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첫 차로 아반떼MD 수동을 몰고 있는 초보 드라이버입니다.
수동 운전하시는 회원분들께선 다운시프트 할 때 레브매칭을 위해 악셀을 어떻게 밟으시는 지 궁금합니다.
고수분들의 영상을 보면 대부분 오른발로 '한 번' 밟아주면서 기어를 바꾸시던데,
저는 그렇게하면 섬세하게 매칭이 되질 않네요..
살짝 밟고 떼면 rpm이 너무 안 올라가고,
조금만 더 길게 밟으면 rpm이 부앙하고 너무 올라갑니다.
저는 엑셀 페달 조작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움직임이 상당히 비선형적으로 느껴지는데요. (차량 제어나 엔진 제어에는 무지하지만... 느낌은 마치 스로틀 밸브에 dead-time이 있는 것처럼, 엑셀 조작 이후 어떠한 반응도 나타나지 않는 약간의 시간이 있는 느낌입니다.)
이 차를 탄지 거의 2년이 되어가는데도, 영상에서 보는 것 처럼 '한 번' 밟아주는 동작으로는 원하는 rpm으로 딱딱 맞춰 올리기가 어렵네요..
그래서 저는 꽤 큰 폭으로, 빠르게 밟았다 떼었다를 2~3번 해주는 식으로 rpm을 맞춰보고 있습니다만, 썩 만족스럽지는 않습니다.
조금 다르게 말씀드리면, 회전수를 '빠르게' & '정확히' 끌어올리고 싶은데, 둘을 동시에 만족시키기가 어렵네요..
정확도를 높이려고 하면, rpm이 올라가는걸 감지하는게 필요한데(피드백이 필요), 빠르게 rpm을 띄우고 싶으면 그게 안 됩니다. 페달 조작 이후 실제 rpm에 반응이 나타나기에 걸리는 딜레이 때문에, rpm이 올라가기 시작함이 눈에 보일 때 페달을 떼더라도 이미 너무 많이/오랫동안 스로틀밸브를 열도록 조작이 들어가버리는 상황이지요..
회원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지금 제가 느끼는 어려움이 정말 차의 특성에 기인하는 부분이 좀 많은지, (=반응성 좋다는 차를 타면 이런 제약이 사라지는 것인지) 아니면 정말 정확한 페달 조작량을 익혀서, rpm이 올라가는걸 보지 않고도 딱 필요한 만큼만 밟고 뗄 수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ㅎㅎ
끝으로,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두번째는 약간 더 깊게 치는 느낌으로 했었습니다

한번에 맞추되 중요한건 악셀보단 브레이크라 생각됩니다
브레이크를 잘 조절해야 악셀이 많을수도 적을수도 있기때문입니다
동일 엔진/미션의 포르테 수동을 몇년간 운행했었습니다. 말씀하신 불편함이 어떤건지 지금도 생생히 기억이 납니다.
일단 아이들링 인근에서의 rpm 반응이 가장 답답하기에 제 경우는 출발때는 악셀웍을 깊게 훅 밟아 rpm이 뜨기 시작하면 악셀을 떼는 식으로 출발을 했습니다. 클러치 미트 rpm이 지나치게 높진 않습니다. 익숙해지면 1000rpm 근처로 조작이 가능해집니다. 차는 출발해서 속도가 나기 시작하는데 악셀 페달은 오히려 떼는 희안한 순간이 연출 됩니다. 물론 동승자는 전혀 모르는 사정이지요..
레브매칭의 경우 3-4000rpm영역에서는 그런대로 선형적인 악셀 반응을 보여주기 때문에 본능대로 움직여도 큰 문제가 없던걸로 기억합니다. 문제는 1500-2000rpm 인근 탄력/연비 주행하다가 출력이 필요해서 6단->4단 혹은 5단->3단 정도 스킵쉬프팅할 경우에 rpm 확 띄우려 하면 원하는 만큼 한번에 잘 안 차오르는데요, 이때 역시 초기 출발때와 마찬가지로 악셀을 크게 넉넉하게 확 밟아주는 식의 방법을 썼습니다. 악셀웍을 적게 하면 원하는 rpm만큼 안 오르거나 무반응을 보이고, 빨리 rpm을 오르게 하면 분명 원하는 포인트보다 과하게 오르게 되는.. 다소 저주받은 숙명이라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일단 악셀은 넉넉히 확 밟는게 본문중 언급하신 '빠르게'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구요, '정확하게'를 위한 포인트는 rpm이 떴다가 내려오는 시점에 기어를 물리는 게 아니라 rpm이 치고 올라가는 순간에 원하는 rpm이 되면 재빨리 클러치를 붙이는 겁니다. 분명 과하게 rpm이 뜰 것이므로 원하는만큼 떨어지기를 기다려서는 시간 손실이 크니까요. 이 역시 숙달 되면 딱 적당한 만큼 밟을 수 있게 됩니다. 나중에 익숙해지면 dsg아니냐 소리 들을 수 있을 정도로 능숙하게 가능하니 희망을 가지고 연습 해보시기를 바랍니다.

엑셀 페달에 판이나 사제 페달을 하나 덧붙여서 발로 민감하게 밟을수 있도록 좀 높이를 높여 주는 것도 도움이 되는것 같습니다.
도움이 못되서 죄송합니다만, 좀 더 연습을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주변을 봐도 케이블이라서 힐앤토가 잘된다라는 사람도 없습니다. 그냥 못하는 사람은 못하더라구요.

같은 차량 유저분을 보니 반갑습니다!!
저는 2010년 10월 13일 출고 MD 수동 유저입니다. 이제 마일리지 170,000Km를 바라보네요 ^^;;
예전 구형 엑센트 수동을 시작으로 레브매칭 연습은 지금까지도 하고있다 여기지만 MD로 와서 이질적인 느낌에 적잖히 당황했었습니다. 물론 지금도 한번씩 삑사리가..... -_-;;;;;;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 제주 서부지역인지라 해안도로 와인딩 혹은 가금 한라산 5.16도로 나름(?) 와인딩을 다니고는 합니다.
특히나 인적이 드문 새벽시간 5.16 도로에서는 리미트 직전까지 회전수를 높이며 타고있습니다. 물론 차량은 순정이구요 ^^;;
다운쉬프트시의 레브매칭 타이밍 잡기가 참.... 힘들죠 ㅎㅎ. 익숙해지면 할만 합니다만. 저의 경우 처음에는 늘 그래왔듯 브레이킹과 동시에 엑셀을 튕겨주며 클러치를 한꺼번에 조작하며 다운쉬프트를 했었습니다. 그런데 이 경우 제대로 맞아떨어지면 괜찮은데 이상하게도 한번씩 삑사리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분명히 동시에 조작을 했는데도 말이죠....... 분명 엑센트를 탈때는 이런 경우가 없었는데......
기억을 해보자면 구형 엑센트의 경우 1.5 순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주행중 엑셀을 툭툭 치면 그와 동일하게 적은 출력이나마 엔진이 반응을 했었죠. 물론 저회전, 고회전 상관 없이요. 그러나 MD로 넘어와서는 그런 맛이 사라졌습니다.
주행중 저 RPM에서 엑셀을 툭툭 쳐보면 별다른 반응이 업습니다. 반면 3500~4000RPM정도부터는 툭툭 쳐도 예전 엑센트와 같은 반응이 살짝(?) 튀어나오더군요. 다만 반응이 미묘하게 더딥니다.
이러한 기억과 과정을 거치면서 최근에 그나마 레브매칭시 부드러운주행을 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간단하게 레브매칭시 고RPM 에서는 케이블식과 반응이 엇비슷합니다. 브레이킹을 하며 엑셀만 제대로 쳐주면 레브매칭이 어느정도 수월합니다.
그러나 저RPM의 경우 엑셀을 치는 시간을 조금더 주며 더 깊게 밟아주어야 효과가 있더군요. 저의 경우는 브레이킹 없이 부드러운 쉬프트다운을 위하여 항상 회전수를 보정 해주려고 합니다.
위의 김민혁 님의 이야기와 같이 연비주행중 출력이 필요하여 다운쉬프트를 할때면 저는 엑셀을 풀로 칩니다.
주행중, 특히 저회전 영역에서 클러치를 밟고 회전수를 높이려고 하면 이상하리만큼 회전수가 안올라가요 MD는.....
결론적으로는 본인이 타이밍을 잡는 방법 외에는 없긴 한데 지금 저의 방법은
고회전 영역 : 레브매칭시 엑셀을 툭툭 쳐줘도 잘 따라옴,.
저회전 영역 : 고회전 레브매칭보다 엑셀을 조금 깊이 한스텝 더 길게 밟아주어야 그나마 따라와줌
연비운행중 출력을 원할시 : 쉬프트다운을 하며 고회전 레브매칭시보다 악셀을 약간 혹은 풀악셀로 살짝 타이밍 길게
해주었을때 그나마 부드러운 쉬프트다운&부드러운 주행이 가능 햇습니다 ^^;;
저 역시 밟는 시간, 깊이 모두 조합하여 조절합니다만 rpm이 과하게 뜨는 경우가 많더군요.
그럴땐 그냥 띄워놓고 떨어질때까지 기다리던가 급하면 그냥 반클러치 상태로 충격을 완화시킵니다.. 이럴거면 레브매칭을 왜 하지싶지만 ㅎㅎ

그런데 8년쯤 타니까....이젠 그냥 편하게 할 수 있게 됐습니다.
좀만 더 지나면 익숙해지실거에요.

반갑습니다. i30 FD 입니다.
악셀 두번 치는게 저만 그런게 아니었네요....
최근에는 악셀링 두차례 밟는게 타임 로스가 커보여서 가급적 한번에 악셀링하는 습관을 들이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러 깊게 밟고 RPM이 떨어지는 시점에서 클러치를 미트를 하는 편입니다.
위엣분께서는 RPM 상승하는 상황에서 미트시킨다고 하셨는데..
저는 참 어렵더군요. 미트되는 순간 울컥거리는 것도 많고... 차량의 진동이 커져서 쉽지는 않더군요....
요모조모로 연습을 많이 해야겠습니다.
전자스로틀이 일반화되기 시작하면서 메이커가 소프트웨어적으로 장난치는게 가능해진 이후로, 엑셀의 반응성이 극악으로 나빠졌습니다. 지금느끼시는 그대로, 더이상 즉답적인 응답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옛날과 같은 힐앤토의 즐거움을 느끼기 힘들어진게 사실입니다. 어느정도 차에 익숙해지시면, 이정도 밟으면 알피엠이 얼마만큼 상승한다라는 경험치가 쌓이면서 정확한 알피엠 매칭을 할 수 있게됩니다만,,,...그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전 모르겠더라고요.. ECU튜닝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는 하는데 요즘 (현대)수동차들은 뭔차이든 걍 답이 안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