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저는 투싼ix모델을 운행중입니다
얼마전 OBD 디지털 게이지를 통해서 미션오일온도 냉각수 온도 배기온도를 보면서 상태를 체크하는데
흔히들 말하는 후열같은 경우 배기온도를 가지고 관리포인트로 보면 될런지요...
시동OFF는 배기온도 220도 이하로 보고있는데 이렇게 관리하니 후열이간이 보통 1분 미만 DOF작동후 보통 3분가량 걸리는데... 어텋게 관리하는게 좋겠습니까??
얼마전 OBD 디지털 게이지를 통해서 미션오일온도 냉각수 온도 배기온도를 보면서 상태를 체크하는데
흔히들 말하는 후열같은 경우 배기온도를 가지고 관리포인트로 보면 될런지요...
시동OFF는 배기온도 220도 이하로 보고있는데 이렇게 관리하니 후열이간이 보통 1분 미만 DOF작동후 보통 3분가량 걸리는데... 어텋게 관리하는게 좋겠습니까??
2016.06.11 01:34:34 (*.122.106.211)
후열은 터빈 베어링이 가장 큰 이유고 진짜 보고싶으시다면 터보 오일 리턴라인에 유온 센서를 추가로 달아야겠지만 일반 도로주행 후에는 주차장 진입후 주차 자리까지 서행으로도 충분한 후열이 됩니다.
2016.06.11 01:40:40 (*.170.107.165)

글세요. 디젤은 시스템 온도가 높지 않아서 굳이 후열을 해야할까 의문입니다.
가솔린 과급계처럼 메니폴드가 새빨갛게 달아올라 키오프 후 터빈 센타카트리지를 가열하여 콕업되는 현상이 발생하면 모를까요.
저는 아무리 더운날이라도 그냥 막 끕니다. 주행풍으로 적절히 식혀준 엔진을 정지후 괜히 가열하는 느낌이 들어서요.
가솔린 과급계처럼 메니폴드가 새빨갛게 달아올라 키오프 후 터빈 센타카트리지를 가열하여 콕업되는 현상이 발생하면 모를까요.
저는 아무리 더운날이라도 그냥 막 끕니다. 주행풍으로 적절히 식혀준 엔진을 정지후 괜히 가열하는 느낌이 들어서요.
2016.06.12 10:15:41 (*.153.6.91)
윗분 말씀대로 디젤의 배기온은 가솔에 비하면 워낙 낮아서 .. 심지어 배기온센서도 안달고 다니는 튜너분들도 많더군요
볼베어링이면 그냥 시동 팍팍 꺼도 문제는 없지만 순정중에 일부 들어가는 저널베어링은 터빈이 도는데 급 시동끄면 유압이 형성 안되어서 터빈이 손상될 수 있으니 좀 조심하는게 좋지만 후열이라고 시동 걸어놓을것 까진 없고 집 근처는 어차피 저속으로 다니면서 주차하는 시간도 있으니 그냥 팍팍 꺼도 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