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ning & Driving
글 수 104
지지난 토요일 지인들과의 드라이브때 오랜만에 RS2를 몰고 나갔었다.
중미산 정상을 얼마 안남긴 시점에서 순간적으로 엔진이 부조를 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차를 세웠으나 공회전시에 약간의 부조를 제외하고는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일단 그길로 차를 돌려 서울로 향했다.
중미산을 내려와 평지를 달리는데, 엔진이 4개의 실린더로 움직이는 듯한 느낌이 심해졌고, 차를 세우고 견인차를 부르려는 상황에서 다시 엔진이 살아났다.
최대한 정속으로 성수동 고진 AS에 차를 입고시키면서도 이유를 생각하느라 머리가 터질 지경이었다.
1. 전기와 관련된 것이 틀림없다.(연료쪽이었으면 이미 차가 멈추었어야하고 연료펌프가 나간다면 중간에 상태가 호전되거나 하지 않고 한방에 멈추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2. 스파크 플러그는 독일에서 엔진 오버홀할 때 신품으로 넣었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다.
3. 점화코일이 좋지 않다? 이것이 유력했다. 실린더당 독립 점화코일이 장착된 RS2의 시스템의 특성상 한개의 점화코일이 나갔을 가능성이 있다.
4. 하이부스트 칩으로 교환하면서 칩이 완전히 끼워지지 않아 접촉불량을 일으켰다? 가능성이 아주 낮지만 만약 칩의 소케팅 불량인 경우 비슷한 부조가 생길 가능성은 있다.
고진 AS에서 엔진 ECU를 통해 통신을 해본 결과 공연비와 산소센서 불량에 대한 폴트가 일시적으로 생긴 것이 기록되어 있었는데, 이는 불완전연소로 인한 것이지 센서들이 이상이 있다는 신호는 아니었다.
어떤 실린더에서 실화가 있었는지 알기 힘들고 AS센터에 있는 동안 엔진이 큰 부조를 하지 않아 차를 다시 몰고 용인에 있는 WABBP로 몰고 갔다.
이상한 점은 차에서 내려서 엔진 소리를 자세히 들어보면 하이드로릭 리프터(일명 니후다)가 나간 것과 같은 규칙적인 '탁탁'하는 소리가 발생했는데, 이 소음이 WABBP에 도착했을 때 상당히 크게 났다.
본넷을 열자 분명 헤드쪽에서 나는데 리프터의 소음과는 조금 다른 것 같아 헤드 커버 안쪽을 열고 스파크 플러그쪽을 보기로 했다.


엔진 커버를 열면 커버쪽에 점화코일이 달려있고, 고무 파이프가 스파크 플러그로 연결된다.

자세히 보니 2번 실린더쪽 고무 파이프가 그을려있었다. 즉 압축가스가 약간씩 세었다는 뜻이었다.

스파크 플러그를 뽑아서 살펴보기로 했다.

다른 실린더들은 모두 이상이 없는데 2번 실린더는 상태가 좋지 않았다.



이러는 와중에 이상한 것을 발견했는데, 플러그의 상단 하얀부분 즉 사기 부분이 깨져있는 것이 아닌가?
WABBP에 있는 정비사들 모두 이렇게 상단이 깨져서 상하로 노는 것은 처음 보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결과적으로 스파크가 제대로 튀지 않았고, 고압의 실린더 내부 압력이 밖으로 미세하게 세는 영향까지 있었던 것이다.

RS2가 2바를 사용하는 고부스트 엔진이기 때문에 열가9짜리 플러그를 권장한다.
위의 사진의 HKS플러그로 교체를 완료하였고, 하이드로릭 리프터 나간 것 같은 소리는 물론 부조도 사라졌고 엔진은 정상으로 돌아왔다.
RS2가 여전히 까탈스럽기는 하지만 꾸준한 관찰과 새로 꾸며진 시스템이 완전히 익숙해지기전까지 과도한 주행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피해없이 모든 것이 순조롭게 수리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제 부스트를 제대로 조정하면서 좀 더 정밀한 테스트를 해볼 예정이다.
-testkwon-
중미산 정상을 얼마 안남긴 시점에서 순간적으로 엔진이 부조를 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차를 세웠으나 공회전시에 약간의 부조를 제외하고는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일단 그길로 차를 돌려 서울로 향했다.
중미산을 내려와 평지를 달리는데, 엔진이 4개의 실린더로 움직이는 듯한 느낌이 심해졌고, 차를 세우고 견인차를 부르려는 상황에서 다시 엔진이 살아났다.
최대한 정속으로 성수동 고진 AS에 차를 입고시키면서도 이유를 생각하느라 머리가 터질 지경이었다.
1. 전기와 관련된 것이 틀림없다.(연료쪽이었으면 이미 차가 멈추었어야하고 연료펌프가 나간다면 중간에 상태가 호전되거나 하지 않고 한방에 멈추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2. 스파크 플러그는 독일에서 엔진 오버홀할 때 신품으로 넣었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다.
3. 점화코일이 좋지 않다? 이것이 유력했다. 실린더당 독립 점화코일이 장착된 RS2의 시스템의 특성상 한개의 점화코일이 나갔을 가능성이 있다.
4. 하이부스트 칩으로 교환하면서 칩이 완전히 끼워지지 않아 접촉불량을 일으켰다? 가능성이 아주 낮지만 만약 칩의 소케팅 불량인 경우 비슷한 부조가 생길 가능성은 있다.
고진 AS에서 엔진 ECU를 통해 통신을 해본 결과 공연비와 산소센서 불량에 대한 폴트가 일시적으로 생긴 것이 기록되어 있었는데, 이는 불완전연소로 인한 것이지 센서들이 이상이 있다는 신호는 아니었다.
어떤 실린더에서 실화가 있었는지 알기 힘들고 AS센터에 있는 동안 엔진이 큰 부조를 하지 않아 차를 다시 몰고 용인에 있는 WABBP로 몰고 갔다.
이상한 점은 차에서 내려서 엔진 소리를 자세히 들어보면 하이드로릭 리프터(일명 니후다)가 나간 것과 같은 규칙적인 '탁탁'하는 소리가 발생했는데, 이 소음이 WABBP에 도착했을 때 상당히 크게 났다.
본넷을 열자 분명 헤드쪽에서 나는데 리프터의 소음과는 조금 다른 것 같아 헤드 커버 안쪽을 열고 스파크 플러그쪽을 보기로 했다.


엔진 커버를 열면 커버쪽에 점화코일이 달려있고, 고무 파이프가 스파크 플러그로 연결된다.

자세히 보니 2번 실린더쪽 고무 파이프가 그을려있었다. 즉 압축가스가 약간씩 세었다는 뜻이었다.

스파크 플러그를 뽑아서 살펴보기로 했다.

다른 실린더들은 모두 이상이 없는데 2번 실린더는 상태가 좋지 않았다.



이러는 와중에 이상한 것을 발견했는데, 플러그의 상단 하얀부분 즉 사기 부분이 깨져있는 것이 아닌가?
WABBP에 있는 정비사들 모두 이렇게 상단이 깨져서 상하로 노는 것은 처음 보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결과적으로 스파크가 제대로 튀지 않았고, 고압의 실린더 내부 압력이 밖으로 미세하게 세는 영향까지 있었던 것이다.

RS2가 2바를 사용하는 고부스트 엔진이기 때문에 열가9짜리 플러그를 권장한다.
위의 사진의 HKS플러그로 교체를 완료하였고, 하이드로릭 리프터 나간 것 같은 소리는 물론 부조도 사라졌고 엔진은 정상으로 돌아왔다.
RS2가 여전히 까탈스럽기는 하지만 꾸준한 관찰과 새로 꾸며진 시스템이 완전히 익숙해지기전까지 과도한 주행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피해없이 모든 것이 순조롭게 수리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제 부스트를 제대로 조정하면서 좀 더 정밀한 테스트를 해볼 예정이다.
-testkwon-

2008.11.12 11:50:20 (*.152.6.159)

참... 권영주씨 차량의 메인터넌스를 볼때마다 가슴이 졸아드는건 왜일까요?
마치 제 차들이 트러블 난것처럼...
저도 고만고만 달리는 차를 몇대씩 세워놓고 관리하다보니 남에일 같지 않습니다.
그런데 놀라운것은 그럴때마다 즉각즉각 조치를 취해서 정상으로 돌려놓는다는게 대단합니다.
저의 차고를 보면
'이놈은 뭐가 문제인데 나중에 부품오더해서...'
'저녀석은 서스펜션이 뭔가 달라졌는데 아직은 탈만하니 천천히 생각해보자.....'
'요놈은 또.....'
이렇게 해야할일들이 자꾸 자꾸 쌓여간답니다. -.-
권영주씨의 부지런함에 정말 놀라울 따름입니다. 흐........
2008.11.12 13:28:24 (*.106.65.125)

사실 회사 생활하면서 차관리하다보면 즉각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테드에 올릴 때는 해결이 된 것들을 마치 금방 해결한양 올립니다만 실제로 사안에 따라서 제법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들도 있습니다.
리프터 나간 소리가 난 것은 사실 좀 시간이 되었는데, 오버홀하면서 리프터를 모두 새것으로 갈았는데 또 비슷한 소리가 나길래 사실 좀 의아해했었습니다.
마침 시간이 지나면서 소리가 커졌기 때문에 플러그를 빼볼 생각을 했지 미세한 소음만 있고 따른 징후가 없었더라면 아마 위의 수리기도 엄청나게 오래 걸려서 문제를 해결했을 수도 있었던 문제입니다.
그래서 애마하면 일단 좀 더 심각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는데, 엔진을 망가트릴 변수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선결되어야겠지요.
아무튼 올해는 차 정말 많이 고쳤고, 내년에는 올해 다 마무리된 차들을 그저 타는데 집중했으면 합니다.
차를 고치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시간이 가면 갈수록 차를 타는 것보다 고치고 복원하고 그 과정에서 얻는 것들이 지식이 되어 가는 과정이 즐겁습니다.
리프터 나간 소리가 난 것은 사실 좀 시간이 되었는데, 오버홀하면서 리프터를 모두 새것으로 갈았는데 또 비슷한 소리가 나길래 사실 좀 의아해했었습니다.
마침 시간이 지나면서 소리가 커졌기 때문에 플러그를 빼볼 생각을 했지 미세한 소음만 있고 따른 징후가 없었더라면 아마 위의 수리기도 엄청나게 오래 걸려서 문제를 해결했을 수도 있었던 문제입니다.
그래서 애마하면 일단 좀 더 심각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는데, 엔진을 망가트릴 변수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선결되어야겠지요.
아무튼 올해는 차 정말 많이 고쳤고, 내년에는 올해 다 마무리된 차들을 그저 타는데 집중했으면 합니다.
차를 고치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시간이 가면 갈수록 차를 타는 것보다 고치고 복원하고 그 과정에서 얻는 것들이 지식이 되어 가는 과정이 즐겁습니다.
2008.11.12 13:52:10 (*.162.182.49)

플러그 상단이 깨진 경우는 100% 제조책임입니다. 당연히 실화가 발생하고요..
마스터님이 제빨리 증상을 인지하지 못하고 무리하게 계속 탔다면 전체 애자부위가 깨져 그 조각으로 인해 실린더벽을 상처내는 최악의 상황이 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저도 제가 몰고 다니면 조금이라도 이상을 느끼면 바로바로 손을 쓰는데 와이프한테 맡기니 차의 외침을 전혀 알아듣질 못하더군요...
아니나다를까 토욜에 친구 결혼식 가다가 알터네이터 풀리가 빠져서 대략난감한 상황에 빠졌었죠. ^^
진작 풀리에서 소리난다고 말해주면..아니 엔진 걸면 이상한 소리난다고만 해줘도 고쳤을텐데요.. ^^
아무튼 RS2 한번 보고싶네요.
마스터님이 제빨리 증상을 인지하지 못하고 무리하게 계속 탔다면 전체 애자부위가 깨져 그 조각으로 인해 실린더벽을 상처내는 최악의 상황이 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저도 제가 몰고 다니면 조금이라도 이상을 느끼면 바로바로 손을 쓰는데 와이프한테 맡기니 차의 외침을 전혀 알아듣질 못하더군요...
아니나다를까 토욜에 친구 결혼식 가다가 알터네이터 풀리가 빠져서 대략난감한 상황에 빠졌었죠. ^^
진작 풀리에서 소리난다고 말해주면..아니 엔진 걸면 이상한 소리난다고만 해줘도 고쳤을텐데요.. ^^
아무튼 RS2 한번 보고싶네요.
2009.03.31 08:41:10 (*.131.231.68)

리프터를 모두 교체하고 리프터 소리가 나는 경우는 아주 드물긴 하지만
캠의 휨 정도를 살펴봐야 할듯 합니다. 캠을 100/2 이상의 휨 현상을 보이면
아무리 새거를 넣어도 소리가 나더군요 처음 이런 경우를 접했을 때
저도 좀 헤맸는데 v 블럭에 캠을 놓고 다이얼 게이지로 측정해 보니
규정치를 벗어났고 캠 교체후 해결 됐습니다.^^;; 자기혼자 캠이 휘는 경우는
주물캠의 경우는 거의 없고 조립하면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더군요
유압리프터의 특성상 압이 좀 팽배할 경우 무리하게 캠조립하다가
생기는 경우를 보았습니다. 혹시나 해서 점검해 보시라구요 ^^;;
캠의 휨 정도를 살펴봐야 할듯 합니다. 캠을 100/2 이상의 휨 현상을 보이면
아무리 새거를 넣어도 소리가 나더군요 처음 이런 경우를 접했을 때
저도 좀 헤맸는데 v 블럭에 캠을 놓고 다이얼 게이지로 측정해 보니
규정치를 벗어났고 캠 교체후 해결 됐습니다.^^;; 자기혼자 캠이 휘는 경우는
주물캠의 경우는 거의 없고 조립하면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더군요
유압리프터의 특성상 압이 좀 팽배할 경우 무리하게 캠조립하다가
생기는 경우를 보았습니다. 혹시나 해서 점검해 보시라구요 ^^;;
2009.04.01 10:49:30 (*.160.136.161)

그 파란 a4 수리가 어느정도 되었나보군요. 색깔 참 이쁘던데요.
제대로 손보면 재미있는 카라이프가 펼쳐지겠군요.
전 지금도 권영주님의 살떨리는 코너링이 생각납니다.
제대로 손보면 재미있는 카라이프가 펼쳐지겠군요.
전 지금도 권영주님의 살떨리는 코너링이 생각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