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한달반쯤 전 장거리 출퇴근 목적의 차량으로 04년식 SM520 수동 차량을 구매했습니다.
구매 후 간단한 소모품 교체 후 전반적으로 만족스럽게 타고있는데, 냉간시 시동지연이 해결이 안됩니다.
정확히 말하면 냉간시라기보다는... 요즘같은 외기온에 엔진온도가 완전히 떨어져있지 않을만한 시동 off 후 약 5-60분 후에 재시동에도 3-4초 가량 크랭킹 후 걸립니다.
일단 걸리고 난 뒤에는 1-20분 정도 이내라면 껐다 다시걸 때 일발시동 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점검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소실크리닝
-스로틀밸브 크리닝
-AAC모터 교체(ISC모터와 같은 역할을 하는 부품의 명칭인 것 같습니다)
-PCV밸브 교체 & 블로바이가스 호스 교체
-연료펌프 & 연료필터 교체
플러그 간극이나 배터리 전압에는 문제가 없다고 하며, 카센터에서도 원인을 못잡고 이것저것 교체해보자는 상황입니다.
원인 추정 부품이 몇개 남지도 않은 것 같고, 대충 감으로 추정하는 카센터의 판단이나 제가 판단하는 부분이나 별 차이가 없을 것 같아 인젝터를 갈아보려 합니다.
인젝터 후적으로 인해 시동지연이 되고있는게 아닌가 싶은데요, 비슷한 사례 해결해보신 분 혹은 이쪽으로 알고 계신 분 도움을 부탁드립니다ㅠ
힘겹게 시동이 걸리고 나면, 머플러에서 초반에 휘발유 냄새가 강하게 나는데 이게 인젝터 후적으로 농후해진 상태 때문인건지
아니면 크랭킹중 분사된 연료로 농후해진 것 때문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부조는 없는 상태이구요,
종종 출력이 굉장히 낮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탄력주행으로는 계기속 기준 180km/h 정도까지는 가속이 되는데
급가속 시 좀 스로틀 반응이 무딘(?) 느낌이 날 때가 있습니다. 2단으로 언덕길 올라가다가 서서히 rpm이 떨어져, 기어이 1단을 넣어야 하는 상황도 생기구요ㅠ(rpm3-4천 정도에서)
2.0 수동의 정상적인 출력은 아닌 상태인 것 같습니다.
관계는 없겠지만 입양 후 엔진오일 2회, 미션오일 1회 교체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구매 후 간단한 소모품 교체 후 전반적으로 만족스럽게 타고있는데, 냉간시 시동지연이 해결이 안됩니다.
정확히 말하면 냉간시라기보다는... 요즘같은 외기온에 엔진온도가 완전히 떨어져있지 않을만한 시동 off 후 약 5-60분 후에 재시동에도 3-4초 가량 크랭킹 후 걸립니다.
일단 걸리고 난 뒤에는 1-20분 정도 이내라면 껐다 다시걸 때 일발시동 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점검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소실크리닝
-스로틀밸브 크리닝
-AAC모터 교체(ISC모터와 같은 역할을 하는 부품의 명칭인 것 같습니다)
-PCV밸브 교체 & 블로바이가스 호스 교체
-연료펌프 & 연료필터 교체
플러그 간극이나 배터리 전압에는 문제가 없다고 하며, 카센터에서도 원인을 못잡고 이것저것 교체해보자는 상황입니다.
원인 추정 부품이 몇개 남지도 않은 것 같고, 대충 감으로 추정하는 카센터의 판단이나 제가 판단하는 부분이나 별 차이가 없을 것 같아 인젝터를 갈아보려 합니다.
인젝터 후적으로 인해 시동지연이 되고있는게 아닌가 싶은데요, 비슷한 사례 해결해보신 분 혹은 이쪽으로 알고 계신 분 도움을 부탁드립니다ㅠ
힘겹게 시동이 걸리고 나면, 머플러에서 초반에 휘발유 냄새가 강하게 나는데 이게 인젝터 후적으로 농후해진 상태 때문인건지
아니면 크랭킹중 분사된 연료로 농후해진 것 때문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부조는 없는 상태이구요,
종종 출력이 굉장히 낮게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탄력주행으로는 계기속 기준 180km/h 정도까지는 가속이 되는데
급가속 시 좀 스로틀 반응이 무딘(?) 느낌이 날 때가 있습니다. 2단으로 언덕길 올라가다가 서서히 rpm이 떨어져, 기어이 1단을 넣어야 하는 상황도 생기구요ㅠ(rpm3-4천 정도에서)
2.0 수동의 정상적인 출력은 아닌 상태인 것 같습니다.
관계는 없겠지만 입양 후 엔진오일 2회, 미션오일 1회 교체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2016.06.01 10:27:04 (*.223.10.72)
같은차종은 아니지만 라프09년식 인젝터 갈고 냉간시동지연 해결했습니다 열간시동은 바로걸렸고요 아침에 첫시동시에 악셀을 밟으면서 시동을 걸어야했습니다. 정차시에 시동꺼지는경우도 허다했구요. 외부온도 영향보다는 초기시동에 증상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같은시기 정차시에 아이들과 수온계가 같이 오르내리면서 부조가 있었는데 나중에 알게됐지만 냉각수온도센서가 사망한거더군요
복합적인 증상일수도 있으나
시동문제는 분명 인젝터 때문이었습니다
농후하다기보단 분사시에 무화가 안되어지는 느낌이랄까요
복합적인 증상일수도 있으나
시동문제는 분명 인젝터 때문이었습니다
농후하다기보단 분사시에 무화가 안되어지는 느낌이랄까요
개인적으로 차종,엔진,브랜드 모두 다르고 오래전 일이지만, 유사한 증상을 해결한 경험이 있어 공유합니다.
제 경우 티뷰론터뷸런스 2.0 베타엔진 수동이었구요.
저도 중고로 업어오고 점점 냉간 시동성이 안좋아졌습니다.
나중엔 냉간시에는 몇십초동안 크랭킹을 해도 잘 안걸릴때도 있었죠..
물론 잘 타다가 시동껐다가 금방 켜면 아주 잘 걸렸습니다.
해결은 CPS (혹은 CAS라고도 하던..) 크랭크 포지션 센서를 교체했고요..
저도 우연히 동호회 같은데 열심히 뒤져보다가 유사한 사례를 찾고 시도해본거였습니다.
어쨌든 몇만원 하는 센서니까 신중하게 검토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