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첨부파일은 커먼레일 디젤엔진의 엔진회전수와 레일압( 분사압 ) 간의 그래프입니다.
아이들링에서 2000 rpm 까지 엔진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linear 하게 레일압이 오르다가..
2000 rpm 에서 최대 레일압을 형성한 후부터는 rpm 이 증가해도 일정한 레일압을 유지합니다.
기존의 인젝션 펌프를 대체한 커먼레일의 장점이라고 하는데..
현실에서는 이런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분들이 많네요.
풀악셀시에서나 보이는 그래프이며, 공도 상에서의 부드러운 악셀링에서는 2000 rpm 의 낮은 회전수에서
최대 분사압이 형성되지 않는다는군요.
rpm 이 오르지 않아도, 급경사에서 엔진부하가 크게 걸리는 경우에는 레일압이 오를수 있을까요?
미처 검색하지 못해서인지..
레일압과 rpm 간의 상관관계 그래프 외에는 다른 자료를 찾을 수가 없습니다.
엔진 회전수와 비례해서 돌아가는 고압펌프에 의해 연료가 축압되고,
IMV 와 DRV 에 의해 레일압이 조절되는 커먼레일의 기전을 살펴보면..
다른 변수가 개입할 여지는 없을 듯 한데..
회원님들의 답변을 구하고자 합니다.

그래프상의 y 축 분사압이 x 축 rpm 값에서 형성할 수 있는 "최대 분사압" 이군요.
정확한 답변.. 감사합니다.
몬스터게이지로 rpm과 엔진부하를 살펴보면( 모하비 S 엔진입니다 )....
열간 상태의 아이들링 시, 650 rpm 에 35 % 정도입니다.
1. 천천히 악셀을 밟으면, 3000 rpm 까지 올려도 엔진부하는 그대로인데....
2. 급격하게 3000rpm까지 오르게 하면, 엔진부하가 100 % 로 뜨더군요.
AFS 나 HFS ( 디젤엔진에도 HFS 가 있는지, 만일 있다면 위치가 어디인지 궁금하네요..) 의 값을 증가시키는,
시간당 공기유입량에 의해 엔진부하가 결정되는 것일까요?
액셀 개도량이 aps 값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rpm 이 오르든지, 아니면 엔진부하가 증가하든지 하는데...
rpm과 엔진부하가 항상 비례하지는 않더군요.
퓨얼컷 상태나 부하 제로로 관성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를 제외하고..
악셀을 밟았을때, 그 결과를 rpm 상승이냐, 아니면 엔진부하 상승이냐로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AFS 와 HFS에서 감지되는 흡입공기의 속도인가요?
rpm 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엔진부하만 증가하는 경우도 있을까요?

엑셀을 밟으면 그냥 연료가 더 들어갑니다.
그럼 부하가 상승하고 힘이 남으면 rpm이 차속과 함께 상승하는 것이고, 부하가 현재 rpm을 유지할 정도이면 그냥 유지되는 것이지요.
부하를 올릴지 rpm을 올릴지 정하는게 아니고 그냥 힘을 더 내니 남는 힘만큼 회전수가 올라가는 겁니다.
rpm 고정 상태에서 엔진 부하만 증가하는 경우는 실 주행 조건에서는 잘 없습니다만..
오르막 경사가 점차적으로 증가해서 엑셀을 점점 더 밟아서 속도 유지를 하는 경우가 있겠네요.
차속은 그대로이니 rpm은 유지되지만 부하는 증가하지요.

간단한 질문을 하신 것 같습니다.
가솔린 차량의 경우, 흡기매니폴드의 부압 상태에 따라 연료압이 결정되죠.
연료압 레귤레이터가 대부분 흡기매니폴더의 진공으로 제어가 되니...(요즘은 그렇지 않지만,,,)
인젝션펌프를 사용하는 과거 디젤차량은 풀가속이건 아이들이건 분사되는 연료량과 분사시기의 차이가 있었을 뿐, 분사 압력은 동일했습니다.
하지만 CRDi로 넘어오면서 아주 능동적이고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해졌는데요,
가솔린과 비슷한 맥락으로 보시면 됩니다. 레일압력은 모든 상황에 전부 다 다르게 생성됩니다.
운행상황과 조건에 따라 레일압력은 다르게 형성됩니다.

오히려 분사압이 올라가면 착화속도가 빠르고 온도가 낮아져 에미션제어에는 유리하지만 출력,회전력과는 다소 별개로 생각해야 할듯 싶은데.. 저도 전공자는 아니지만 분사압을 올린다고 출력에 비례하지는 않는다고 지적을 받은 기억이 있네요.
엑셀 개도량이 100이 아니면 당연히 최대 분사압은 형성되지 않습니다. 아니 형성을 하지 않도록 제어를 합니다.
맵을 보면 2000rpm 무부하에서는 400-500바 정도이고 풀 로드가 되어야 1800, 2000 등 최대 압력이 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다이노 그래프를 보고도 엑셀 개도량에 상관없이 그 힘이 나온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그것과 마찬가지로 저 그림은 해당 회전수에서 나올 수 있는 최대값이고 그 안에서 조건에 따라 제어를 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