불구하고 그리 잘나가지도, 잘 서지도 않는다는 평가같은데... 무식하게 생겼어도 악천후에서는 대단한 능력이 나올 것같습니다.

가지고 있어서 몇번 들여다본 적이 있습니다만...
여선암님 말씀대로...실제 사고시 충돌장면들이 몇번 뉴스에 나와서
본 적이 있는데 생긴것만 군용처럼 보일뿐 포드나 쉐비의 중소형 트럭
-f150, f250이나 실버라도 1500 등등- 과 충돌하니 완전히
부숴지는게 일반 SUV하고 별다른 차이가 없었습니다.
아마 구글에도 사진이 좀 돌아다닐겁니다.
아래 사무실에 근무하는 아저씨 한 분도 저걸 타고 다니시는데,
눈에 띄는 특징이나 장점이라면 큰 덩치와 야간 주행시,뒤에서
등화를 다 켜고 다가올때의 위압감 정도일뿐이고
그나마 실내가 워낙 좁고 허접해서 글쎄요...

특히나, 타보지 않아도 사진으로도 느껴지는거같습니다.....제가 타호를 타봤을때의 느낌과 같이...새차인데도 불구하고 여기저기 너덜너덜한 플라스틱 인테리어..인테리어와 너무 안어울리는 너무나도 큰 시트, 거의 물과비교해도 됄만큼 흐물흐물했던 스티어링 feel....

공간을 이동한다는 개념보다 우선시 되어야 할것이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서로를 어느정도 보호할수 있는 상황이 고려되어야 할텐데...
접촉사고시 상황을 생각하면.....
개념없이 무조껀 사고보자, 나만 안전하고 보자는 생각은 아니길 바랍니다.
혹자는 싸고 좋은 제품을 살수만 있다면 좋지 않냐는 사람도 있지만...그런말했다가 국민들에게 망신당한분도 갑자기 생각나네요..ㅋㅋ(무개념...)
기사님 말로는 5톤 리프트였는데도 불구하고 차를 올릴때 리프트에서 뿌드드득 소리가 났었다고...
위압적인 외관이 모든걸 커버하고 있는 그 그매력이란...
H1과는 달리 사고나면 등치를 생각하면 안그럴꺼 같은데 반대로 엄청나게 부서지는...
그런 단점이 있는줄은 알지만...
여유만되면 한대 가지고 싶었었습니다

그런데 미국산 자동차들의 조잡한 내부 마감 품질은 영원한 숙제이기만 한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그나마 고장률이 거의 없다는 것은 일취월장이겠네요. 현재 출시되는 미국산 자동차들은 잘 모르겠지만, 예전을 생각해보면 전기 장치 쪽으로 잔고장이 많았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 점은 나아지고 있다고 봐야겠죠?

허머 H2를 처음 탔던 게 2004년(아니면 2005년) 봄인가~~그랬던 것으로 기억납니다.
저는 당시 모터매거진 편집장을 맡고 있었습니다.
그때 미국 GM 프리뷰 행사(다음 해에 나올 차들을 미리 타보는 행사)에 초대받았을 때 탔던 차 가운데 하나가 바로 '허머 H2'였습니다.
- 그때 잠시 놀랐던 것은 이틀 동안 개인적으로 아무거나 골라서 탈 수 있었던 차의 대수가 자그마치 66대 였다는 것...ㅎㄷㄷ -
어쨌든 허머 H2를 타면서 아직도 잊을 수 없는 일이 있었습니다.
행사 당시 모든 차에는 테스트 구간을 그림으로 표시한 종이판(로드북)이 하나씩 놓여 있었는데, 그 로드북을 조수석과 운전석 사이(무지 넓은 공간)에 놓고 보면서 운행을 하고 있었죠.
그런데 왼쪽으로 돌아가나는 길에서 그만 로드북이 바깥쪽으로 밀리며 조수석 바닥 모퉁이로 떨어졌답니다. 여러대가 운행하던 중이라 차를 함부로 세우지 못하고 있었는데, 잠깐 신호대기 중에 안전벨트를 풀고 로드북을 집으려 했지만 너무 너무 멀어서 자리를 옮기지 않는 이상 손에 닿지가 않더군요.
그래서 하는 수 없이 앞차들을 따라가려고 마음을 먹었는데, 가만히 보니 로드북이 아주 잘 보이는 위치에 잘 고정된 상태더라구요. 그래서 길도 잃어버리지 않고 여유있게 더 재밌게 타고 다녔던 기억이 있습니다.
하여튼 밖에서 보는 것 이상으로 실내 좌우 폭도 무지하게 넓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