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d Impression

































제네시스 쿠페가 제법 당당한 모습으로 시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포르쉐나 페라리 안타본 모델들보다 제네시스 쿠페를 더 타보고 싶었던 것은 현대에서 처녀작으로 만든 후륜구동 쿠페가 어떠할 것이라는 배경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더더욱 궁금증이 더해갔었다.
시승차는 3.8 수동변속기 사양이었고, 303마력/6300rpm, 최대토크 36.8kgm/4700rpm의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없는 사양이다.
많은 차를 시승하면서 국산차의 출력의 숫자에 아무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던 이유는 숫자만큼 달려주었던 국산차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랜져 TG(3.3)가 나오면서부터 이런 생각들이 바뀌기 시작했고, 파워트레인 전체의 효율성이 눈에 띄게 높아졌다는 생각을 가질 때 제네시스 3.8 시승때 느낀 가속감이 530i를 가뿐하게 앞서는 것을 보고 현대가 만든 파워트레인에 대한 기대가 조금씩 커져가기 시작했다.
일단 시내에서 30분 정도 몰아보며 감을 잡기 위한 가벼운 주행을 시도했다.
시트에 앉고 1분 안에 느낀 점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인지레버의 위치가 너무 뒤로 와있다.(시트를 앞으로 당겨 앉는 포지션에선 6단을 넣을 때 체인지레버가 너무 뒤에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고, 전체적으로 국내 평균신장을 고려했을 때 이보다 큰 사람에게 편안한 위치설정이다)
2. 가속패달을 밟았을 때 반응이 한박자 느리고 내려올 때도 역시 한박자 늦게 떨어진다.
3. 1단에서 2단으로 넘어갈 때 퀵시프트를 하기 상당히 힘들다.(시승차만의 문제일 수도 있음) 단 체인지레버의 작동거리가 짧고 변속감촉도 좋은 편이다.
4. 엔진음색이 좋고 4000rpm이 넘어가면서 가변흡기가 열리는지 흡기음이 달라진다.
5. 앞뒤 브렘보를 가지고 있지만 전체적인 제동 느낌이 다른 현대차와 다르지 않다.(강한 제동이 아닌 평상 제동때의 제동느낌)
6. 스티어링이 여느 현대차와 다르게 묵직하다.
7. VDC를 끄고 번아웃을 유도하면 2~3초정도 되었을 때 파워가 차단된다.(즉 드리프트를 불가하게 만들었고, ABS연결 컨넥터를 제거하더라도 5000rpm이상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파워 드리프트를 하는 것이 힘들다)
8. 엔진음색이 상당히 스포티하고, 배기사운드도 세련되었다.
노면에 대한 반응도 정직한 편이고, 승차감도 이런 차급에서는 좋은 편이었다.
19인치와 서스의 매칭에 큰 부작용이 감지되지 않았고, 자연스런 주행이 가능했다.
약간 느린 엔진반응은 빠른 손동작을 약간 맥빠지게 하는 경향이 있지만 3단 이후에는 이내용으로 인한 불편함은 현저히 줄어든다.
고속주행시 4인 승차하고 평평한 직선에서 240km/h는 쉽게 마크했고, 0->100km/h를 계측기로 측정했을 때 6.4초가 나왔다.
1단에서 2단으로 퀵시프트를 하지 못하는 상황 즉 1단에서 2단으로 급하게 꽂아 넣고 싶어도 변속기가 따라와주지 않는 악조건에서 낸 기록치고는 만족스러웠다.
변속시간 로스로 최소 0.2초 이상을 낭비했다고 봐도 무방하니 실측으로 6초대 초반은 전혀 어렵지 않게 낼 수 있다.
3,4,5단 가속 역시 시원하게 뻗어나간다. 6단에 들어가는 230km/h부근에서도 충분한 토크로 밀어부치는데, 나는 경험을 못했지만 250km/h가 되면 리미터가 작동한다고 들었다.(GPS속도 245km/h)
엔진에서 제법 좋은 소리가 난다는 점과 정속주행때 배기음이 은은하고 부밍음이 전혀 없었다.
나름대로 사운드 튜닝에 상당히 신경을 쓴 흔적이 보인다.
고속에서의 핸들링은 스티어링을 꺽으면 머리가 안쪽으로 급격하게 꽂히려는 특성을 보이는 전형적인 스포츠 지향 핸들링인데, 이 한계점이 얼마나 될 지 테스트해보기는 사실 좀 무서웠다.
티뷰론과 투스카니에 익숙한 오너들은 제네시스 쿠페의 몸놀림에 역시 후륜구동이라는 감동을 줄 소지가 충분하고 분명 전륜구동과 구분되는 스티어링 감각이 돋보인다.
독일차를 많이 타던 사람들 입장에서 제네시스의 고속에서의 핸들링 동작은 좀 심하게 조작했을 때 뒤가 흘러버릴 것 같은 위화감을 줄 소지도 충분히 있다.
한가지 확실한 것은 서스펜션의 스트로크가 충분하기 때문에 고속바운스에 차가 심한 히스테리를 부리지 않는 것인데, 처녀작치고는 고속 안정성면에서 상당한 수준에서 만족스런 결과가 나왔다고 본다.
브렘보는 초기 감각이 다른 현대차나 일본차와 다르지 않고 반발력이 약한 특성이 약간 실망이긴 하지만 강하게 밟았을 때 일정하게 제동압력이 증가하는 것은 기존 국산차에서 감히 이룰 수 없었던 혜택이다.
뒷좌석에도 앉아봤는데, 레그룸이 G37쿠페보다 넓은 편이지만 지붕이 낮고 머리가 위치하는 곳이 뒷유리 상단 부분이라 차가 덜컹이면 머리를 부딪힐 가능성이 크다.
인슬라이딩 선루프가 있는 경우 뒷좌석 머리공간이 더욱 더 답답하다.
시트는 잘 생겼고, 편안했다.
차의 구석구석을 보면 약간 아쉬운 부분도 있지만 적정한 가격에 이 정도의 감성품질을 완성할 수 있었던 것은 상당한 성과라고 볼 수 있다.
최소한 미쓰비시 란서와 비교할 가치도 없이 내부 감성품질은 눈에 띄는 단점보다는 장점이 많이 보인다.
여러가지 제어장치를 걸어놓았기 때문에 드리프트에 제약이 따르고 그토록 염원하는 터보엔진의 칩튜닝이나 터보차져 업그레이드등의 튜닝이 현재로선 막막한 상태이다.
당연한 이야기가 되겠지만 튜닝에 대한 가능성은 분명 열릴 것이다. 튜닝이 완전 제한된다면 이차가 시장에서 존재해야 할 이유가 절반 이하로 떨어져버리기 때문이다.
보증수리 부분에 대한 부담과 비용을 줄이기 위해 차에 걸어둔 제어장치들의 수준은 상당히 높아보이고, 회사 입장에서는 너무도 잘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제네시스 쿠페는 국내에서 마땅한 direct competitor가 없는 상태이다. 하지만 시장이 이차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경우 그 파급효과는 저렴한 가격대의 수입 스포츠 모델에 미치게 될 수도 있다.
투스카니가 출시될 때와 비교해보면 시장이 이차를 긍정적으로 바라볼 준비가 되어있다는 점과 최대 170마력 남짓한 전륜구동 준스포츠 모델을 만들던 브랜드가 중간단계도 거치지 않고 300마력 오버 후륜구동을 출시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대는 누가 뭐래도 어느 수준에 도달한 성숙한 자동차 브랜드이다. 한편으로 제네시스 쿠페를 타면서 놀란 것은 해외모터스포츠에 전혀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것은 물론 특별히 차에 대한 애정 내지 문화에 대한 철학이 전혀 없는 현대가 이런 수준의 차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바로 이점이 현대의 출중한 능력인지도 모르겠다.
어찌되었건 한국 시장에 제대로 된 후륜 구동 쿠페가 상당히 좋은 가격과 성능으로 출시했다는 점 자체에 마니아들 모두 쌍수를 들고 반길 일임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testkwon-

- IMG_4811.jpg (133.6KB)(11)
- IMG_4751.jpg (61.9KB)(7)
- IMG_4754.jpg (119.0KB)(5)
- IMG_4757.jpg (99.9KB)(4)
- IMG_4759.jpg (111.0KB)(5)
- IMG_4761.jpg (102.4KB)(5)
- IMG_4763.jpg (166.6KB)(5)
- IMG_4765.jpg (128.1KB)(5)
- IMG_4767.jpg (116.7KB)(5)
- IMG_4768.jpg (108.8KB)(5)
- IMG_4770.jpg (143.5KB)(4)
- IMG_4771.jpg (127.9KB)(4)
- IMG_4772.jpg (111.3KB)(6)
- IMG_4774.jpg (98.2KB)(4)
- IMG_4775.jpg (92.6KB)(5)
- IMG_4780.jpg (102.7KB)(5)
- IMG_4782.jpg (109.1KB)(5)
- IMG_4784.jpg (80.8KB)(5)
- IMG_4785.jpg (95.6KB)(5)
- IMG_4788.jpg (68.1KB)(4)
- IMG_4792.jpg (83.0KB)(6)
- IMG_4795.jpg (157.0KB)(4)
- IMG_4796.jpg (156.5KB)(7)
- IMG_4798.jpg (151.3KB)(4)
- IMG_4799.jpg (134.6KB)(5)
- IMG_4800.jpg (152.3KB)(6)
- IMG_4801.jpg (134.3KB)(5)
- IMG_4803.jpg (98.8KB)(5)
- IMG_4804.jpg (91.0KB)(5)
- IMG_4805.jpg (116.2KB)(7)
- IMG_4806.jpg (122.7KB)(5)
- IMG_4807.bmp (703.2KB)(6)
- IMG_4808.jpg (111.8KB)(5)
- IMG_4809.jpg (110.8KB)(8)


매니아가 좋아하는 차를 만들어서는 대형 양산 메이커가 되기 어렵죠.
오히려 반대의 경우가 그나마 가능성이라도 만들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니까요.
이런 이야기가 있지요...
"강한놈이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놈이 강한 것이다!!!"
현대기아차도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잘 유지된다면 위의 문장이 잘 들어맞는 예시가 될 것 같습니다... ^^
반면에 현대기아차에서도 고성능 차량이 나오길 학수고대 하고 있습니다...(소유는 쉽지 않겠지만... ^^;;)
M, RS, AMG, SRT 같은 류의 것들을...

그렇게 보면 도요타가 가는 길(자신들이 가진 능력을 100% 발휘하지 않고 철저히 팔릴 차만을 고심하며 만드는)과 비슷하다고 할 수도 있겠네요. 다만, 차이점이라면 도요타는 모터스포츠에 투자한다는 ... ^^;
고대하던 마스타님의 시승기 잘 읽었습니다. 길에서 조우하는 것이 기대된다기보다는 두렵달까...^^

핑계로만 남게됐죠. 후륜구동 3.8리터면 이제 오너와 튜너에게 공이 넘어온 겁니다.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앞타이어는 225-40-19 8J 휠에 장착되어 있고 뒷타이어는 245-40-19 8.5J휠에 장착되어 있는데 트렁크에 모셔진 스페어 템포러리 타이어는 앞뒤 아무데나 장착해도 상관 없는지 ...

휠이 적용 됩니다.

전 엔진음은 너무 부드러운 느낌이고 배기음은 약간 적은듯해서
멋지게 드리프트하며 "인생은짧다(할부는길다)"를 외치며 등장하는
이미지에는 좀 안맞고 세련되고 편안한 스포츠감각의 GT 카가 더 적절한거 같더라구요.
좀더 스파르탄한 느낌을 원했던게 과한 욕심이였을까요 ^^
제네시스쿠페는 정말 튜너의 몫이 큰거 같습니다. 하지만 잘 튜닝된
드리프트머신이나 레이싱머신들이 즐겁게 달릴 환경이 없다는데 아쉽습니다.
드리프트 해보려면 사람없는 주차장을 찾아가야하고
어디선가 관리인이나 경찰이 오면 자리를 피해야하는 환경에서...
바램은 잘 조련된 제네시스쿠페가 성능을 뽐낼 자리가 많아졌으면 좋겠네요.

내수 시장에서 욕을 많이 먹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네시스쿠페는 현대가 "전륜구동이 무슨 스포츠카야~"라고 불평하는 이들에게
"자 이제 이 정도면 되겠어?"라고 대답해주는 것 같아 반갑네요.

역시 악셀링에 대한 그 엔진반응이었습니다.
실은 제가 제일 좋아하는 느낌이..
100km 정도의 속도에서 악셀을 찌르듯이 툭툭툭 치면,
차가 앞차를 찌르듯이 탁탁탁 튕기며 몸이 시트에 퍽퍽 치는..
악셀링 만으로 나오는 엔진 가감속의 리스폰스를 즐기는데,
이 380은 그 느낌이 거의 안들어서 좀 짜증나더라구요..
(심지어 제 트윈터보 투스카니보다도 그 반응성이 약해서..)
결국은 전자계통은 전체적으로 어떻게건 튠을 해서,
10만킬로의 보증수리를 날려버려서라도 튠을 해야할듯 합니다.
(저라면 아무 망설임없이 전자제어를 다 날려버릴겁니다)
그래도 의외였던건..
생각보다 차가 커서 부담스럽단 느낌은 안들더라는겁니다..

좀 더 들을수 있을까요?
젠쿱의 차체밸런스에 대해 무지 기대감이 커서 고속주행시 운동성에 대해 많이 궁금해서 그럽니다.

"독일차를 많이 타던 사람들 입장에서 제네시스의 고속에서의 핸들링 동작은 좀 심하게 조작했을 때 뒤가 흘러버릴 것 같은 위화감을 줄 소지도 충분히 있다." 는 마스터님의 표현에 많은 공감을 느낍니다.
젠쿱의 실제 웨이트밸런스를 측정해보면, 무게가 4바퀴에 상당히 골고루 분배되어있어 팩토리세팅이 잘되어있다는 생각인데, 실제로 달렸을 때 고속에서의 불안감은 공력 특성때문인지, 아니면 조향계통과 서스펜션세팅의 부조화인지 차가 노면에 촥 가라앉는 느낌을 주지 못해 고속코너를 만났을 때의 심리적인 안정감이 매우 떨어지더군요. 앞바퀴와 뒷바퀴가 따로 노는 듯한 그런 느낌..
속도리밋을 제거한다면, 이 세팅부터 안정화시킨 후에야 끝까지 밟을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어쨌든 전투력높은 380GT를 공도에서 만나면 왠만큼 달리는 차들은 긴장 좀 해야할 듯 합니다. ^^

복합적인 원인이 아닐까 싶습니다.
단순하게 표현한다면 현대의 FR 스포츠세팅의 노하우가 아직 부족한게 아닌가 하는..
애프터마켓튠도 제대로된 테스트를 통한 세팅이 아니라면 오히려 안한만 못한 결과를 줄 수도 있겠더군요.
좀 전에 아는 분의 380GT MT 를 중미산에서 잠깐 시승해보았는데..
함께 동행한 PSS10 장착한 MK5 GTI 와 너무나 비교되는 주행감을 보이길래..
고속주행/와인딩.. 둘 다 이정도라면 대체 이 차가 가야할 길은 어디인가?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비교라는게 상대적이긴 하지만.. 처음에 시승차를 잠깐 시내에서 한바퀴 타보면서 받았던...
오? 꽤 괜찮은데??? 하고 느꼈던 흥분은.. 본격시승을 통해 점 점 희석되가면서, 아직은 여기까지구나..
라는 생각으로 바뀌더군요. 향 후 몇년이 지난 후 더욱 숙성된 FR 스포츠쿠페가 탄생되길 기대해 봅니다.

제 차도(08 STi) 1단에서 2단으로 넘어갈때 짜증날정도로 한박자 쉬고 쉬프팅했어야 하는 상태였는데요,
지금은 수바루에서 ECU 리프로그램을 해줘서 퀵 쉬프팅이 가능해졌습니다.
기어가 못 따라온다긴보단 이씨유 문제일듯 합니다. 이씨유 튠하면 제거 가능할꺼라 믿습니다 ^-^

제네시스의 경우 고속에서 스티어링의 민감도가 증가하기 즉 슬립앵글이 극드로 작게 느껴지는 것 때문에 그렇게 느껴진 것입니다. 이차가 가진 물리적 한계에 대한 경험이 없다보니 차가 어느 상황에서 얼마나 버틸 수 있는지에 대한 인지가 없었고, 때문에 너무 예민한 느낌은 차의 핸들링이 좋게 느껴지기도 한편으로 너무 민감한 것에 대해 거부감을 가질 수 있는 양면성을 가지는 것입니다.



핸들링 감성에 대한 평가가 개인적인 편차가 있겠지만
너무 잘 돌아가는 핸들은 불안 하더라구요.
힘을 좀 주더라도 적당히 무게감 있고
미세한 컨트롤을 하기 좋게 적당한 기어비의 핸들이 좋더군요.
1.단점: i30급의 인테리어
가벼운 핸들
차랑 핸들이랑 따로 노는 듯한 느낌
클러치 밟아 동력 차단 시 쿵! 하는 느낌(조수석 탄 사람 앞으로 덜썩!)
2.장점:4000cc에 육박한 엔진의 존재감(거대한 엔진이 내 앞에 있구나~라는 느낌)
순정임에도 으르렁 대는 사운드
변속감
풍성한 토크
그리고 자세^^

후륜구동에 현대차 특유의 핸들링을 접목하다 보니까
좀 더 민감하게 느껴지는게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나중에 저도 꼭 한번 시승해보고 싶네요.^^
순정 브렘보는 역시 빠릿빠릿한 반응과는 거리가 있군요.
그나저나 마지막 부분은 잔인한 말씀이시지만
너무나 맞는 말씀이셔서 할말이 없네요 정말.
정말 현대의 능력이라면 능력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