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할로겐 램프는 원래 열이 많이 나고 뜨겁나요 ?
nf소나타 트랜스폼 차량이고 순정 55와트 할로겐인데
빛이 나오는쪽은 열기가 생각보다 엄청나네요 손으로 대기 힘들정도..
열이 많이나서 그런지 라이트의 표면이 열화가 생기는거 같습니다.
원래 할로겐 자체가 열이 심한지 궁금합니다.
- 사진상 검게 그을린건 라이트 필름을 부착하였는데 필름이 그을린것으로 추측됩니다
2016.06.12 06:45:41 (*.201.29.24)
조명장치의 빛 전환 효율은 매우 낮습니다.
니크롬선을 사용하는 백열,할로겐등은 3%,
고압 방전등은 (형광등,나트륨등)은 약 7~12%,
Led류는 약20% 정도입니다.
그럼 나머지 에너지는......
열로 전환됩니다. 그러니 뜨겁죠.
니크롬선을 사용하는 백열,할로겐등은 3%,
고압 방전등은 (형광등,나트륨등)은 약 7~12%,
Led류는 약20% 정도입니다.
그럼 나머지 에너지는......
열로 전환됩니다. 그러니 뜨겁죠.
2016.06.13 00:38:52 (*.231.218.4)

그 덕에 라이트에 쌓인 눈이 녹아 기본적인 등화 상태는 서로 확인할 수 있지요. :) 요즘 점점 발열 적은 LED 전구가 많아지긴 하지만요.
실내등 전구도 엄청 뜨겁습니다. 시동 끄고 짐 정리해 나오는 그 짧은 시간에도 뜨끈해지기에, 다 LED왜 바꾸었더니 더 밝고 훨씬 덜 뜨겁네요.
실내등 전구도 엄청 뜨겁습니다. 시동 끄고 짐 정리해 나오는 그 짧은 시간에도 뜨끈해지기에, 다 LED왜 바꾸었더니 더 밝고 훨씬 덜 뜨겁네요.
2016.06.13 12:59:53 (*.37.74.126)

LED의 열손실은 85%에 달합니다.
LED도 엄청 뜨겁죠. 방열이 잘 안되면 금방 사망합니다.
열손실만 놓고보면 백열등류보다 LED의 열이 더 심합니다.
백열등 같은 경우는 적외선으로 80프로 이상 손실되고 열손실은 10프로 조금 넘을겁니다만 적외선이 열을 전달하기에... 결국 열손실 90프로로 생각해도 될듯 하네요...
LED도 엄청 뜨겁죠. 방열이 잘 안되면 금방 사망합니다.
열손실만 놓고보면 백열등류보다 LED의 열이 더 심합니다.
백열등 같은 경우는 적외선으로 80프로 이상 손실되고 열손실은 10프로 조금 넘을겁니다만 적외선이 열을 전달하기에... 결국 열손실 90프로로 생각해도 될듯 하네요...
2016.06.13 15:50:18 (*.62.72.151)
짧은 경험에 비춰볼때 할로겐램프가 발열량이 크긴 합니다그런데 신진같은 문제는 라이트필름이 영향이 꽤 큽니다
이전 차량에서 라이트필름이 시공 되어 있었는데 라이트가 꽤나 뜨겁더라구여 그리고 사진과 동일하게 자글자글마게 크랙도 생기고...
그러다 필름이 부착안된 순정으로 교체후엔 열이 많이 내려갔고 문제발생도 없었습니딘
결론은 순정라이트통은 그 본연에 역할에 충실하게 완성 되어 있으나 이에 불필요한 작업(라이트필름)을 하면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겁니다
또 하사는 필름 재질에 따라서 크랙이 발생하고 않하고 갈립니다
크랙을 유발하는 라이트필름은 시중에 저렴하고 쉽게 구하는 PVC재질로 알고 있고요 업체들중에서도 저런거 땜에 다른 재질의 필름을 사용하는곳도 봤습니다~^^
이전 차량에서 라이트필름이 시공 되어 있었는데 라이트가 꽤나 뜨겁더라구여 그리고 사진과 동일하게 자글자글마게 크랙도 생기고...
그러다 필름이 부착안된 순정으로 교체후엔 열이 많이 내려갔고 문제발생도 없었습니딘
결론은 순정라이트통은 그 본연에 역할에 충실하게 완성 되어 있으나 이에 불필요한 작업(라이트필름)을 하면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겁니다
또 하사는 필름 재질에 따라서 크랙이 발생하고 않하고 갈립니다
크랙을 유발하는 라이트필름은 시중에 저렴하고 쉽게 구하는 PVC재질로 알고 있고요 업체들중에서도 저런거 땜에 다른 재질의 필름을 사용하는곳도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