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d Impression
글 수 332








지난 토요일 김윤성님의 애마를 시승한 후의 느낌을 적습니다.
1.6 수동 사양에 121마력을 발휘하는 엔진은 모든 것이 순정이었고, K&N필터만 장착되어 있었다.
이 엔진은 i30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엔진인데 i30때는 4000rpm을 넘어가면 심하게 울리는 공명음이 원래 그런줄 알았는데, 아반테 HD에서는 그런 흡기 공명음이 들리지 않아 훨씬 쾌적했다.
시트 포지션이 상당히 높다는 인상에 낮춰보려했지만 이미 가장 낮은 포지션이었다.
골프와 비교해도 높은 자세였다.
변속기의 질감이 아주 맘에 들었다. 들아가고 나가는 느낌이 명확했고, 치합이 좋았다.
엔진은 약간 느슨한 운전감각으로 운전해야 수동변속기의 클러치 미트가 부드럽다.
회전수를 높였다가 가속패달에서 발을 떼도 너무 천천히 내려오는 경향 때문에 빠른 변속을 한 후에는 클러치 미트를 통해 내려오기 싫어하는 회전수를 강제로 내리는 수 밖에 없다.
엔진의 전체적인 밸런스나 고회전에서 진동억제등의 완성도 측면에서는 매우 훌륭한 마무리였지만 회전수가 너무 늘어져버리는 느슨함은 스포티한 느낌과 철저히 상반된 느낌이다.
Incus쇽업소버와 스프링 그리고 스테빌라이져 휠 타이어 이 모두가 한 세트였다.
순정을 타본 적이 없기 때문에 상대적인 비교는 어렵겠지만 그래도 절대적인 평가는 가능했다.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의 느낌은 상당히 젠틀했고, 과거 국산차들이 아무리 좋은 서스펜션을 장착해도 너무 약한 바디강성 때문에 좋은 느낌을 받을 수 없었던 것과 비교하면 현대가 최근에 선보인 차들의 기본 차대의 견고함으로 인해 둔덕을 넘을 때 굉장히 고급스럽게 느껴졌다.
뒷좌석에 한사람이 동승하고 있었기 때문인지 기대했던 것보다 바운스는 좀 느껴졌다.
120km/h정도의 중속코너에서 살짝 바운스를 먹었을 때 뒤쪽에서 타이어 간섭이 느껴졌다.
심하게 긁히는 느낌이 아니라 어디 커버 같은 곳에 스치는 느낌이었다.
전체적으로 스티어링을 꺽었을 때 머리의 움직임에 기민함을 주긴 하지만 좌우 연속으로 짧은 턴을 시도하면 후륜이 좌우로 털리듯 요동칠 가능성도 있었다.
그만큼 턴인에 초점을 맞춰 세팅된 느낌이었고, 순정 아반테 HD의 브레이킹 세팅상 스티어링 앵글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제동을 걸었을 때의 차량 각도변화도 적극적이었다.
이런 부분에선 일본 스포츠 모델과 한국차들이 흡사한 면이 많고, 요즘 독일차들은 코너에서 브레이크 패달을 가지고 차의 앵글에 변화를 주는 기법이 잘 통하지 않는다.
상당히 가볍게 코너를 클리어해나가고 코너에서의 스피드 역시 높았다.
VDC가 장착되어 있었지만 코너를 돌 때 하중조절로 뉴트럴하게 만들어서 돌았던터라 전자장비에 방해를 받지 않았다.
금호 LX타이어는 급제동시 타이어 느낌은 절대적으로 높은 그립의 타이어가 아니라는 점인데, 코너에서 버티는 모습에 차대와 서스가 연출하는 영역이 높은 것이 분명했다.
댐핑의 전체적인 느낌이 아주 단단한 느낌보다는 범용으로서의 성격이 강했고, 때문에 지금보다 두,세단계 정도 더 높은 그립을 보이는 유럽제 혹은 일제 UHP타이어가 장착될 경우 좀 지나치게 예민한 조향으로 바뀔 가능성도 없지 않았다.
타이어의 그립이 높아지고 그 높아진 그립을 제대로 코너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때 차의 롤을 억제하기에 충분할만큼의 댐핑압력이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시승이 노면이 비교적 좋은 구간에서의 시승이었고, 주로 코너링을 체험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Incus킷의 전체적인 완성도나 유연성등을 두루 경험해보지는 못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순정 스포츠 서스펜션 킷으로 간주해도 좋을 것 같은 완성도는 느낄 수 있었고, 아반테 HD의 컨셉과 비교해 너무 심각한 세팅이 아니어서 일반인들의 접근이 용이해보였다.
이제 국산차들도 해외의 브랜드들에만 의존하지 않고 국내업체에서 완성도 높은 제품들을 공급받을 수 있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어디에 내놓아도 돋보이는 훌륭한 기본 바디 디자인에 내실있는 하체튜닝 그리고 특이한 Dark purple계열의 외장 색상은 정말 보기 좋았다.
1.6리터가 가지는 경제적인 이점을 생각한다면 충분히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차라고 생각한다.
-testkwon-

2008.09.01 18:15:51 (*.36.131.17)

(내구성이 보장된)순정 스포츠 서스펜션의 느낌.. 제가 인커스에게 바랬던 수준이었습니다. 타이어를 LX로 교체하고 나서는 일본차와 독일차 사이의 어딘가(지도상으로는 시베리아가 될려나요..>.<)에 위치하는 순정의 느낌이 이 정도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타고 다니고 있습니다. 추후에 파워 계통의 보강으로 말 50마리쯤 덧붙여주면 제가 원하는 수준의 재밌는 드라이빙이 가능할꺼란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2008.09.01 21:36:48 (*.212.244.218)

인커스킷.꽤나 인상적이였던 기억입니다. 아반떼 순정서스도 나쁘지 않은 느낌인데 인커스킷을 한 차량은 꽤 좋은 세팅이였던것 같습니다
2008.09.02 07:48:07 (*.182.28.100)
인커스...다들 좋다는데 지방에선 장착하는 샾이 거의 전무하더군요. 스테빌은 벌써 생산 중단이란 소리도 들리고 결국 테인껄로 장착할 수 밖에 없었네요.
인커스 s kit 정말 장착해 보고 싶었는데....쩝~~
인커스 s kit 정말 장착해 보고 싶었는데....쩝~~
2008.09.02 08:21:24 (*.87.60.117)

HD, i30을 위해 이보다 완성도 있는 서스펜션은 앞으로 절대 없을 겁니다. 적어도 완성도면에서는요. 가장 긴 테스트 기간과 신뢰성높은 data가 장점이죠.
벤쳐조직인 인커스가 해체되었기에 앞으로 인커스 이름으로 나오지는 않을겁니다만, data가 있으니 다른 조직에서 생산할듯...(이 부분은 그분(?)이 설명해주셔야...)
벤쳐조직인 인커스가 해체되었기에 앞으로 인커스 이름으로 나오지는 않을겁니다만, data가 있으니 다른 조직에서 생산할듯...(이 부분은 그분(?)이 설명해주셔야...)
2008.09.02 14:21:04 (*.254.112.153)

넵.. 공식 명칭은 자수정 색상입니다. 너무 흔한 HD 중에 나름 레어 칼라로 고른건데 볼 수록 맘에 듭니다. 제가 주로 서식하는 동네(대전 대덕연구단지)에 최근 들어 자수정색 HD가 부쩍 늘어난 것을 보면 저만 좋아하는 색은 아닌 것 같습니다.
2008.09.02 18:54:45 (*.251.1.80)

인커스 킷을 초반에 장착하고.. 현재 인커스 컴플릿카가 되버린 제 애마이지만, 해체된것은 참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개인적으로 무척 기대하였고 앞으로 큰 발전을 하길 기대했는데... 그래도 다시 시장성이 보인다면, 현대도 애프터마켓 사업을 제대로 다시 시작하지 않을까... 라는 희망을 가져보고 싶네요. S-kit 은 정말 완성도 높은 서스펜션 킷임은 틀림없습니다.
2008.09.02 22:55:02 (*.183.239.155)

HD의 높아진 차체 강성은 참 마음에 들더군요.
미니 이전에 HD였는데 과속방지턱이나 둔턱을 지날때 예전 차들과 다른
단단한 차체의 느낌에 참 든든함이 느껴졌습니다.
제 경우는 순정상태였는데 아쉽다면 주행거리가 18000km 정도 부터
탄탄하던 순정 서스가 확연하게 물러져서 30000km 부근에서는 너무
무른 느낌이 들어서 불안불안 하더군요.
인커스킷을 할까 했는데 차를 바꾸면서 HD와 이별했지만,
인커스의 해체 소식은 아쉬울 뿐입니다.
그래도 다시 또 다른 시도가 있겠죠?
우리나라 메이커들도
언젠가는 AMG나 M 모델 같은 버전을 좀 만들어 줬으면 하네요.
미니 이전에 HD였는데 과속방지턱이나 둔턱을 지날때 예전 차들과 다른
단단한 차체의 느낌에 참 든든함이 느껴졌습니다.
제 경우는 순정상태였는데 아쉽다면 주행거리가 18000km 정도 부터
탄탄하던 순정 서스가 확연하게 물러져서 30000km 부근에서는 너무
무른 느낌이 들어서 불안불안 하더군요.
인커스킷을 할까 했는데 차를 바꾸면서 HD와 이별했지만,
인커스의 해체 소식은 아쉬울 뿐입니다.
그래도 다시 또 다른 시도가 있겠죠?
우리나라 메이커들도
언젠가는 AMG나 M 모델 같은 버전을 좀 만들어 줬으면 하네요.
2008.10.29 20:14:50 (*.100.195.97)

황호선님에 말씀하신 그분(?) 절 말씀하시는지? ^^
지난 2년간 S-KIT 개발에 노력하던 기억들이 지금도 어제 일 같습니다.
그나마 세상에 빛이라도 봤던 HD, I30 용 S-KIT 뿐만아니라..
10달의 산고를 채우고도 세상 빛을 보지 못한 TG, NF S-KIT
그리고 정말 노력했던 16단 감쇠 조절식 HD, I30 용 R-KIT, 이놈 역시 개발 완료 후
어쩔수 없이 사장 되고 말았네요...
다음에 또 다른 기회가 온다면... 그때는 국내 튜닝 유저들의 기대에 부응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2년간 S-KIT 개발에 노력하던 기억들이 지금도 어제 일 같습니다.
그나마 세상에 빛이라도 봤던 HD, I30 용 S-KIT 뿐만아니라..
10달의 산고를 채우고도 세상 빛을 보지 못한 TG, NF S-KIT
그리고 정말 노력했던 16단 감쇠 조절식 HD, I30 용 R-KIT, 이놈 역시 개발 완료 후
어쩔수 없이 사장 되고 말았네요...
다음에 또 다른 기회가 온다면... 그때는 국내 튜닝 유저들의 기대에 부응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