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눈팅회원 오현승입니다. ^^
원래는 노란색S사 직영주유소에서 주유를 하는데..
어제는 기름값이 20원정도 저렴한 H사 주유소에서 주유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연비체크를 하는데 연비가 2km/l가량 차이가 있습니다..
거의 비슷한 주행을 하였는데 이정도의 차이는 무의미한 차이일까요..??
기름에 무슨 장난을 쳤는지.. 걱정입니다..
아참 FD i30cw 휘발유 수동입니다~ ㅜㅜ
2016.08.03 13:33:31 (*.201.227.118)
이제 상호명과 상관없이 기름의 종류가 들어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주유해 보고 연비 하락이 심하다 싶으면 그 주유소는 가지 않습니다
실제로 최근에 겪은 일이기도 하고요
:)
저는 주유해 보고 연비 하락이 심하다 싶으면 그 주유소는 가지 않습니다
실제로 최근에 겪은 일이기도 하고요
:)
2016.08.03 19:42:59 (*.70.56.23)

참고로, 정유사 직영아닌 중간유통회사?(정확한 명칭은 모르겠습니다)의 직영점도 00석유직영. 이런식으로 표기하니 '직영'만 보지마시고 본사직영인지 보셔야 됩니다.
2016.08.04 13:14:19 (*.120.109.82)
본사 직영 여부는 영수증상 대표이사 이름이 해당 정유사 대표이사 이름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면 되죠.
사업자 번호의 가운데 숫자 85 or 86 같은 지점 인식 숫자로는 구분이 안되구요.
저 역시 오래전에 기름 품질문제로 차량 고장을 의심하다 우연히 주유소를 변경하면서 해결되어, 멀쩡한 차 정비를 할뻔했던 경험이 있어 되도록 직영 주유소만 다니고있습니다.
예를들면 SK주유소 사장이 GS칼텍스 기름을 사와서 팔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다행이지만, 듣보잡 기름을 사다가 팔아도 법적으로 전혀 문제가 없기때문에, 품질보다는 공급가가 저렴한 기름이 유통되고있을 것 같습니다.
그 이후에 법이 또 변경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알고있기로는 이렇습니다...... 정확히 언제 바뀌었는지는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몇년전 휘발유값 2,000원 넘나들던 시기쯤 바뀌었던 것 같습니다.
운행환경에 특별한 변수가 없으셨다면, 그 주유소는 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