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디젤차가 다른연료에비해 공해발생이 많은것으로 이제껏알아왔었습니다만 이런실험결과도 있네요? 물론 한두곳의 결과만 믿을수는 없겠으나 어떻게 이런결과가 나온것일까요? 사용된 차종과 자세한방법이 기재되지않아서 아쉽긴합니다만.. 해외의 디젤에 더 붙어있는 환경부담금역시 부당했던것인지... 여러분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저것과는 조금 다른지만 직분사 가솔린이 pm을 많이 생성한다는 내용은 이전 부터 재기되어 왔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http://www.transportenvironment.org/press/new-petrol-engines-cause-more-air-pollution-dirty-diesels
직분사 엔진의 경우 미세먼지 배출량이 상당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디젤은 그 대비가 워낙에 철저히 이루어졌던 탓에 수치가 낮게 나오는거겠죠. 다만, 가솔린 엔진은 디젤에 비해 그런 부분이 자유롭다보니 관련 규정도 미비하구요. 그러다보니 저런 실험 결과가 도출된 듯 합니다.

착화 특성상 디젤엔진의 입자상 물질 배출이 더 심합니다. 다만 모두가 이 사실을 잘 알고 있기에 간단하게는 DOC부터 pDPF 그리고 본격적인 DPF등을 적용해서 입자상 물질을 처리 하고 있으니 동일 배출규제수준의 차량간에 비교라면 딱히 디젤엔진이 더 많은 입자상 물질을 배출할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그리고 질소산화물이 돌고돌아서 미세먼지 생성을 하는건 맞긴한데 타이어 분진이나 EURO3 이하 수준의 필터 비적용 구형 디젤차량들의 입자상물질들이 만드는 미세먼지에 비교한다면 과연 최근 그렇게 언론과 정부가 떠들고 있는 것 만큼 최근의 디젤엔진이 정말 몹쓸 물건인가에 관해 머리를 갸우뚱 거리게 됩니다.
대차게 사기치다 걸린 회사 하나 때문에 그간 숨겨져 있던 문제들이 공론화되고 더 좋은 방향을 향한 담론들이 나올 수 있고 정책을 조정할 수 잇는 기회가 생긴 것은 바람직한면이라 생각합니다만, 필요 이상의 방향성이 부여되서 사안이 산으로 가는 것도 주의깊게 살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