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d Impression
C63 AMG가 정말 좋은 가격에 한국에 상륙했다. 현재의 달러나 유로환율을 고려한다면 다른나라에서 이보다 더 좋은 가격에 C63 AMG를 소유하는 것은 참으로 힘들어 보일 정도이다.
대단히 당찬 성능 성적표를 들이미는 모습에서 엄청난 자신감이 보이고 경쟁차들을 압도할만한 사이즈의 6208cc엔진은 457마력이라는 너무나 겸손한 파워를 뿜어낸다.
61.2kg토크가 이 무식하게 큰 엔진에는 더 의미있는 숫자로 보이며, 어차피 E63 AMG나 CLS63 AMG의 디튠 사양이라 엔진이 가진 잠재력은 보여지는 숫자보다 훨씬 크다고 본다.
W202코드의 초대 C클래스에 있었던 C43 AMG도 멋진 차종이었다.
캐나다에서 경험했던 무지막지한 토크는 300마력이라고는 믿기 힘들 정도로 박력있게 달려주었다.
W203으로 바뀌면서 C32 AMG에는 V6 3.2 수퍼차져가 장착되어 354마력을 발휘했는데, 미국 서킷에서 전문 드라이버가 운전하는 차에 동승한 적이 있었다.
동일한 엔진을 장착한 SLK 32AMG를 시승해 보면서 6기통 수퍼차져 AMG엔진에 대한 매력도 강하게 느꼈지만 V8이 가진 매력에 비할바는 아니었다.
AMG는 8기통 이어야한다는 고정관념 같은 것이 내겐 존재한다.
벤츠의 8기통은 BMW나 아우디의 8기통보다 매력적인 감성을 전달하고 좋은 소리를 만든다.
63 AMG엔진은 수퍼차져가 장착된 55 AMG 엔진을 대체한다.
55 AMG도 끝내주는 엔진이었고, 터보 대신 수퍼차져를 장착한 것은 NA의 펀치와 직관적인 반응을 그대로 보여주었다는 면에서 정말 훌륭한 엔진이었다.
차져풀리 베어링 문제와 차져벨트의 장력이 정확하지 않거나해서 슬립이 나면 출력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고, 풀리 사이즈를 줄여 고부스트를 사용하는 엔진에 열 때문에 작은 문제 몇가지가 있었기는 하지만 차져가 구동되는 소음이 적고 과급엔진임에도 NA와 거의 같은 버러렁거리는 배기음을 연출하는 괴력의 엔진이었다.
일반적으로 과급을 하게 되면 배기음의 뭔가 굴러가는 음색이 사라지고 대신 제트엔진에서 나는 쉬이이익하는 음색이 많이 실리는 것이 보통이다.
63 AMG엔진과 55 AMG엔진의 토크곡선과 출력곡선을 하나의 그래프로 보면 63엔진이 더 큰 피스톤을 가졌음에도 더 유연하고 최대 회전수도 훨씬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 무겁고 둔하게 돌아도 그러려니할 만큼 큰 피스톤을 가졌음에도 7300rpm을 돌릴 수 있는 여유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C63 AMG를 몰고 시가지를 주행할 때의 느낌은 콜벳보다 오히려 더 폭력적인 느낌으로 다가왔다.
2단으로 100km/h를 마크하는 기어비의 특성상 엔진의 넘치는 힘을 주체하는 것이 쉽지 않았고, 타이어는 심심하면 노면을 놓치기 일수였다.
트랙션 컨트롤이 없이 이런차를 빗길에 모는 것을 상상해보면 정말 대단히 위험한 장난감 이상 아무것도 아닐 정도로 파워가 창처럼 날카롭고 엄청난 무게가 실려있음에 주눅이 들어버린다.
소리는 너무도 아름답다. 독일제 V8중에서는 AMG 것만이 유일하게 머슬스러움을 제대로 표현한다.
신형 M3나 RS4는 C63 AMG의 그것과 비교하면 음색에 있어서만큼은 장난감 엔진에 지나지 않는다.
7단 변속기는 다운시프트를 할 때 회전수를 보상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패들을 두번 연속으로 당겼을 때 고집스럽게 꼭 한단씩밖에 내리지 않는다. 즉 속도에 맞게 기다렸다가 한번씩 쳐주어야 된다.
DSG나 신형 M3의 DCT와 같은 반응을 기대할 수는 없지만 다운시프트할 때 우웅하면서 소리를 지를 때의 기분이 아주 좋다.
V8은 바쁘고 정신없는 변속이 어울리지 않는 엔진이기 때문에 변속기가 좀 게을러도 이해가 된다.
250km/h 리미터는 계기판상으로 260km/h부근에서 작동한다.
7단은 커녕 5단에서 이미 이 영역을 커버하기 때문에 기어비의 여유가 상당히 많다.
6단 7단의 낮은 기어비를 고려했을 때 상당한 저속토크 때문에 단수에 관계없이 가속패달을 밟으면 즉각적으로 속도를 시원하게 높일 수 있다.
속도가 200km/h가 넘어가면 엔진이 좀 여유를 찾는다.
주체할 수 없는 힘을 쓸 공간이 없어서 답답해서 미치려고하는 엔진을 시가지에서 혹사시키는 것은 다 큰 호랑이를 좁아터진 우리에 가둬두는 것처럼 느껴진다.
시가지의 막히는 도로에 갖힌 C63 AMG는 우리안에서 제살까지는 것도 모르고 쇠창살에 몸을 부딪치는 야수와 다를 것이 없다.
고속에서 쾌적함과 여유있는 파워를 손쉽게 조정하는 자신감을 만끽하다보면 왠만해선 긴장이 되지 않는다.
시승차는 18인치에 노멀 서스펜션이 장착된 차였고, 퍼포먼스 킷에 장착된 서스펜션은 이보다 훨씬 강한 댐핑압을 가지고 있다고 들었다.
시승차를 기준으로 고속으로 달리면서 느낄 수 있었던 안정성은 적당하면서도 예측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구형인 W202나 W203바디와 비교하면 훨씬 타이트하게 변했다.
구형 벤츠들은 대개 상당히 느린 스티어링 반응속도 때문에 BMW매니어들이 결코 매력을 느낄 수 없는 핸들링 특성을 가졌었지만 신형 C63 AMG는 BMW쪽으로 상당히 많이 가까워진 세팅으로 변했다.
그 민감도에 있어서는 여전히 차이를 주지면 확실히 스티어링의 감각이 많이 달라졌다.
고속코너에 대한 적응력과 안정성 심리적으로 속도를 높여야하는지 낮춰야하는지 판단하게 하는 차의 의사소통 능력이 아주 뛰어났다.
시승은 가족들을 모두 태우고 했는데, 오는길에 아내에게 운전대를 맡겼더니 별무리없이 가볍게 240km/h를 돌파하면서도 무섭지가 않다고 했다.
이렇게 환상적인 차에 가장 아쉬운 부분은 바로 실내의 질감이다.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 센터패시아의 디자인은 조악하기 짝이없고 질감은 싸구려중에 싸구려다.
시트와 스티어링 휠을 제외하고 스페셜 모델로서 정성스럽게 오너를 위해 준비한 구석이라고는 눈을 씻고 찾아보려해도 없다.
RS4나 신형 M3의 정돈되었으면서도 고급스런 감각과 비교하면 어처구니가 없을 정도다.
연비도 환상적이다.
먹어도 너무 먹는다. M3나 RS4에 비해 실주행 연비가 지나치게 낮다는 점이 특징(?)이다.
E63 AMG를 타던 지인의 말로는 연비가 M5보다 훨씬 좋았다고 좋아했었는데, 디튠된 엔진이 기름을 더 먹나보다.
BMW가 신형 M3에 V8을 구겨 넣으면서도 기존 6기통 M이 가진 주행 캐릭터를 유지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기 때문에 주경쟁차 3대가 모두 V8을 가졌기는 하지만 공통점이 거의 없다.
C63 AMG는 대단히 재미있는 장난감이고 아우디와 BMW이외에 다른 경쟁상대가 없는 특수한 위치에 있다.
이미 RS4는 단종된지 1년 가까이 되었으니 궁극적으로는 M3가 가장 신경 쓰이는 경쟁자일 것이다.
M3와 비교하면 아기자기한 맛이 적고 단순한 구성이라는 점과 AMG가 가진 V8의 전통적 주행감성을 철저히 계승했다는 점이 우월한 점이라 할 수 있다.
허접한 실내에 눈쌀을 찌푸렸기는 했지만 환상적인 음색에 고급스런 전통이 배어있는 배기음이 우리 가족들에게 큰 기쁨을 안겨준 것만큼은 확실하다.

- 21.jpg (64.8KB)(13)
- 2.jpg (139.8KB)(11)
- 3.jpg (28.8KB)(10)
- 4.jpg (88.3KB)(11)
- 5.jpg (67.1KB)(10)
- 6.jpg (79.6KB)(10)
- 7.jpg (50.5KB)(11)
- 8.jpg (122.6KB)(12)
- 9.jpg (133.1KB)(10)
- 10.jpg (117.6KB)(10)
- 11.jpg (80.8KB)(9)
- 12.jpg (103.3KB)(10)
- 13.jpg (83.4KB)(10)
- 14.jpg (68.4KB)(11)
- 15.jpg (95.9KB)(11)
- 16.jpg (107.0KB)(11)
- 17.jpg (104.5KB)(13)
- 20.jpg (45.1KB)(22)
C63 AMG 뿐만 아니라 BMW M3 등이 강한 기세로 밀고 들어오니... 일단 멀리 놓고 보게 되는 RS4의 비애가 그저 슬플 따름입니다... T-T;;
궁극적으로 꿈 꿔왔었던 드림카가 갑자기 바뀌려고 하네요;;
* 기다리고 기다리고도 기다려왔던 시승기 정말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배기소리(순정치고)에 놀란 경험이 있습니다. 설마 머플러에 구멍난건 아닐테고...^^
AMG면 더할나위없이 좋은 사운드를 내주겠지요~
독일산 고성능 엔진의 이상한 점은 기름을 이상할 정도로 많이 먹는다는 점이죠....
조질때만 많이 먹는거야 힘을 더 쓰니 당연한 결과지만, 연비모드로 주행해도
지나치게 기름을 많이 먹는다는 점이죠....
신형 M3는 모르겠지만 E46 M3의 경우는 안밟으면 기름 정말 조금 먹는데 반해서
다른 엔진들은..........

머슬스러움과 힘을 바탕으로 상당히 세련된 느낌을 갖기에 충분한 것 같습니다.
주행중에 실내에서 들을 때, 아이들링시에 밖에서 들을 때, 순간 내 앞을 스치듯이 휙 지나가는 소리를 들을 때 모두 매력을 풍기는 엔진 배기음 이라고 생각합니다.
- 200K의 배기음도 배기량에 비해서 충분히 묵직한 느낌을 주는 것 같습니다.
- 개인적으로는 RS4 역시 V6 2.7 TT엔진과 E46 M3의 I6 3.2엔진이 훨씬 더 매력이 있다고 생각되어지고, C-Class AMG모델의 경우는 현행 63series 엔진이 더 브랜드하고도 맞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시승기 잘 보았습니다.
강남에서 연료를 가득 채우고, 빠르게 (좀 많이 빠르게 ^^) 인천공항 다녀오니 바닥이더군요.
처음엔 무척 시원스런 가속력이었으나
5분이 지나니, 조금만 더 빨랐으면 참 좋겠다는 마음이 계속이었습니다. (딱 ecu 봉인 해제 정도만..)
퍼포먼스 패키지의 서스펜션 느낌은 어떨까 궁금합니다.
가격대와 네임벨류를 생각해봤을때,
실내의 질감을 탓해야 할 녀석은 제네시스쿠페가 아닌 요녀석인 듯 합니다.
좋은 시승기 잘 읽었습니다. ^^*

제가 한 2달 전인가 타봤을 때 강남에서 분당까지 세곡동길로 갔는데... 리밋이 풀려있는지... 3명 타고 270 쫌 넘게 밟히던데요...
그리고 270쯤에서 바로 급브레이킹 해봤는데...... 뒤 쫌 좌우로 떨리면서 나름 믿을만한 확신을 주면서 짧은 거리에 정지하더라구요....
원래 시승차는 리밋 없이 들어오나요?? 딜러 말로는 독일에서 바로 급하게 가져온 거라 풀려있나 보라고...
자기도 시승차로 이렇게 속도 많이 내본 게 처음이라고 하더라구요...
충격은 연비네요. 55보다 63이 좋은 것 중 하나가 연비였는데,
어째 가장 엔트리인 C63이 -_-
C63도 옵션으로 카본 트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AMG 버젼은 사실 인테리어는 업그레이드 요소가 거의 없죠.
AMG는 엔진 하나로 전체 라인업을 짜는 형국이니
한 모델이 갖는 스패셜함이 떨어지죠.
M이나 RS에 반해서요...
암튼 c63에 오해를 불식시킬 수 있는 좋은 글이네요- :)

벤틀리로 서울에서 대전까지 마구 밟으면 엔꼬 나던데.
c63amg로 강남에서 인천공항왕복에 엔꼬면 벤틀리가 더 멀리 갔다온다는 건데.
연료탱크용량의 차이가 큰 거 같습니다.


M6 는 짧은 시내 주행 반복시 2.7 정도의 연비를 보여주는 반면, C63 은 4.6 정도의 연비가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