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옵셋 테스트는 1995년 미국 IIHS에서 시행되었습니다. 프론트의 40%, 64kph의 속도로 충돌합니다.
차체가 정면으로 반듯이 충돌하는 케이스보다는 전면부 일부분으로 접촉히는 케이스가 30%라는데 착안하여 시행된 테스트로 안전한 차의 기준을 만드는데 크게 일조했습니다.
1995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저 테스트를 시행하기 이전에도 저런 사고에 대비했던 메이커가 있었는데
1979년에 처음 등장한 W126과 후속으로 등장한 1991년 W140이 최초입니다. 64kph보다 낮은 55kph 40% offset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습니다. 속도의 제곱에 비례해 에너지가 증가하니 10kph의 차이는 생각보다 큽니다.
충돌시 엔진 양쪽의 두개의 프론트 사이드멤버가 버팀목 역할을 하며 캐빈룸을 보호하도록 만드는데 한쪽만 빗겨 치는 옵셋테스트는 하나의 사이드멤버로 차체 충돌에너지를 온전히 버텨야하는, 당시로서는 가혹한 테스트입니다.
97년 체어맨이 그토록 자랑하던 피라미드식 차체구조라는 것이 사이드멤버가 역아치로 생겨먹어서 충돌에너지를 분산하는 구조로 당시 형편없던 국산차들을 생각하면 '과연 자랑거리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옵셋테스트 충돌속도가 높아선가 생각보다 어려웠는지 95년 등장한 이래로 좋은 성적의 차들은 몇년 뒤에나 보입니다. 벤츠도 98my W210(전기형)에선 만족스러운 시험결과 성적이 나오지 않아 01my W210(후기형)에서 섀시를 개선했고 충돌시험뒤엔 두대가 같은 코드네임의 차인가 싶을정도로 결과가 드라마틱하게 바뀌었습니다.
준비안된 차들과 기술이 부족한 메이커들은 한동안 옵셋테스트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근까지 부단히 노력했고 몇년전 서부터는 5점 못받는 차들이 이상해진, 변별력없는 시험으로 전락해서 25%스몰오버랩 테스트가 등장했습니다.
옵셋테스트가 하나의 사이드멤버로 차체충격을 흡수해야 한다면 25% 스몰오버랩테스트는 사이드멤버 바로 옆, 휠하우스 부분을 빗겨칩니다. 충격흡수하라고 만든 사이드멤버 두개모두 만나지 않고 카울(대시패널), A필러와 플로어 지붕상단, 차체측면으로 온전히 버텨야 합니다.
사진에서처럼 고정벽이 사이드멤버는 만나보지도 못하고 휠하우스와 앞바퀴, 캐빈을 직접적으로 때리기 때문에 설계자입장에선 허를 찔린듯 했을겁니다.
세로배치엔진의, 프론트 서스펜션 공간을 크게 잡는 후륜구동 차들은 사이드멤버와 거리가 더 멀기 때문에 전륜구동 차들보다도 더 취약했을겁니다.
구조역학이 아주오래된 학문입니다. 이론은 정립 되어있습니다. 70년대 W126 뚝딱거리며 실차 수백번 부숴가며설계하던 시대가 아니라 컴퓨터시뮬레이션으로 설계결과를 예측, 시간도 단축되어 스몰오버랩이라 한들 전처럼 그닥 어렵지 않은 모양인지 메이커들은 늘 해답을 찾았고 차체측면과 휠하우스 뒷쪽과 대시패널근처를 보강해서 2년도 안되어 만점받는 차들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genesis DH가 최초였나...암튼..
그럼 이번에 보험협회어쩌구에서 쓸데없이 포토샵으로 색칠해서 사람들 멍청이로 만든 저 문제의 사진.
그간 북미차량엔 범퍼레일이 길이가 긴게 들어간다는 것은 알았는데 그게 저속추돌 수리비 경감을 위해 만든다는 코너 익스텐션이라는걸 어제 처음알았습니다.
범퍼 코너부분을 5kph로 부딪혀서 수리비가 얼마나 나오는지 보험협회에서 테스트한답니다. 미국을 제외한 다른나라의 메이커와 정부에서는 보행자충돌안전 규정때문에 달려있으면 안되는 물건이구요.
좌우 레일길이가 다르고 그것이 사이드멤버가 충격을 흡수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지 않냐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던데
(이번에 만점받은 2016 투싼.jpg)
실제론 이렇게 힘없이 꺽이고 사이드멤버는 '의도대로' 25%면적 바깥에 위치하여 고정벽과 사이드멤버는 만나보지도 못하고 바로 휠하우스를 때려 버립니다. 이 시험이 처음 등장하고 얼마안되 스바루가 운전석쪽만 보강해서 문제가 되었습니다. 좌우 휠하우스 뒷쪽구조가 다른.
그 얘기 하며 현대 섀시설계 담당자한테 당신네들 차도 스몰오버랩 대응 좌우가 다르냐고 물었더니 자존심을 건드렸다는 듯 노발대발할 정도로 강하게 아니라고 얘기합니다. 화이트보디 한번만 보면 들통날 거짓말을 할 사람은 없습니다.
2016 투싼이 탑세이프티 pick+를 수상했다는 소식과 함께 이상한 찌라시가 돌아 사람들이 불신하는걸 보면 안타깝습니다.
사람들의 굳어진 선입견을 이용해 주목받고 싶어하는 미디어 종사자와 '쟤는 원래 나쁜놈이니까 이것도 그럴 것이다'라고 생각하고 단정지어 선동하는 사람들이 지어낸 거라고 보는데요.
이 곳에 방문하시는 회원님들은 외부의 이야기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에 한번 쯤 생각해보았으면 합니다.
한줄요약: 차는 역시 벤즈... 으허
- -24182.jpg (40.6KB)(34)
- Mercedes-S-Klasse-W-126-729x486-1d46c7fa8efe886a.jpg (84.5KB)(45)
- api-rating-image (1).jpg (112.5KB)(22)
- Ags572b6adc2ffa8.jpg (39.2KB)(19)
- Ags572b6add2c4db.jpg (84.6KB)(17)
- 2.jpg (143.7KB)(20)
- infiniti-q70-aces-small-overlap-front-crash-test-earns-iihs-top-safety-pick-award-video-87403_1.jpg (190.3KB)(23)
- small-overlap-overhead.jpg (19.0KB)(16)
- crash-course-frontal-impact-2-2-photo-492946-s-original.jpg (46.2KB)(22)
- 20160628155420725hwmn.jpg (68.2KB)(22)
- 1.jpg (201.7KB)(18)
- BQQO_1467122678.jpg (13.0KB)(19)
- BQQO_1467122678 (1).jpg (13.0KB)(14)
- ba0c7276810a2d9992d472530d9002a4_1439172554_5444.jpg (80.8KB)(17)

저도 저게 원래 길이가 연장된애가 장착된다는것 만알았지 그 아유가 보험료줄이려고 붙어있는 애란걸 어제 다른 회원님 리플보고 처음알았습니다.
사실 얄밉기는 모터그래프가 제일 얄밉습니다. 김한용기자가 저 범퍼레일이 스몰오버랩에 영향을 미치는애가 아니란걸 뻔히 알면서도 그부분은 애둘러 말하지 않고 단지 내수와 수출에 차이가 있다면서 전체적인 맥락에서 호도합니다.
언제나 이슈거리와 자극적인 것들로 인터넷유저들에게 전달하기 바쁘고 경제찌라시 출신이라는 커리어가 출입처와의 관계를 둠에 있어서 얼마나 미묘한 관계로 지내 왔을지 아직 그런버릇으로 일을하는건 아닐지 추측은 갑니다.
암튼 그래서 제목인 '현대적 안전 설계개념이 적용된 차'는 뭐냐...는 제 생각으로는 w140이 아닐까 합니다.

투싼TL TSP+획득! 내외수는 다르지 않아요~ 라고 언급하더니.
어디선가 범퍼레일 길이가 다르다! 라는 소리가 툭! 튀어나오니.
곧장 영상까지 올려놓으면서 "설명"을 하는... 3단변화.
현대차 까는건 국민스포츠라더니만, 과연 그러하다고 느낍니다.
전 몰빵으로 누군가나 특정단체를 추켜세워주고, 까는것을 극단적으로 싫어해서, 사태의 추이만 보고 있었는데요.
제 타임라인에도 가득가득 채워지던 "극혐!"식의 분위기가 만연해 있습니다.
인주님의 본문과 테드게시글의 좌표를, 캡쳐해서 페이스북에 올려봤습니다, 먼저 말씀드리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
언급하신 그분이 보실지 어떨지는 모르겠지만, 반응이 좀 궁금하긴 하네요 ^-^;;
R&D모터쇼때 투싼TL앞에서 스몰오버랩 테스트를 설명해주시던, 남양연구소의 직원분이 생각나서.
고작 서포트레일 하나로 그 연구원분의 노력이 욕먹는것 같단 생각에, 이인주 회원님의 글을 꼭두새벽부터 퍼가서 정리글을 적고 말았네요 ^-^;

일간지 기자를 모욕하지 마세요. 그분들이 들으면 엄청 화낼 일입니다.
종이로 인쇄해서 나오는 매체의 기자들은 철저한 훈련을 받아왔습니다. 그런 실수 안해요.
디지털시대에 인터넷에 등장한 매체들은 ('조선' '동아' '경향' 등 이름이 있어도) 그냥 스스로 기자로 태어난 존재들이고 일을 가르쳐준 사람도 없고 스스로 좌충우돌하면서 비즈니스 영역을 확보하는 쪽으로 진화된 업종들입니다.
뭐 우리나라만 있는 일은 아니구요. 유투브, 인터넷 시대가 만든 블로거와 전통적인 미디어 사이의 니치영역인 것 같습니다. 1인 미디어로 크게 성공한 사람들도 있구요. 그야말로 창조경제. 그런데 대기업이랑 정부, 공기업 흠잡는 걸로 시작하고 광고협찬 내지 업무협조로 네고하는 행태는 한국만 그런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덕분에 하나 배웠습니다.
개인적으로 ㅁㅌㄱㄹㅍ의 김한용 기자는 이전에도 여러번 사건사고가 많았죠. 사실 관계도 명확히 하지 않고, 슬그머니 뒤에 숨어서 사람들이 물고뜯기 좋아하는 글들만 쓰고 있어서 거르는데요. 이번에도 아주 제대로 한 건 하셨네요.

> 미국을 제외한 다른나라의 메이커와 정부에서는 보행자충돌안전 규정때문에 달려있으면 안되는 물건이구요.
이 부분에 대한 레퍼런스를 알 수 있을까요?
워낙 민감한 사안이다 보니 글 한줄만으로는 쉽게 믿어지지가 않네요
다른 나라에 없는건 모르겠지만 미국에는 있다는 자료입니다.
시발 :
49 CFR Part 581, "The bumper standard," prescribes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passenger cars in low-speed front and rear collisions. It applies to front and rear bumpers on passenger cars to prevent the damage to the car body and safety related equipment at barrier impact speeds of 2 mph across the full width and 1 mph on the corners.
개정 :
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FMVSS) 215, "Exterior Protection," which became effective on September 1, 1972. This standard called for passenger cars, beginning with model year (MY) 1973, to withstand 5 mph front and 2 � mph rear impacts against a perpendicular barrier without damage to certain safety-related components such as headlamps and fuel systems.
개정 :
May 14, 1982, effective for MY 1983 and subsequent model year passenger cars. This amendment reduced test impact speeds from 5 mph to 2.5 mph for longitudinal front and rear barrier and pendulum impacts and from 3 mph to 1.5 mph for corner pendulum impacts.
저도 방금 찾은거라 보면서 웃기긴 했지만 뭐 어떻게 수정해서 비슷하게 들어갔겠지~
+ 단순히 미국의 코너충돌 테스트를 만족시키기 위해 장착한 부품을 해당 테스트가 없는 나라에 안 달아주는게 왜 문제인지, 제조사는 항상 전세계 모든 기준을 다 만족시키는 차를 1개만 개발해서 팔아야되는게 아닌데 왜 저 구조물을 못달아야 한다는 근거를 원하시는지 궁금해 하고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론 .. 어차피 같은 거(관계법령 등) 궁금해하는데 같이 찾아주시면 좀 .... 저도 찾으면 댓글달러 오겠습니다.
애초에 얇게 생긴걸 갖고 저것 덕분에 스몰오버랩이 잘 나온다는게 헛소리라고 생각했지만 증거 찾기가 귀찮았는데 역시 있군요 잘 읽었습니다.
그리고 하나 더 추가하자면 미국에 충돌테스트 기관은 IIHS와 NHTSA 두개가 크게 있습니다. IIHS는 비영리라고는 하지만 "공도 안전을 위한 보험사 연합회" 구요 NHTSA는 "전국 공도 교통안전협회" 입니다. 왜 범퍼코너 충돌시 수리비가 적게 나오는데 치중하는지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NHTSA라고 정,재계의 입김에 영향을 안 받는건 아닙니다만 저는 IIHS자료는 걸러 듣습니다. 제가 알기로 저 범퍼 충돌 무손실(?) 규정이 NHTSA에서는 안전장비를 보호하는 거지만(관련 법령) IIHS는 수리비 기준으로 말하는거부터가(링크) 왠지, 생명이 걸린 리콜사항이 있는데 보상금이 리콜비용보다 싸면 그냥 죽게 놔두고 보상금 줄 그런 단체같아서요..
http://www.iihs.org/iihs/ratings/bumpers?classType=Midsize%20moderately%20priced%20cars
PS 현대차 까시기 전에 .. 내수 vs 수출 비교한 사진을 자세히 보세요. 범퍼 하단에 테두리를 둘러준거처럼 있는 쇠막대기가 수출형에는 없습니다. 왜냐구요? 외국인은 호구라 죽어도 되니까요? 아뇨 그냥 그 나라에 법이 없으니까 안 해도 되는데 돈 안 쓰는겁니다..........

다른커뮤니티는 서로 씹고 뜯고 난리던데 잘배우고 갑니다.
모터그...어쩌구의 김모기자의 동영상은 인제서킷에서 엠포랑 rcf리뷰한거 이후로 안봅니다 수준낮아서 모트라...도 마찬가지구요
민감한 사안이라... 그냥 지켜보고있었습니다.
과연 해당 구조물을 보면서... 저게 충돌시 버틸수있고, 큰차이를 주는 구조물인가 싶었는데요... 아무리생각해도 의아했습니다.ㅎㅎ 충돌안전테스트는 하나의 지표일뿐이라 생각하고, 그래도, 차는 안전해야하니까 일정수준이상 만족하는차를 선호하는데...생산량 세계5위쯤되는 회사가 그리 허술하게 하진 않았을거라 생각했거든요.

모터그래프에서 팩트없이 까기 선동에 들어가서...좀 눈쌀 찌푸리고 있었는데, 속이 다 시원한 글이네요.
좋은 자료와 글 잘봤습니다.

역시..이런글은 언제나 좋네요.
테드니까 가능한 글 같습니다.
일반 커뮤니티는 도가 지나치게 반현대 정서가 심하더군요.

게시판에서 보기 힘든 귀한 자료와 정리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제 개인적으론, 현기자동차 좋아하지 아니하나, 중급 SUV안전성에서
이번에 기라성같은 일본 메이커들 (토요타, 혼다, 닛산, 스바루, 마쯔다..) 다 꺾고 최정상의 자리에 우뚝 올라선 현기자동차가 정말 대단해 보입니다.
현기자동차에게는, 참으로 기념비적인 날이 될 것 같습니다. 언제 이런 날이 올 줄 알았을까요?
모두의 예상을 꺾고, 좌우 다르게 만드는 꼼수 안 부리고 정직하게 만든 회사가 현기자동차가 될 줄, 누가 알았을까요?
현기자동차, 진심으로 축하하고, 응원합니다.
아무리 밉상인 회사지만, 현재 신뢰의 상징 일본차들을 모두 다 꺾고, Made in Korea로 해외에서 최고의 신뢰와 인정을 받는다면, 저는 기쁠 것입니다.

북미에서는 저속추돌에 따른 보험금 지급 사례가 예전부터 많았던걸까요? 아마 꽤 예전에 북미한정으로 나가던 5mph 범퍼도 이런 맥락이 아니었을지..
PS : 해당매체 거의 거르는 편인데 차후 어떤식으로 얘기를 진행할지 좀 궁금해지네요.~
현기가 호감 브랜드는 아니긴 합니다만, 그래도 이번 iihs test관련 내수 수출 차별에 대한 오해(5마일 범퍼 연장)는 풀렸으면 합니다. 딱 정리가 되는 좋은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시 테드네요.

그동안 쌓아온 신뢰가 무너지는건 한순간이고..
그동안 쌓아온 불신을 깨버리는건 오랜 시간이 걸리는군요..
잘 봤습니다..*

다른 차량들 사진도 살펴보니 저 칠한 부분이 범퍼 레일의 연장 부분이 아니라 범퍼 레일 뒷편의 임팩트 바네요. 엄한 레일 색칠 한번 잘못해서 여러 사람 낚아 올렸군요 ㅎㅎ
범퍼레일의 길이 차이가 핵심이라고는 하지만 북미 올뉴투싼과
비교되는 챠량의 사진이 투싼ix 후기형이라는것도 재밌죠.
다른차 사진을 가지고 이제는 범퍼레일의 중간 부분 형상이 왜 차이냐나로 따지고 있더군요.
이글을 보니 이인주님 의견이 이해가 되고 제 의견의 잘못된 점도 보이는군요. 코너 익스텐션의 전면사진만 보고 제가 그 구조를 잘못 생각한것 같습니다. 정중하게 사과드리겠습니다.
제 게시물은 관리자님께서 지우셔도 좋지만 다른분들은 이러지 마시라고 그냥 놔두겠습니다.
궁금한게 있는데, 결론적으로 내수용과 수출용의 안전도가 완벽하게 같다는건가요? 이건 같은 차를 똑같은 조건에서 사고를 내보는 것 외에 어떻게 증명이 가능할까요?

북미가 더 위험한 차이면 북미수준으로 내수/유럽차가 위험해져야 안전도가 같아지는 것인데 안전도가 완벽하게 같은 것에 집착해야할 이유가 뭘까요?
북미차를 유럽/국내에서 테스트해보고 또 유럽/국내차를 북미 시험조건으로 테스트해서 교차비교를 해보면 어떤 차이가 나오는지 되겠지만 "충돌테스트 결과 = 안전도" 라고 보는 기본 전제가 저는 부족하다고 봅니다.
차는 Active Safety 와 Passive Safety 가 있구요. 아직 Active Safety 에 대해 업계는 물론 어느나라도 잘 정리된 법규나 기준을 갖고 있지 못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경험이 많은 전문가의 의견을 물을 수 밖에 없어요. 차는 아무리 잘 만들어도 사고가 나면 여하튼 물질적, 정신적, 신체적 손실이 있기 때문에 사고가 안날 수 있는 Active Safety 가 훨 중요하다고 봅니다. 이걸 꼭 Radar 를 활용한 자동정지장치라든가. 보행자 인식이라든가. 하는 쪽으로 보시기도 하는데 그보다는 차의 기본보디와 섀시가 잘 만들어져서 ESP와 ABS가 덜들어오면서 차가 필요한 거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설계가 Active Safety 의 큰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나서 피치못할 사고가 났을 때 데미지를 평가하는 Passive Safety 가 있는데 그 역시 over 100km/h 의 충격에 승차자를 안전하게 지켜주는 차는 없습니다. 모두 안전하지 않음. (그러므로 어떻게든 보호받을 수 있는 영역까지 속도를 낮출 수 있는 제동성능과 운전실력이 필요함) 훨씬 낮은 속도에서의 안전에 대해 유럽/국내와 미국이 조금 다른 충돌테스트 기준을 갖고 있어서 마치 다르게 설계될 것 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 속도대의 충돌테스트에 대응하는 것은 범퍼레일 따위가 아니고 기본적인 보디의 구조물들이기 때문에 북미와 유럽/국내에 대해 완전히 처음부터 설계가 다른보디를 구사하면서 같은 이름을 붙이는 전략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거의 같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보행자안전에 대해서는 아직 설계대응을 안하고 있는 북미용 차가 더 위험한 차입니다. (대신 저속에서 충돌시 수리비가 적게 나옴)
저속충돌을 대응하는 서포트레일일거라고는 생각지 못했네요, 간만에 두세번 정독하는 좋은글을 읽고갑니다.
감사합니다 ^-^ 저는 이런 글 때문에 테드에 접속하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