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다시 등장한 크루즈 타는 차알못 입니다. ㅎ
아이나비에서 드라이브x라는 이름으로 odb단자를 통해서 차량 데이터(유온, 수온, 전압, 연비.. 등등)
를 추츨하는데 이런 제품들이 차량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나요?
데이터 충돌이 난다던지,, ecu를 방해 한다던지,,,
대부분 튜닝샵이나 카센터에서는 이런 제품들 사용을 자제하라는 얘길 많이 들어서요,,,
근거가 있는 얘기인가 궁금합니다. ㅎ
그 이유가 아마 계속된 읽기 요청으로 ecu 부하가 생긴다고 한것 같아요.
제 경우에는 OBD단자에 연결하는 HUD를 사용중인데 전원이 들어가면 순정네비화면에
외부장치연결때문에 차량진단기능을 사용할수 없다는 안내가 뜹니다. (K5)
TPMS 경고, 엔진, 변속기 등등에 에러가 떠도 생겨도 순정네비로 알려주지 않더군요.
HUD 사용하지 않을때 몇가지 점검경고가 뜬 이후로는 사용안합니다...
저도 예전 게시글에서 체감성능 저하에 한표를 던졌습니다만 최근 온갖 실험용으로 6년간 학대당한 엔비디아 GTX480 카드를 비닐뜯은 새제품과 비교시 성능 차이가 없는것을 보았습니다. 그때 마침 ECU 부하 등에 대해 생각이 났었는데 제 바뀐생각은 (이전입장도 그렇고 이것도 어디까지나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해서 제대로 알아보지 않고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의견일 뿐입니다. 근거 없음.)
1. OBD2에서 핸드폰을 충전하거나 하는 비상식적인 장비가 아니라면 배선이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
2. ECU 연산에 영향을 준다 해도 다른 연산을 수행하느라 지연이 되는 것 뿐이라 수시로 조작을 필요로 하는 레이스나 시내주행때는 체감이 될 수도 (체감 한것 같기도 하고), 크루즈컨트롤 사용 등 조작이 뜸한 주행에서는 지장이 없음.
저는 연비 실시간 모니터링 용으로 OBD2 블루투스 송신기를 사용하게 되었는데요 게이지 꼽고 연비+진공 보고 다니는게 연비가 더 좋았습니다 ㅋㅋ... 자동차에 나쁜 영향은 주지 않을겁니다.

당연히 문제의 소지가 있습니다. 프로토콜 규약상 통신 대역폭이 정해져 있는데, OBD 읽기 장비를 달면 지속적인 읽기 요청으로 대역폭을 갉아먹습니다.
일부 국산 OBD 장비는 CAN 프로토콜을 리버스해서 CAN 상에 떠돌아다니는 패킷 자체를 활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OBD 규약이 기본적으로 Request-Response 구조이므로 데이터를 읽어올 때 마다 통신 대역폭을 추가적으로 사용합니다.
더욱이 잘못된 데이터 요청을 했을 때 CAN의 특성 상 CAN 네트워크에 물려 있는 다른 장비에 영향을 줄수도 있구요.
물론 차량 전장 네트워크 설계 시 안전을 고려해 어느정도 대역폭에 여유를 두는 것이 사실이지만, Chassis CAN쪽 대역폭을 잡아먹는 OBD 장비의 경우 안전과 관련된 데이터가 제시간에 전달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안전과 직결되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이미 차량 네트워크의 대역폭은 포화 상태입니다. 매우 가능성이 낮지만 혹시모를 상황을 생각한다면 OBD 포트를 통한 상시 모니터링 장비는 왠만하면 달지 마시길 권합니다.

저렴한 가격에 국내에 대량으로 유통되고 있는 블루투스 기능 및 전원 오프기능의 중국산 elm327을 장착했었습니다
토크프로 설치까지 하고 반기대감으로 시동을 거는순간 풀악셀마낭 알피엠이 레드존을 향해 달리더군요
바로 키를 돌려 시동을 끄고 오분후에 다시 시도를 했지만 찝찝하게도 동일증상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바로 스캔을 하니 통신오류는 물론이고 전자식스로틀 점검요라는 메세지와 함께 차량은 림프모드로 진입을 하더군요
그후 에러코드 삭제와 이씨유 리셋을 하고 obd 리더기는 바로 즉결처분을 했습니다
유용하게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제차와는 맞지가 않네요

일반적인 네트워크랑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OBD통신 그리고 CAN통신에서 활용할수 있는 대역이 한정되어있고, 전체 대역의 일정부분은 일상 주행에서 계속 사용중이죠. 그런데 만일 OBD단자를 통하여 몇가지 READ만 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만, 만일 대량의 데이터를 계속 빨아오는 경우 - 화려한 HUD등의 경우 당연히 빨아오는 데이터가 많아지니까요 - 소위 문제가 발생합니다. 100Mbps 허브에서 컴퓨터 여러대를 꼽아서 단순 이메일만 확인할때는 문제 없겠지만 동영상과 함께 다운로드 걸면 어느한쪽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단순히 꼽아서 문제라기보다는 어떤 데이터를 요청하는지, 어떤 빈도로 요청하는지가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5가지 정보를 2초에 1회씩 읽는거라면 문제가 없겠지만 10가지 정보를 1초에 5회씩 갱신하는 것이라면 그만큼 대역을 더 많이 먹으니까 문제가 되는 원리입니다.
차량 운행 중 ecu 오류코드 스캔 하니까
rpm이 급격히 오르락 내리락 거리면서 부조현상이 났습니다.

===========================================================
회원님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필요할때만 사용하도록 해야겠네요.
좋은 의견들 감사합니다.

전에 들은바로는 장비가 수많은 쿼리(query)를 ECU에 보냅니다. 구형 차량 (구형 ECU)의 경우 그 쿼리에 대한 부하로
제할일을 제대로 못해서 부조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고 근래 최신 차량들은 ECU가 빨라져서?
별 문제 없다고 생각되긴 합니다
저의 경우 2011년 K7 3.0인데요. 대표적인 DAG 게이지 사용중이고... 저 역시 그게 차량 성능에 문제가 되지 않을까
해서 Dyno에서 게이지 장착 ON/OFF 후 TEST... 그리고 ㄹㄹ에서 ON/OFF Test 해본 결과
성능상 전혀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소비자가 사용하는 제품들은 공개된 차량 관련 정보를 단순 'read' 기능만 있는 제품인데, 차량 성능에 영향을 미칠까요..
https://ko.wikipedia.org/wiki/%EC%98%A8%EB%B3%B4%EB%93%9C_%EC%A7%84%EB%8B%A8%EA%B8%B0
수년째 OBD 단자 연결하여 에코 게이지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