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이동규입니다.
95년식 초기형 오토 마르샤를 타고 있습니다. 주행거리는 19만km 가량 됩니다.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 조언을 얻고자 질문 올립니다.
1. 압축 압력
2년 전쯤부터 엔진 오일을 먹기 시작했습니다. 요즘은 한달 반정도의 일상 주행(시내위주) 후 엔진 오일 1리터를
보충해야 할 정도로 오일을 많이 먹습니다. 밸브 가이드 고무의 상태가 좋지 않아 오일을 먹는 다는 진단은 이미
오래 전에 받아 두었습니다. 단순 이동용으로만 사용하는 차인데, 왠만한 카센터를 방문하여 문의드려도 그냥 오
일 보충이나 하면서 타라고 해서 그냥 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오일 먹는 양이 너무 많아 졌고 출력이
많이 안좋아졌습니다. 저, 중, 고 RPM 토크 모두 예전에 비해 현저히 떨어졌으며 당연히 연비도 개차반으로 나옵
니다. 앞으로 3,4 년은 더 타야 하는 차라 손을 쓰는게 이득일 것 같아 문의 드립니다.
제 생각에 밸브 가이드 고무 등의 파손으로 실린더의 기밀성이 나빠져 실린더의 압축 압력이 떨어진 것이 아닐
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실효 압축비의 저하 말고는 전 회전 영역대에서의 토크 저하를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밸
브 가이드 고무의 파손으로 인한 압축 압력 저하로 인해 엔진의 토크가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떨어지는 것이 가
능 할까요?
2. TCU
오토 미션은 얼마전에 A급 재생 미션으로 교체한 상황입니다. 엔진 출력 저하와 더불어 미션의 변속 로직이 너
무 꺼벙해졌습니다. 대략 100km/h 이하의 낮은 속력대 에서는 평지, 언덕, 악셀량과 상관없이 락업이 엄청 나게
빨리 붙어버립니다. 평지에서야 괜찮지만 언덕에서는 매우 짜증납니다. 악셀을 뗸 후 다시 밟아 4단을 연결 시
켜도 1,2초 후 바로 락업을 붙여버립니다. 페달을 깊숙히 밟아 킥다운을 시도하면 3단으로 변속 되었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4단, 락업을 붙여버립니다. 그리고 100km/h보다 빠르게 달릴 때에는 악셀을 아주 살살 밟아도 락업
이 잘 붙지 않습니다. 락업이 걸리더라도 금새 풀렸다 놨다 썡 쇼를 합니다.
즉, TCU가 연비를 매우 떨어뜨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미션을 교체하기 전부터 이런 증상이 있었는데 점점 심해
지고 있습니다. TCU는 프로그래밍 된 대로 변속 로직을 제어하는 것 아닌지요?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
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95년식 초기형 오토 마르샤를 타고 있습니다. 주행거리는 19만km 가량 됩니다.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 조언을 얻고자 질문 올립니다.
1. 압축 압력
2년 전쯤부터 엔진 오일을 먹기 시작했습니다. 요즘은 한달 반정도의 일상 주행(시내위주) 후 엔진 오일 1리터를
보충해야 할 정도로 오일을 많이 먹습니다. 밸브 가이드 고무의 상태가 좋지 않아 오일을 먹는 다는 진단은 이미
오래 전에 받아 두었습니다. 단순 이동용으로만 사용하는 차인데, 왠만한 카센터를 방문하여 문의드려도 그냥 오
일 보충이나 하면서 타라고 해서 그냥 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오일 먹는 양이 너무 많아 졌고 출력이
많이 안좋아졌습니다. 저, 중, 고 RPM 토크 모두 예전에 비해 현저히 떨어졌으며 당연히 연비도 개차반으로 나옵
니다. 앞으로 3,4 년은 더 타야 하는 차라 손을 쓰는게 이득일 것 같아 문의 드립니다.
제 생각에 밸브 가이드 고무 등의 파손으로 실린더의 기밀성이 나빠져 실린더의 압축 압력이 떨어진 것이 아닐
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실효 압축비의 저하 말고는 전 회전 영역대에서의 토크 저하를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 밸
브 가이드 고무의 파손으로 인한 압축 압력 저하로 인해 엔진의 토크가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떨어지는 것이 가
능 할까요?
2. TCU
오토 미션은 얼마전에 A급 재생 미션으로 교체한 상황입니다. 엔진 출력 저하와 더불어 미션의 변속 로직이 너
무 꺼벙해졌습니다. 대략 100km/h 이하의 낮은 속력대 에서는 평지, 언덕, 악셀량과 상관없이 락업이 엄청 나게
빨리 붙어버립니다. 평지에서야 괜찮지만 언덕에서는 매우 짜증납니다. 악셀을 뗸 후 다시 밟아 4단을 연결 시
켜도 1,2초 후 바로 락업을 붙여버립니다. 페달을 깊숙히 밟아 킥다운을 시도하면 3단으로 변속 되었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4단, 락업을 붙여버립니다. 그리고 100km/h보다 빠르게 달릴 때에는 악셀을 아주 살살 밟아도 락업
이 잘 붙지 않습니다. 락업이 걸리더라도 금새 풀렸다 놨다 썡 쇼를 합니다.
즉, TCU가 연비를 매우 떨어뜨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미션을 교체하기 전부터 이런 증상이 있었는데 점점 심해
지고 있습니다. TCU는 프로그래밍 된 대로 변속 로직을 제어하는 것 아닌지요?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
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09.01.02 13:35:42 (*.32.114.167)

피스톤 링의 파손이 출력 저하의 원인이면 들어갈 돈이 커지므로 밸브 가이드 고무가 원인이길 바랬는데 피스톤 링의 파손도 생각해 봐야 겠습니다. ㅠㅠ
2009.01.02 14:37:37 (*.254.218.61)

고수분들의 답변이 나오기 전이지만..
그정도의 출력 저하라면..
저도 밸브 가이드 고무 보다는 피스톤 링을 의심해야 하지 않을까...생각을 해봤습니다.
크레도스나 쏘나타3 정도의 90년대 오토 차종의 변속기 상태는,
엔진 출력과 연관성이 많은 것 같습니다. 엔진 출력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상태에서..
특히 오르막길 쌩쇼~를 몇번 겪어 봤습니다.
변속기 로직이 어떤 변수를 통해서 변속을 하는지 정확한 정보가 없어서 말씀 드릴 순 없으나, 그 당시에는 rpm이 꽤 큰 변수인 것 같구요. 출력이 떨어지는 상태에서.. 로직이 메롱~ 상태를 자주 보였습니다. LPG역화 상태일때도 변속기가 문제라고 생각하고 수리를 시도하였으나.. 5년이 지난 지금에도.. 그 차량의 엔진 상태가 좋아진 이후에..미션 문제없이 타고 있습니다.
엔진부터 손 보신후에.. 미션을 확인해 보시는 게 어떨까 싶습니다.^^ 잘 고쳐지길 바랍니다.^^
그정도의 출력 저하라면..
저도 밸브 가이드 고무 보다는 피스톤 링을 의심해야 하지 않을까...생각을 해봤습니다.
크레도스나 쏘나타3 정도의 90년대 오토 차종의 변속기 상태는,
엔진 출력과 연관성이 많은 것 같습니다. 엔진 출력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상태에서..
특히 오르막길 쌩쇼~를 몇번 겪어 봤습니다.
변속기 로직이 어떤 변수를 통해서 변속을 하는지 정확한 정보가 없어서 말씀 드릴 순 없으나, 그 당시에는 rpm이 꽤 큰 변수인 것 같구요. 출력이 떨어지는 상태에서.. 로직이 메롱~ 상태를 자주 보였습니다. LPG역화 상태일때도 변속기가 문제라고 생각하고 수리를 시도하였으나.. 5년이 지난 지금에도.. 그 차량의 엔진 상태가 좋아진 이후에..미션 문제없이 타고 있습니다.
엔진부터 손 보신후에.. 미션을 확인해 보시는 게 어떨까 싶습니다.^^ 잘 고쳐지길 바랍니다.^^
2009.01.02 16:51:44 (*.133.99.200)

일단 엔진쪽의 원인분석부터 필요하다고 봅니다. 우선 오일 먹는 증상이 밸브가이드고무인지 피스톤링인지는 일단 정상온도에 올라갔을 때 오일주입구 캡을 열어서 연기가 나온다면 피스톤링일 가능성이 높고 머플러쪽으로만 연기가 나온다면 밸브가이드고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압축압력을 측정하면서 블로우바이개스가 나오는 지도 점검해야겠죠. 압축압력 측정하면서 습식으로 했는데 차이가 없다면 밸브나 헤드쪽을 의심해야되고 차이가 있다면 피스톤링이 문제입니다.
만약 피스톤링이 문제라면 차가격 이상 나올 가능성이 높으니 다른 차로 교체하는 것이 좋겠네요^^
만약 피스톤링이 문제라면 차가격 이상 나올 가능성이 높으니 다른 차로 교체하는 것이 좋겠네요^^
2009.01.04 21:46:49 (*.50.3.95)

더 탈거라면...엔진은 벨브가이드 교체라는든지 이것보다는 전체적인 오버홀을 권해 드립니다.
이미 피스톤링이랑든지, 메탈베어링, 헤드등 상태가 좋치 않을꺼라 생각 됩니다.
또한 인젝터등도 문제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스캐너를 이용 전반적인 점검을 하고, 자동변속기는 TCU쪽 교체를 해보면 어떨가 싶네요.
미션이 정상이라는 가정하에..말이죠...
이미 피스톤링이랑든지, 메탈베어링, 헤드등 상태가 좋치 않을꺼라 생각 됩니다.
또한 인젝터등도 문제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스캐너를 이용 전반적인 점검을 하고, 자동변속기는 TCU쪽 교체를 해보면 어떨가 싶네요.
미션이 정상이라는 가정하에..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