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눈팅 회원 1 입니다.
얼마 전 아방 ad 가솔린을 1년간 운용기도 남기긴 했었습니다만
요즘 이 녀석을 팔고 구형 중형차량으로 갈아탈까 하는 생각이 들어 고민입니다.
최근 회사일로 하루 250Km 이상 장거리 주행이 많습니다.
따라서 제가 가장 중시하는 것은 충돌시 안전성이고
그 다음이 아무래도 소음이나 진동 같은 쾌적함과 연비인데
AD는 나름 오일과 연료에 신경을 써주니 70~80Km 구간에서 미끄러지듯 나가는 주행감과
연비, 편의사양 등이 좋다고 볼 수 있고
단점으론 소음은 그러려니 하겠으나
시트까지 타고 올라오는 진동이 좀 있어 영 쾌적하지가 않습니다.
어쩌다 8시간 넘게 운전을 해보니 거의 뭐 몸이 앓아 눕기 직전처럼 미칠지경이더라구요.
고속도로 주행 후 -열간- P와 N에 놓아도 시트까지 엔진의 맥동과 잔진동이 올라와서
졸음쉼터나 휴게소에서 의자 젖혀두고 편히 쉬는 게 안되는 차라고 보시면 됩니다.
뿐만 아니라 잠시간 시내주행이라도 시트에 몸을 밀착하고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둘 수가 없으니
이러나 저러나 승차 후 피로감이 높다고 생각이 됩니다.
그래서 아쉽지만 한푼이라도 더 쳐줄 때 팔고 가격이 좀 떨어진 중고 중형으로 가야하나 싶습니다.
생각 같아선 총알 좀 더 모아서 2천만 언더로 나온 중고 볼보 차종을 알아보고도 싶은데
예산은 차량의 판매가 -1천5백만- 정도만 쓸까해서 비교적 최근 연식은 어렵겠더라구요
1년 사이에 감가로 까먹은 돈이 차값에서만 7백만원이 넘는데
서비스센터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맞겨보고 팔아야 할까요?
아니면 아직은 포기하지말고 차를 어떻게 만들어 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고견 감사합니다.
일단 같은 감마 GDI와 터보로 묶어둔 LF .6 터보를 타봤을 때
아 소음 진동을 이 정도로 잡아놨으면 아방이도 뭐 별 문제 없겠거니 했었습니다.
그렇게 차급 고려도 하고 1년 넘게 타봤는데 이게 잔진동이라고 하기엔 좀 큰 거 같더라구요
1차 원인은 차 자체가 떠는 거고
그 진폭은 현기차 순정 오디오 기준으로 볼륨을 한 20정도 놓고 베이스 울릴 때 진동이랑 비슷한듯 합니다.
어릴 때 버스 타고 가다가 창문에 머리 기대면 느껴지는 그 정도 이하랄까요
2차 원인은 아마도 시트 자체가 좀 저렴이라서 그런 거 같은데
LF 시트하고 신형 말리부 시트는 많이 떨어도 방석까지만 떨고 등받이 부턴 진동이 없더라구요
그래서 말씀하신 방음/방진 작업을 테드에서 소개된 모 업체에다 맞겨볼려고 해도
이 진동이 잡힐까 의문스러워서 그래서 방음/방진쪽 생각은 안하고 있었습니다.
말씀들어보니 센터 가보고 가볼까도 싶네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일단 말씀해주신대로 차 자체는 현행 준중형 중엔
정숙하고 부드러운 차인 것은 확실합니다.
벨브 또는 인젝터의 다라라 하는 소음 말곤 정차 중 밖에서 듣던 엔진음이 안으론 거의 유입되지 않으니까요
부드러운 것도 맞습니다. 언급했지만 7~80Km 구간에서 미끄러져 나갈 때
그 때 LF의 냄새도 좀 나면서 동승자들도 진짜 부드럽게 잘 나간다곤 했었습니다.
그래서 좀 아쉽네요 진동만 어떻게 잡으면 내구성도 높아질테고 운전하는 입장에선 좀더 쾌적할텐데
차급을 고려하더라도 조금 아쉽게 느껴져서요

렉서스 ES는 어떨까요? 워낙 많이 팔린 차종이라 동네 카센터에서도 어느 정도 정비
가능하고 저렴한 호환 부품도 많더라구요. 원하시는 가격대라면 연식이 좀 된 차들
밖에 없겠지만, 내구성이 워낙 좋다보니 큰 문제는 안될것 같습니다.

쏘나타 하이브리드는 어떠실지요? GDI계열이 아니고, 유지도 나름 저렴 하구요. 시승센터에서 직접 시승해 볼수 있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베르나MC 1.6 가솔린-토스카-벤츠 W246 B200-볼보 V60 D2 타고 있습니다.
소음진동은 지금 타는 V60이 디젤이라 베르나보다 오히려 심합니다.
오래 앉아있으면 허벅지는 좀 욱신거리기는 합니다.
다만 예산범위내에서 살 수 있는 차는 연식과 주행거리가 꽤 많을텐데
볼보는 사설센터에서 보는곳이 적고, 보험료가 비쌉니다(아반떼 두배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볼보는 디젤이 아닌 구형 / 2세대 초기형 S60이나 S80 가솔린 버전을 알아보고 있었습니다.
디젤은 말씀하신대로 진동이 있기 마련이고 수리비가 염려되서요
일단 말씀듣고 S60 하고 렉서스 ES 350을 알아보니
차 값은 렉서스가 싸지만 나머진 좀더 비싸고
S60은 차 값은 비싸지만 나머진 좀더 싸고
수리는 렉서스가 유리한 측면이 있겠네요
어차피 새 차를 사서 몇만씩 타는 것보다
감가 먹을만큼 먹은 차로 장거리 순항만 안전하게 하는 게 낫겠다 싶어서
알아보는 중이라 거리보다는 정비 상태를 보려구요
중요한 힌트 감사드립니다.

이 차가 3기통이라 주행중엔 모르겠는데, 정차중엔 고장난게 아닌가 싶을만큼 떱니다.
정말 글쓴이께서 표현하신 버스에서 머리 기댄것 처럼.
그래서 그런지 출퇴근이 편도 20~30분 정도인데
가족차로 운용중인 QM5대비 훨신 피곤한것 같습니다.
진동이 이토록 사람을 피곤하게 만드는지 처음 알았습니다.
제 생각엔 글쓴이께서 차를 바꾸신다면 SM3 어떤가.. 싶습니다.
GDI아니고, CVT미션이라 기어비가 넓어서 고속주행시에 rpm이 낮아서 진동도 적고 연비도 좋을듯 합니다.
단지.. 좀 오래된 모델이고, 실내 인테리어도 그닥..

혹시 8세대 어코드에 대한 평을 남겨주실 분이 안계실까요?
아니면 구형이라도 당시에 안전성과 내구성, 장거리 순항성이 좋다고 평가 받던 차종 추천도 감사히 참고하겠습니다 ㅎㅎ

안녕하세요 제 의중을 잘 고려해서 달아주신 의견에 참 감사드립니다.
아 알아보니 좀 제대로 하는 곳에선 에어백 작동이 되게 시공을 하네요 좀더 연구 좀 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일단 별일이 없으면 일주일에 사나흘은 차가 놀다가 재수가 쪼끔 없는 날엔 하루에 약 600Km 까지 타기도 합니다.
1년 동안 7천키로 타던 차를 요 근래에 1만 7천까지 주파를 했으니 몰아서 타는 셈이지요
아방이는 요즘 윈터타이어 처럼 말랑하고 승차감이 좋은 컴포트 타이어에
80~100 정도로 순항하면 제 기억엔 "MDPS 피로감"로 정리되는 YF 초기형보다 훨씬 편한 것도 같습니다.
이게 뒷통수로 계속 진동이 오니까 5분도 안되서 골이 흔들리는 것처럼 졸리듯 몽롱해지는 게 위험하기도 하고
내 의자에 내가 기대지도 못하니 불편스럽더라구요.
리무진 시트..나쁘진 않은 듯한데 일단 에어백이 문제일듯 싶더라구요.
개인적으로 차에 손을 안대고 싶기도 하고
지금 차를 만들어간다고 하면
방음/방진 시공에 약 200만원 정도랑 리무진 시트..아마도 100 언저리 까지
중복 비용대비 얼마나 만족하게 될지 미지수인 것도 같아서..
구형이라도 중형을 알아보는 쪽으로 생각을 좀 하던 참입니다.
무엇보다 시트를 건들이는 것은 이러나 저러나 에어백이 문제더라구요..
( 혹시 요 근래에 의자에 방석을 배고 가는 이상한 흰아방이가 보였다면 아마 제 차일껍니다. )
http://www.encar.com/dc/dc_carsearchlist.do?carType=kor&searchType=model&wtClick_index=011#!%7B%22action%22%3A%22(And.Price.range(100..1500)._.Hidden.N._.(Or.Separation.B._.Separation.C._.Separation.D._.Separation.E.)_.(C.CarType.Y._.(C.Manufacturer.%EC%8C%8D%EC%9A%A9._.ModelGroup.%EC%B2%B4%EC%96%B4%EB%A7%A8.)))%22%2C%22toggle%22%3A%7B%7D%2C%22layer%22%3A%22%22%2C%22sort%22%3A%22ModifiedDate%22%2C%22page%22%3A1%2C%22limit%22%3A20%7D 체어맨 어떠신가요?? 소음적고 진동도 적고 엔진도 벤츠엔진과 벤츠엔진을 개량해서 달아놓은게 있습니다. 단점은... 좀 저렴한 w의 경우는 주행거리가 30만 전후이고 h는 8~14만 사이네요...

많은 분들이 좋은 조언을 해주셔서
후보 차종을 몇대 고를 수 있었습니다.
아방이는 일단 서비스 센터에 갔다와 보고 개선이 안되거나 근 시일내에 증상이 재발하면
내놓는 쪽으로 생각을 정리했습니다.
아직 제차는 엔진 이슈는 없고 진동 외에 모든 점이 뽑기가 아주 잘된 녀석이긴한데..
어찌됐든 아방이를 어떻게 하든 이와 별개로 크루저를 하나 더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물론..합리적인 소비는 아닐테지만)
추천 해주신 렉서스 ES330 / 350, 알페온, 어코드, 그랜저 TG, SM3 는 물론
그 외에 리무진 시트, 시트개조 모두 시간을 들여 곰곰히 살펴봤습니다.
에어백만 어떻게 해볼 수 있다면 시트를 개조하거나 리무진시트로 바꾸는 것도 좋은 차선책이 될 듯 싶습니다.
대체 차종으론 로체 / NF LPI도 눈여겨 봤는데 당시엔 스몰오버랩이고 뭐고 없던 시절이니
안전성이 좀 우려가 되기도 하고
렉서스가 여러모로 좋아보이는데 다만 이 차종은 보험료가 유난히 비싸게 책정되는 반면
8세대 어코드는 모두 무난무난하고 DIY를 부담없이 할 수 있을 것도 같아서 이쪽으로 좀 알아보고 싶어집니다.
상대적으로 어코드의 사고율이 낮은 건지 부품 값이 합리적이라 그런건지 보험료는 아방이 두배 수준으로
비교적 싸게 나오네요. 렉서스는 3배, 볼보는 2.5배
시간을 내주신 열세분께 감사드립니다.
*추천은 계속해서 환영합니다.
몸에 안 받는 차 혹은 차급이 분명 있습니다.
남들은 아무 문제 없다는데, 내가 그 모델을 타면 너무 불편해요. 제겐 그랜저 TG가 그렇습니다.
저도 보험과 세금, 기름값의 문제가 크지 않다면 차를 바꾸는 편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어차피 구형 ES350급을 보신다면, GS시리즈도 괜찮은 선택입니다.
편하긴 정말 편했거든요.

죽어도 몸에 안 받는다 하시면 어쩔 수 없습니다. 스트레스 받으면 파는 것 밖에 답이 없겠네요.
감가 손해나 기타 경제적 부담보다는 정신건강이 훨씬 중요하니까요.
(저는 자동변속기의 편리함을 불편함으로 느껴서 잔뜩 스트레스 받다가 신차 출고 9개월째에 팔았습니다)
대신, 너무 오랜 모델 말고 한 세대 전쯤의 국산 중형 이상급 차량으로 선택하는 것도 방법인 듯 싶습니다.
굳이 국산을 언급드린 이유는, 신체 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을 생각했을 때 그러하다는 것입니다.
여담이지만, 자동차의 승차감과 주행안정성 등등 동적 품질에 굉장히 민감한데다 하늘이 무너질까
걱정이 많은 성격이며, 아반떼MD 끝물 신차 출고해서 처음엔 불만이다가 지금은 3만km 이상 주행하면서
잘 적응하고 있습니다. 고로, 아반떼AD라면 할배요!! 입니다.
잠시간 시내주행이라도 시트에 몸을 밀착하고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둘 수가 없으니
가장 중시하는 것은 충돌시 안전성이고

안녕하세요 :)
물론 헤드레스트를 뒷통수에 꼭 밀착시켜가면서 주행하지는 않습니다.
그렇다고 정확하진 않겠지만 양 간격 7.5cm를 훨씬 넘는 거리를 놓고 주행하지도 않구요.
보통 의자에 헤드레스트는 이름 그대로 머리를 기대어 쉬는 용도일 것입니다.
여기에 자동차의 특수성으로 인해 말씀하신대로 목이 꺾이지 않게 운동에너지를 저지-목을 지지-하는
역할을 겸하는 특성이 자연스레 따라온 것으로 저는 생각을 합니다.
제가 말씀드리는 것은 머리를 기대어도 되는 상황-예컨데 신호대기, 교통정체, 저속운행 등-일 때
잠시도 쉬지 못하고 목을 세우고 있어야 하니
목도 다른 차보다 훨씬 피곤하고 어쩌다 기대면 언급한 듯 어지러워지는데 채 5분
아니 한 1분이면 뒷통수가 얼얼해지는 점.
여기까지가 헤드레스트로 느끼는 가장 큰 불편함이고
전반적으론 이와 더불어 시트가 차체와 같이 떨어버리니 흔히 바른 자세로 운전하면
고속도로 기준 1시간 반 정도를 안쉬고 운행하기가 썩 쾌적하진 않더라라는 것이 제 경험이었습니다.
뭐 차급이니 감수해야 할 수 있겠지만 정말 상태가 안좋았던 13년식 크루즈를 빼곤
2세대 SM3는 물론 같은 GDI를 쓰는 페리 전의 K3도 이 정도의 떨림은 없었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아무래도 보강된 만큼 상대적으로 진동과 불편함이 더 느껴지면서도 이게 또 복불복이니
제 차가 문제구나 싶었습니다.
물리적이고 쉬운 이야기로 덤프를 승용차가 이길 수는 없죠ㅎㅎ 안그래도 사상자가 없어서 다행이지만
중국에선 LF가 대리석 트럭에 깔려서 차의 반이 아에 껌처럼 눌려버렸던데
그런 극한 상황에선 볼보라도 별 수 없을 껍니다. 그런 불가항력을 상정하는 것은 아니구요.
또 눈 크게 뜨고 잘 본다면 내 차를 전봇대나 절벽에 돌진시킬 일은 당연히 없겠지요.
제가 상정하는 것은 차의 사각면인 측면의 1차 접촉으로 통제력을 잃고 여기저기 부딪친다든지
시내 도로에서 시속 100Km 미만 60Km를 전후로 하는 정도의 8방향 추돌, 스몰오버랩 같은 상황으로 상정한 것이고
기대 수준은 1차 추돌 이후 2차 추돌을 대비할 수 있는 정도의 안전성을 바라는 것이지
사실 그 이상은 하나님이나 되야 아실 꺼라고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자동차 시트에 붙어있는 것은 그 도입부터가 머리의 (rest가 아닌) restraint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자동차가 양산되고 50년 이상을 어깨 이하 높이 시트에 앉아서 타고 다니다가, 그 뒤로 안전을 이유로 각국에서 일정한 힘을 버틸 수 있는 head restraints을 탑재할 것을 강제하기 시작했죠. 이런 head restraints를 보통 headrests라고 부르는 것 뿐입니다.
그리고 상정하신 사각 측면 접촉은 벌써 본인 잘못이 어느 정도 있는, 다시 말해 회피할 수 있었던 형태로 느껴집니다만.. 보통 남이 와서 그대로 때려박는 것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고는 본인이 회피할 수 있는 것이죠. 어찌 되었건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의 80%를 차지하는 평범한 승용차는 평균 중량이 1톤대이고, 이런 차를 상대로 붙었을 때에는 어느 쪽을 어떻게 받히든 보통은 3톤 가까이 나가는 무겁고 큰 차가 동시대에 나온 평균 무게 근처의 차량보다 유리합니다. 물론 3톤짜리 차도 고중량 상용차에 강하게 받히면 별 수 없지만요.

제가 같은 상황이라면 구형말리부 변속기 개선된 2.4를 알아볼것같습니다.
엔진은 부드럽기로 유명하고 안전하기로도 소문이 자자하길래~ 찾으시는것에 가깝지 않나 싶네요.
시빅으로 왕복 3000키로 장거리도 운전해보고, 하루에 60~80키로씩 꾸준히 운전하고 있는데, 고속운전(<120kmh)에서 딱히 진동때문에 스트레스 받은적은 없는 것 같습니다. 어코드는 시빅보다 급이 높은 차인데 고속운전이 더 편하지 않을까 추측해봅니다.
외국이라면 쉽게 추천드렸겠지만 한국에 계셔서 중고/유지 가격이 생각보다 비싼점이 단점이겠네요.
어코드는 아무래도 한글로된 리뷰는 찾기 쉽지 않으실테니.. 시간 나시면 영어공부 하시는겸 외국쪽 리뷰도 찾아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es350은 잘 모르겠으나, es330 이라면 15만킬로 쯤 되면 타이밍벨트 교체시기이며,
또한 누유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파워핸들 고압라인, 등속 조인트 부트 정도 입니다.
그 밖에는 노후된 서스펜션 정도가 될텐데, 스태빌링크는 라세티, 산타페 등과 호환되서
그나마 비용을 아낄 수 있습니다. 10년 넘은 ES 같으면 정식 센터보다 수입차 전문 정비소가
더 잘 고쳐요. 정식 센터에서는 올드 모델의 하드코어한 정비 경험이 생각보다 적은 듯 합니다.
현세대 ES는 아발론 기반이지만, 그 이전까지는 캠리 기반이라 호환되는 부품이 많아서
부품값은 생각보다 싸요. 동급 국산차 대비 보통 1.5, 최대 2배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