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YF 쏘나타 2.0
빌스타인 오리지널 (B4) + HG 3.0용 아이바크
입니다.
아마도 HG용인 탓에 차고가 살짝 높은 듯 한데
현 상태는 아주 마음에 듭니다.
일상 주행 시 승차감은 좋습니다. 방지턱 넘을 때 느낌도 좋은 것 같구요
1. 이 조합... 괜챦은 걸까요??
의도한 것은 아니었는데 B4는 OE 대응이라더군요
결국 다운스프링을 한 꼴이 되어 버렸습니다. 다운스프링은 안된다고들 해서 생각도 하지 않고 있었는데...
2. 아이바크에 문의 해 보니 차종별 차이는 스프링레이트의 차이뿐이고 현재 차고가 마음에 든다면 사용해도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스프링레이트가 높다는 이야기는 스프링이 더 단단하다는 이야기쟎아요.. 그렇다면 다운스프링의 문제라는 것이
제짝 (yf2.0용)을 썼을 때 보다 더 심하게 나타날까요?
3. 왠만한 방지턱에서는 OE보다 느낌이 더 좋은데
심한 방지턱을 넘어보니 뽀드득 소리가 납니다.
스토퍼와 간섭하는 소리 같은데 이정도는 괜챦은걸까요?
소위 마운트를 친다는 것이 이런걸 이야기 하는건지 아니면 더 심한 증상인건지 모르겠습니다.
4. 여기에 스테빌라이져 보강은 여전히 유효할까요?
빌스타인 오리지널 (B4) + HG 3.0용 아이바크
입니다.
아마도 HG용인 탓에 차고가 살짝 높은 듯 한데
현 상태는 아주 마음에 듭니다.
일상 주행 시 승차감은 좋습니다. 방지턱 넘을 때 느낌도 좋은 것 같구요
1. 이 조합... 괜챦은 걸까요??
의도한 것은 아니었는데 B4는 OE 대응이라더군요
결국 다운스프링을 한 꼴이 되어 버렸습니다. 다운스프링은 안된다고들 해서 생각도 하지 않고 있었는데...
2. 아이바크에 문의 해 보니 차종별 차이는 스프링레이트의 차이뿐이고 현재 차고가 마음에 든다면 사용해도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스프링레이트가 높다는 이야기는 스프링이 더 단단하다는 이야기쟎아요.. 그렇다면 다운스프링의 문제라는 것이
제짝 (yf2.0용)을 썼을 때 보다 더 심하게 나타날까요?
3. 왠만한 방지턱에서는 OE보다 느낌이 더 좋은데
심한 방지턱을 넘어보니 뽀드득 소리가 납니다.
스토퍼와 간섭하는 소리 같은데 이정도는 괜챦은걸까요?
소위 마운트를 친다는 것이 이런걸 이야기 하는건지 아니면 더 심한 증상인건지 모르겠습니다.
4. 여기에 스테빌라이져 보강은 여전히 유효할까요?
2016.08.21 18:51:16 (*.70.51.236)

Going a step further, the Eibach Sportline Spring Set will provide an average of 1.5"-2.0" drop in ride height, coupled with a more aggressive spring rate for additional handling benefits. These springs are recommended to be used with a performance strut or shock, such as options from KONI or Bilstein in order to compensate and control the more aggressive spring rate and reduction in travel.
타이어랙에서 아이박 프로킷과 스포트라인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글에서 퍼왔습니다.
타이어랙에서 아이박 프로킷과 스포트라인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글에서 퍼왔습니다.
2016.08.19 18:58:19 (*.36.156.176)
아반떼 Ad이고 순정 쇼바에 아이박 다운했습니다
이제 아이박에선 하나의 모델만 나오구요. 두개의 라인의 중간이라고 생각하심 될 거 같네요. 순정쇼바와 조합이 잘 맞아서 마운트 치는 일은 잘 없구요. 일상 생활에서 승차감 괜찮고 큰 충격만 아니면 승차감 나쁜 편 아닙니다. 순정 쇼바에 비해서 40%정도 잡아주는 편이구요. 저는 아이박 다운으로 kic, tt 나갈 준비하고 있습니다. 일체형을 장착한다해도 크게 랩타임의 변동이 없을 것 같아서요. 아마추어이기도 하구요. 승차감, 주행성능 다 만족합니다. 굳이 일체형을 갈 필요가 있나싶네요.
이제 아이박에선 하나의 모델만 나오구요. 두개의 라인의 중간이라고 생각하심 될 거 같네요. 순정쇼바와 조합이 잘 맞아서 마운트 치는 일은 잘 없구요. 일상 생활에서 승차감 괜찮고 큰 충격만 아니면 승차감 나쁜 편 아닙니다. 순정 쇼바에 비해서 40%정도 잡아주는 편이구요. 저는 아이박 다운으로 kic, tt 나갈 준비하고 있습니다. 일체형을 장착한다해도 크게 랩타임의 변동이 없을 것 같아서요. 아마추어이기도 하구요. 승차감, 주행성능 다 만족합니다. 굳이 일체형을 갈 필요가 있나싶네요.
2016.08.24 10:17:47 (*.62.162.59)
같은 차량 LPG 모델 타고있습니다.
차량 셋팅시에 한쪽으로 치우치게 튜닝하거나 과한튜닝을 지양하는 편인데,
터보킷에 순정형knn 순정듀얼배기와
앞2P(하드론zr) 뒤확장(일반패드) 조합입니다.
그리고...
서스는 실크로드 썼을때 나쁘진 않았는데 내구가 취약하여 테인의 ssm 사용 중입니다.
순정서스에 비해 단단함은 당연히 있지만, 상당히 매끄러운 코너링과 요철이 믾은 도로에서 불쾌한 승차감을 주지 않습니다.. 다만 스트록이 좀 짧다보니, 고속에서 바운싱이 큰 곳에선 살짝 뜨는 느낌이 날때도 있지만 노면과 닿아있을때만큼은 확실히 잘 잡아준다고 생각되네요..
18인치보다는 17인치와 궁합이 더 잘 맞는듯 합니다
차량 셋팅시에 한쪽으로 치우치게 튜닝하거나 과한튜닝을 지양하는 편인데,
터보킷에 순정형knn 순정듀얼배기와
앞2P(하드론zr) 뒤확장(일반패드) 조합입니다.
그리고...
서스는 실크로드 썼을때 나쁘진 않았는데 내구가 취약하여 테인의 ssm 사용 중입니다.
순정서스에 비해 단단함은 당연히 있지만, 상당히 매끄러운 코너링과 요철이 믾은 도로에서 불쾌한 승차감을 주지 않습니다.. 다만 스트록이 좀 짧다보니, 고속에서 바운싱이 큰 곳에선 살짝 뜨는 느낌이 날때도 있지만 노면과 닿아있을때만큼은 확실히 잘 잡아준다고 생각되네요..
18인치보다는 17인치와 궁합이 더 잘 맞는듯 합니다
제 E30도 B4에 샥스 다운스프링이 들어가 있으나 순정보다 승차감이 훨씬 낫습니다. 물론 로드 홀딩두요. 제대로 궁합만 맞추면 괜찮습니다.
아이박도 보통 두가지 라인으로 다운스프링이 나옵니다. 아마 국산 세단용은 스포츠성보다는 승차감 위주로 제작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마운트 친다는 건 진짜 꽝~하고 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