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 | ||||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자동차 색상은 무슨 색일까? 아마 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들을 잠시만 지켜본다면 쉽사리 답을 얻을 수 있을 듯 하다. 미국의 산업소재 생산회사인 듀폰(Du Pont)에서 발표한 2008 자동차 인기색상 보고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 소비자가 가장 선호한 색상은 은색으로, 전체의 50%를 차지하는 압도적인 인기를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듀폰이 조사한 9개 국가 중 한가지 색상이 전체의 50%를 차지하는 경우는 대한민국이 유일하다. 은색의 뒤를 이어 검은색이 25%, 흰색이 18%로 상위 3종 색상이 전체의 93%를 차지하면서 다른 국가에 비해 차량 색상 선호도에서 편애적인 성향이 짙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에 회색이 3%로 뒤를 이었으며 푸른색 2%, 붉은색 1%, 노랑 및 금색이 1%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전세계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색상도 은색일까? 듀폰이 조사한 9개 국가의 선호색상을 종합해보면 흰색이 20%로 가장 높았으며 검은색과 은색이 각각 17%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따져보면 북미지역의 경우 흰색이 20%로 가장 높았으며 검은색과 은색이 각각 17%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푸른색이 13%, 회색 12%, 붉은색 11%, 베이지 및 갈색이 5%, 녹색 3%, 노랑 및 금색이 2%로 나타났다. 유럽지역은 검은색이 26%로 가장 높았으며 은색 20%, 회색 18%로 뒤를 이었다. 이어서 푸른색 13%, 흰색 10%, 붉은색 7%, 베이지 및 갈색 4%, 녹색이 2%, 기타색상이 1%를 차지했다. 중국은 은색이 32%, 검은색 31%로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으며 이어서 회색 15%, 푸른색 9%, 붉은색 5%, 오렌지 3%, 노랑 및 금색 2%, 녹색 2%, 흰색 1%로 나타났다. 중국과는 반대로 일본의 경우는 흰색이 32%로 가장 높았고, 은색이 28%, 검은색 13%, 푸른색과 회색이 각각 7%, 붉은색과 녹색이 각각 3%였으며 기타색상이 5%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도는 흰색과 은색이 28%와 27%로 비슷한 인기를 얻고 있으며 붉은색 12%, 푸른색 8%, 검은색과 노랑 및 금색이 각각 7%, 회색과 베이지 및 브라운 각각 4%, 녹색 1%로 나타났다. 러시아는 은색이 30%였으며 검은색 14%, 붉은색 14%, 녹색 13%, 푸른색 12%, 흰색 10%, 회색 3% 베이지 및 브라운과 노랑 및 금색이 각각 2%로 뒤를 이었다. 이어서 브라질은 은색, 검은색, 회색, 흰색, 붉은색, 베이지, 푸른색, 녹색의 순위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멕시코는 흰색, 검은색, 은색, 회색, 푸른색, 붉은색, 노란색, 녹색, 베이지 순으로 선호색상이 밝혀졌다.
갠적으로는 흰색상을 좋아해서 기쁘네요~ 한국은 유난히 은색이 참으로 많긴하지요^^ |
2008.12.13 12:14:22 (*.30.119.253)

군청색처럼 검정색 비슷한 류도 Blue 에 들어갔을껀데, 한국에서 유독 청색 선호도가 많이 낮은 편이네요.... 투스카니가 처음 시장에 나왔을 때 미국에서 선택 가능한 푸른 색상이 한국에서는 없었습니다.
2008.12.13 17:53:33 (*.106.49.118)

국내에선 전통적으로 (막연한 느낌으로 한 5년전) 흰색이, 그리고 대형차는 검정색이 가장 비중이 높았던 것 같은데 수입차 점유율이 높아지면서 독일차 등 고급차에서 많이 선택된 은색의 인기가 소형부터 대형차, 스포츠카까지 전체 승용차로 확되된 듯도 합니다. (혹자는 수입차 feel이라며..)
2008.12.13 18:21:03 (*.117.99.154)
잘보면, 은색은 세계공통적으로도 선호도가 매우 높은 색상이라는걸 알수있는 통계군요.
최소한 Top 3에는 들어가네요. 어느 지역에서나......
최소한 Top 3에는 들어가네요. 어느 지역에서나......
2008.12.13 18:32:31 (*.229.126.221)

앙..재미있는 자료입니다. 다~외워야지~ ㅋ
은색의 선호도는 중국,한국,일본 통계에서 보면, 건조하고 먼지가 많은 대기 순서같기도 합니다. 일본은 대체로 습해서 먼지 양이 정말 적더군요. 흰색이나 검정, 원색의 다채로운 색깔이 관리에 별 어렵지않아 선호되는 면도 있어보입니다.(혼자생각 ㅎ)
은색의 선호도는 중국,한국,일본 통계에서 보면, 건조하고 먼지가 많은 대기 순서같기도 합니다. 일본은 대체로 습해서 먼지 양이 정말 적더군요. 흰색이나 검정, 원색의 다채로운 색깔이 관리에 별 어렵지않아 선호되는 면도 있어보입니다.(혼자생각 ㅎ)
2008.12.13 18:47:10 (*.104.15.95)

흠..몇년 사이 바뀐걸까요.. 우리나라사람들은 흰색차를 가장 선호하고, 다른나라에 비해서도 유독 흰색차를 많이 좋아한다고 수년전 무슨 통계자료에서 본 기억이 있는데요..
2008.12.13 21:15:45 (*.237.203.142)

전에 어디선가 본 기억으로는 우리나라에서 경제가 불황일때는 흰색 차량 선호도가 높아지고, 호황일때는 흑색 차량 선호도가 높아진다고 했던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 기사에서 근거로 든 이유가 좀 거시기하더군요.
불황일때는 준준형 출고가 많아지는데 시각적으로 커보이는 흰색을 선호하게되고, 호황일때는 어차피 큰차 출고가 많기 때문에 흑색으로 해도 작아 보이지 않아서라고 했던것 같네요. 말이 되는듯 안되는듯 싶은 아리송한 기사였네요. >_<
암튼 저는 호황, 불황 전천후로 커버하는 투톤~ ㅋㄷㅋㄷ
불황일때는 준준형 출고가 많아지는데 시각적으로 커보이는 흰색을 선호하게되고, 호황일때는 어차피 큰차 출고가 많기 때문에 흑색으로 해도 작아 보이지 않아서라고 했던것 같네요. 말이 되는듯 안되는듯 싶은 아리송한 기사였네요. >_<
암튼 저는 호황, 불황 전천후로 커버하는 투톤~ ㅋㄷㅋㄷ
2008.12.13 21:35:11 (*.215.1.235)

제 업무와도 관련이 많은 분야인데... 우리나라 차량의 색상 선호도가 점점 흰색과 쥐색 계열의 인기가 높아지는 추세이고 검은색은 계속 수요가 줄고있는듯.. 은색이야 뭐 항상 잘나가는 색상이구요..
특히 흰색계열은 최근 2-3년 사이에 수요가 급증했고... 당분간 인기가 크게 늘겠지만 흰색 유행이 사라질때쯤 쥐색이 크게 한번 히트치지 않을까.. 개인적 예상을 해봅니다. ㅎㅎ
특히 흰색계열은 최근 2-3년 사이에 수요가 급증했고... 당분간 인기가 크게 늘겠지만 흰색 유행이 사라질때쯤 쥐색이 크게 한번 히트치지 않을까.. 개인적 예상을 해봅니다. ㅎㅎ
2008.12.13 23:54:23 (*.187.137.152)

중국 Red가 50% 정도 될 줄 알았는데.. 다행이네요~
한국 Silver가 반을 차지하는 건, 세단이 대세이다 보니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참, 그리고 댓글 쓸 때 한글에서 자동으로 영어로 바뀐 후
전환이 안 되는군요. 저만 그런가요??
한국 Silver가 반을 차지하는 건, 세단이 대세이다 보니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참, 그리고 댓글 쓸 때 한글에서 자동으로 영어로 바뀐 후
전환이 안 되는군요. 저만 그런가요??
2008.12.14 16:27:22 (*.186.238.12)
올초에 차를 바꾸면서 회색으로 하려했으나 회색차는 내장색상이 회색밖에 없어 아쉽게 은색으로 했던 기억이 있네요. (은색은 내장이 검정) 현대차중 외장 색에 따라 내장색이 다른 경우가 있는데 왜 그런지 아시는분 좀 알려주세요. 이때문에 외장색을 고를때 내장 색상을 고려해야만 하더라구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