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
오늘 하이패스 단말기를 구입하였습니다.(무선방식의 아이패스 구입했습니다. ㅋ)
XD 앞으로 일단 등록을 하였는데.....
시험삼아 S2000에 탑재하고 고속도로를 다녀왔습니다.
일단 결론적으로 정상통행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나중에 과태료 고지서가 날아오지 않을 지 걱정이 됩니다.
A라는 1종 소형차에 등록된 단말기를 B, C 등의 동일한 1종 소형차에 장착하고 다닐 경우
문제는 없는건가요?
(만약 문제가 없다면 테드의 수많은 세컨카 소유자 분들께는 희소식이 될 듯 합니다. ㅋ)
오늘 하이패스 단말기를 구입하였습니다.(무선방식의 아이패스 구입했습니다. ㅋ)
XD 앞으로 일단 등록을 하였는데.....
시험삼아 S2000에 탑재하고 고속도로를 다녀왔습니다.
일단 결론적으로 정상통행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나중에 과태료 고지서가 날아오지 않을 지 걱정이 됩니다.
A라는 1종 소형차에 등록된 단말기를 B, C 등의 동일한 1종 소형차에 장착하고 다닐 경우
문제는 없는건가요?
(만약 문제가 없다면 테드의 수많은 세컨카 소유자 분들께는 희소식이 될 듯 합니다. ㅋ)
2009.01.01 20:30:14 (*.49.1.13)
알게 모르게 많은 분들이 그렇게 하고 계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역시도 몇번 다른 차량에 사용해 보았지만 문제는 없었습니다. 고속도로관리공단측 입장에서야 관리라는 측면에서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말하겠지만 사용자입장에서는 단말기 한대로 여러차량에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점을 무시할 수 없네요.
2009.01.01 20:31:01 (*.133.138.48)

1대의 하이패스 단말기를 여러차량에 옴겨가며 사용할수 있습니다.. ^^
다만 현 하이패스 단말기의 에러율은 0.2%인데요
에러 발생시 좀 골아파 집니다.. ㅋ
다만 현 하이패스 단말기의 에러율은 0.2%인데요
에러 발생시 좀 골아파 집니다.. ㅋ
2009.01.01 21:58:13 (*.152.207.117)

일단 제가 경험이 좀 있습니다..ㅋㅋ
윗분들 말씀대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사용가능합니다.^^ (별 문제가 발생할 것도 없습니다만..^^)
전 한대로 3대의 차량에서 사용했습니다.^^;;;
일단 과금 체계가 같은 차량 (보통 승용은 과금이 같으니깐요..)은 일차적으로 문제가 없구요. (걸려도 조금은 떳떳할 수 있다는..)
제가 다른 차량으로 가다가.. 한번 인식 문제 (사실은 인식 문제가 아니고, 단말기 등록하는 곳에서 잘 못 등록을 해서..돈이 빠져 나가지 못하는 상황)로 사무실 방문을 한적이 있는데요. 그냥 과금만 하더군요. (좀 조마조마 했었지요..)
그리고, 한번은 카드 잔액이 200원 모자른채 그냥 통과한 적이 있는데요.
(밤에는 충전이 안되더라구요..휴게소에서..)
충전하고 다음날에 다시 통과하게 되니, 앞서 모자른것도 다 빠져 나가더군요.
이 상황에도 원래 등록 차량은 아니었습니다.
차량 번호로 등록을 하기 때문에, 번호가 바뀌면 다시 등록을 해야 하는데..
저같은 경우는 맨 처음 차량의 번호가 바뀌었으나 다시 등록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껀 등록 절차가 좀 복잡한 LG텔레콤 버전이라서..원래 가입 대리점을 찾아가야 하는데,
제가 사는 시도에 없거든요.)
현재는 하이패스를 이용할 경우에 운행하는 모든 차량이 도로공사의 정상(?) 절차는 아닌게지요.^^;;;
이런 사용방법이 약간의 찜찜함이 남아 있긴 하지만... 다 사는 것도 너무 낭비 같아서.. (한 5만원 이하면.. 사겠습니다만..)
여러대의 차량을 소유하신 분들이 과금 범위도 같을 경우에는 한대의 단말에 여러대의 정보가 복수 입력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좀 아쉽습니다. (서버쪽 처리가 대응되지 않았을 확률이 큽니다만.. 너무 미래지향적으로.. 모든 차량이 하이패스 달고 나오는 상황을 염두했나 봅니다.)
윗분들 말씀대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사용가능합니다.^^ (별 문제가 발생할 것도 없습니다만..^^)
전 한대로 3대의 차량에서 사용했습니다.^^;;;
일단 과금 체계가 같은 차량 (보통 승용은 과금이 같으니깐요..)은 일차적으로 문제가 없구요. (걸려도 조금은 떳떳할 수 있다는..)
제가 다른 차량으로 가다가.. 한번 인식 문제 (사실은 인식 문제가 아니고, 단말기 등록하는 곳에서 잘 못 등록을 해서..돈이 빠져 나가지 못하는 상황)로 사무실 방문을 한적이 있는데요. 그냥 과금만 하더군요. (좀 조마조마 했었지요..)
그리고, 한번은 카드 잔액이 200원 모자른채 그냥 통과한 적이 있는데요.
(밤에는 충전이 안되더라구요..휴게소에서..)
충전하고 다음날에 다시 통과하게 되니, 앞서 모자른것도 다 빠져 나가더군요.
이 상황에도 원래 등록 차량은 아니었습니다.
차량 번호로 등록을 하기 때문에, 번호가 바뀌면 다시 등록을 해야 하는데..
저같은 경우는 맨 처음 차량의 번호가 바뀌었으나 다시 등록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껀 등록 절차가 좀 복잡한 LG텔레콤 버전이라서..원래 가입 대리점을 찾아가야 하는데,
제가 사는 시도에 없거든요.)
현재는 하이패스를 이용할 경우에 운행하는 모든 차량이 도로공사의 정상(?) 절차는 아닌게지요.^^;;;
이런 사용방법이 약간의 찜찜함이 남아 있긴 하지만... 다 사는 것도 너무 낭비 같아서.. (한 5만원 이하면.. 사겠습니다만..)
여러대의 차량을 소유하신 분들이 과금 범위도 같을 경우에는 한대의 단말에 여러대의 정보가 복수 입력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좀 아쉽습니다. (서버쪽 처리가 대응되지 않았을 확률이 큽니다만.. 너무 미래지향적으로.. 모든 차량이 하이패스 달고 나오는 상황을 염두했나 봅니다.)
2009.01.01 22:44:39 (*.54.199.99)

충전을 잘해 놓으시면 문제는 없습니다만 혹시 돈이 모자라거나, 인식오류로 유료도로 무단 통과로 인식되면
x10배로 과금되어 날아옵니다.
x10배로 과금되어 날아옵니다.
2009.01.02 06:01:50 (*.217.9.217)

저는 초기(5년전)부터 그 목적으로 건전지 타입을 사용하는데, 요즘은 출장가면서 남의 차에 얻어타고도 하이패스로 요금을 대신 내줍니다.
초기 몇번은 오류로 고생했는데, 모두 다음 톨게이트에서 지불했고...
요즘은 속도도 늦어지고, 높이도 높게하니 오류가 없어져서 문제없이 쓰고 있습니다.
초기 몇번은 오류로 고생했는데, 모두 다음 톨게이트에서 지불했고...
요즘은 속도도 늦어지고, 높이도 높게하니 오류가 없어져서 문제없이 쓰고 있습니다.
2009.01.02 10:19:20 (*.251.5.1)

제 경우엔 인터넷으로 구매한 미기명카드이며 기명전환하지 않아 차량번호와의 매핑관계가 전혀 없습니다. 그러니, (혹시나 있을 차량번호와의 비교로 인한?) 오류가 생길 일이 없다는 ...
기명전환하려면 신분증사본과 차량등록증사본을 <팩스>로 보내야하는데, 팩스질 하는게 세상에서 제일 귀찮은 일 중 하나라...;;
기명전환하려면 신분증사본과 차량등록증사본을 <팩스>로 보내야하는데, 팩스질 하는게 세상에서 제일 귀찮은 일 중 하나라...;;
2009.01.02 13:20:31 (*.254.218.61)

확실하진 않으나... 여러 정황으로 제가 파악하기로는..^^ (제가 단말 등록에 문제가 있어서.. 몇차례 재 방문해서 등록을 한 경우인데요..^^)
카드의 기명/무기명과 차량번호 인식과는 별 관계가 없을수도 있습니다.^^
하이패스의 차량정보는 단말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처리되는 것 같습니다. (카드와 교차확인 하는 지는 저도 모르겠네요.^^)
보통 하이패스 단말의 잔액 확인 버튼을 오래 누르고 있으면, 차량번호와 차종번호를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카드 없이도 가능했던것 같구요..^^
저도 처음에..카드는 기명으로 등록되었으나,
단말기에 차량 정보(차량번호, 과금 차종.. 등이 입력이 안되어서..) 통과시마다..삑삑.. 에러 뜨면서 돈만 빠져 나갔습니다. 돈은 잘 빠져 나가더군요..
문제는, 하이패스로 입장해서.. 사람을 거쳐서 표를 다시 받아야 하는 일부 연결톨에서는, 카드안에 입장한 톨의 정보가 기록되지 않아서, 복잡한 문제를 유발했습니다.
다시 정정해서.. 단말기에 다시 입력을 한 이후에는 잘 되구요.^^
저도 팩스질, 스캔질이...^^ 제일 귀찮은 사람중에 한명입니다.ㅋㅋ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카드의 기명/무기명과 차량번호 인식과는 별 관계가 없을수도 있습니다.^^
하이패스의 차량정보는 단말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처리되는 것 같습니다. (카드와 교차확인 하는 지는 저도 모르겠네요.^^)
보통 하이패스 단말의 잔액 확인 버튼을 오래 누르고 있으면, 차량번호와 차종번호를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카드 없이도 가능했던것 같구요..^^
저도 처음에..카드는 기명으로 등록되었으나,
단말기에 차량 정보(차량번호, 과금 차종.. 등이 입력이 안되어서..) 통과시마다..삑삑.. 에러 뜨면서 돈만 빠져 나갔습니다. 돈은 잘 빠져 나가더군요..
문제는, 하이패스로 입장해서.. 사람을 거쳐서 표를 다시 받아야 하는 일부 연결톨에서는, 카드안에 입장한 톨의 정보가 기록되지 않아서, 복잡한 문제를 유발했습니다.
다시 정정해서.. 단말기에 다시 입력을 한 이후에는 잘 되구요.^^
저도 팩스질, 스캔질이...^^ 제일 귀찮은 사람중에 한명입니다.ㅋㅋ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2009.01.02 12:47:42 (*.192.0.229)

윗분들 말씀대로... 불법(?) 혹은 약관위반 정도 될 겁니다.
실제로 일반 차량들이... 경차에 등록된 하이패스를 가지고 다닌다면 요금을 반밖에 안내니까요
뭐... 정상적인 절차는 아니더라도 안 걸리면 누가 알겠습니까 ㅋ
실제로 일반 차량들이... 경차에 등록된 하이패스를 가지고 다닌다면 요금을 반밖에 안내니까요
뭐... 정상적인 절차는 아니더라도 안 걸리면 누가 알겠습니까 ㅋ
2009.01.02 13:17:54 (*.251.5.1)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9/08/2008090800077.html
(전략)
이에 대해 도로공사는 "차 크기에 따라 1~6종으로 나뉜 요금 징수액이 다른데, 대·중형차가 경차용 하이패스를 다는 등 부정 사용을 할 가능성이 있어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어차피 한 번 판 뒤 실제 해당 차량에 부착하는지까지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별 의미가 없다. 더구나 하이패스 차로에는 이 같은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하이패스에 입력된 차종 정보와 실제 차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장치가 있다. 두 정보가 같지 않으면 차단기가 올라가지 않는다.
이 기사에(대부분은 개인정보 유출 혹은 감시에 대한 내용입니다만) 이런 내용이 있네요.
(전략)
이에 대해 도로공사는 "차 크기에 따라 1~6종으로 나뉜 요금 징수액이 다른데, 대·중형차가 경차용 하이패스를 다는 등 부정 사용을 할 가능성이 있어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어차피 한 번 판 뒤 실제 해당 차량에 부착하는지까지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별 의미가 없다. 더구나 하이패스 차로에는 이 같은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하이패스에 입력된 차종 정보와 실제 차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장치가 있다. 두 정보가 같지 않으면 차단기가 올라가지 않는다.
(후략)
찜찜하군요. ^^ 기사 내용의 문장 연결이 좀 이상해서 정확한 이해가 쉽지는 않습니다만.
2009.01.02 15:23:36 (*.94.1.38)
저도 그렇게 쓰는데 이상없습니다.. 스타렉스에서 소형차까지 같은 요금체계여서 돌아가며 사용하구요... 가끔 미인식으로 인한 에러발생시... 에러발생한 톨게이트로 전화해서 차 번호 불러주고 계좌이체 해줍니다...
예전에 쓰던 OBU가 에러가 있어서 수차례 그랬는데 A/S받은 제품은 잘되네요...^^
예전에 쓰던 OBU가 에러가 있어서 수차례 그랬는데 A/S받은 제품은 잘되네요...^^
2009.01.03 04:48:32 (*.19.149.177)
같은 형식의 차종이라면 일단 전혀 문제없습니다. 경차 소형 대형 이렇게 말이죠. 한 번은 경차에 소형차용으로 통과를 했는데 에러가 뜨면서 경고음이 울리고 차단장치가 올라가지 않더군요. 돈을 더내는 소형차용인데도 말이죠. 결국 직원이 와서 정산하고 갔지만 아무런 제지도 하지 않았습니다. 소형차용인데 경차에 썼으니 당연이 등록된 차량이 아니란 것을 알았을텐데도 말이죠.
대형차용으로 소형차에 달고 다니는 사람도 없겠지만 소형차용으로 경차에 달아도 문제가 생깁니다. 통과시에 차량 길이를 인식해서 차종을 구분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죠. 차종만 같으면 아무 문제없고 걸려도 정산하면 된다가 정답이 아닐까 합니다. 그런데 차단장치가 없는 곳에서는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네요. 아마 나중에 불법 통과차량으로 과태료가 붙은 금액이 날아오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대형차용으로 소형차에 달고 다니는 사람도 없겠지만 소형차용으로 경차에 달아도 문제가 생깁니다. 통과시에 차량 길이를 인식해서 차종을 구분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죠. 차종만 같으면 아무 문제없고 걸려도 정산하면 된다가 정답이 아닐까 합니다. 그런데 차단장치가 없는 곳에서는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네요. 아마 나중에 불법 통과차량으로 과태료가 붙은 금액이 날아오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2009.01.04 15:58:34 (*.175.15.111)
여러분들 답변 감사드립니다^^
참고로 기명식카드(타 차종등록되어있음), 무기명식카드 섞어서 사용해봐도
아무 이상 없이 잘 되었습니다^^
참고로 기명식카드(타 차종등록되어있음), 무기명식카드 섞어서 사용해봐도
아무 이상 없이 잘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