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차량은 스포티지R 수동 디젤입니다.
어제 고속도로 주행중에 에어컨에서 시원한 바람이 나오지 않는 증상을 확인하여
주행중에 계기판을 보니 온도가 보통예열상태를 50이라고 했을때 65정도의 수치까지 게이지가 올라가 있더군요.
정속주행을 하자 온도는 곧 제자리를 찾았습니다만 휴계소에 들러 본넷을 열어 보니 냉각수가 바닥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육안상으로 새는곳도 안보이고 해서 일단 방법이 없어 냉각수를 한통 사서 보충해준 후 목적지에 도착한 후
다시 본넷을 열어보니 보충해둔 냉각수의 상당량이 사라진 상태더군요.
냉각수가 사라지는 조건을 찾기 위해 이방법 저방법 테스트를 하다보니 결국 사라지는 조건을 찾아내었습니다.
에어컨을 동작시키니 냉각수가 사라지네요.
에어컨을 켜니 2시간정도 아이들링시 냉각수가 바닥을 보였고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고 2시간 아이들링 시 냉각수의 양은 변화가 없습니다.
해당 실험시 바닥으로 냉각수가 누수되지 않았습니다.
없어진 냉각수는 증발이 된듯 보였습니다.
대체 어떤 부품이 에어컨동작와 냉각수간의 관계에 영향을 끼치는것인지 유추해 보려 했지만
겪어 본적 없는 증상이라 매우 당혹스럽습니다.
한여름인데 에어컨을 켜지 못하고 다니는 웃기는 상황이기도 하구요.
뭐 농담으로 "괜찮아. 찜질방 에디션 완성이네. 황토색 반팔, 반바지입고 머리에 수건두르고 운전하면 돼"라고 하긴 했는데
그래도 고칠건 고쳐야죠.
해당문제의 원인이 무엇인지 의견을 여쭙고 수리방향을 확정하는데 참고하고자 합니다.
일단은 자체적으로 히터코어의 문제일거라 추정만 하고 있습니다.

일단 제 경우엔 과격한 주행에 의한 기화 및 소모로 결론내렸습니다.
제 견해로는 냉각수는 한번 채우면 성분변화가 있기 전까진 쭈욱 쓰는거라는 편견이 있었는데
주위의 경우를 치합해 보니 제 경우보다 빠르게 냉각수를 소모하는 경우도 있더군요.
1년반에 2.5리터정도면 오히려 준수하다고 생각될 정도입니다.
일단 어디로 새는곳도 확인되지 않고 더이상 냉각수보조통에서 줄어드는 현상도 발견되지 않기때문에 당분간 신경쓰지 않기로 했습니다.
에어콘을 켰을때 소모가 되었다가 히터를 켰을때 소모가 되지 않았던것도 서모스탯이 열려 순환되고 말고에 의한 타이밍에 의한 착오로 판단됩니다.

주변에 헤드가스켓 사망한 차들이 좀 되는데
심한 오버히트 후 계속되는 부동액 감소가 초기증상
이더군요.
이 경우는 보조탱크는 변함이 없고 라디에이터 캡
안쪽의 부동액만 줄어들더라고요.
원래 열받으면 보조탱크로 넘어왔다가 식으면 다시
라디에이터로 빨아당겨야하는데 전혀 변함이 없습니다.
격림님 애마는 저나 지인들처럼 터빈업 맵핑같이
엔진 냉각에 무리를 줄만한 튜닝을 한 건 아니지만
운전 환경?이 더욱 격렬하기 때문에 체크해 볼 필요는
있다고 봅니다. 요즘같은 날씨 대낮에 60-240풀가속하면
수온이 105도는 쉽게 넘겨버리네요.
아니면 실내 히터코어나 호스 피팅부의 누수로
실내 매트 바닥이 젖고있진 않은지도
체크해 봐야할 것 같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헤드 들어내고 확인을 해야겠구요.
R엔진의 경우, 냉각수가 모조리 빠져 오버히트, 엔진사망되는 이슈가 좀 있었습니다.
온도 최고로 하고 히터로 틀어보세요.... 부동액 냄새가 올라오는지... 실내로 인입되어서 히터코어에서 터졌을 수도 있겠지만, 실내로 오는 라인쪽에서 문제가 생겼을 수도 있으니까요..
당연히 보시겠지만, 위의 테스트 하시고(히터로..) 바닥에 부동액 흐른게 있는지 차량 이동해서도 보시구요

저도 대용량라지 달고 비슷한증상으로 주기적으로 냉각수 보충하고있습니다
누수는 아닌데 줄어듭니다
주로 여름에 보충했던걸로 보아
에어컨작동과 연관성을 찾아봐야 겠네요
다른분들 댓글을 저도 기다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