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안녕하세요,
E92 M3와 처음 맞는 겨울입니다. 그간 다른 오너들의 경험기를 통해 M3로 겨울나는 것에
대해 워낙 좋은 리뷰가 많아 별달리 걱정은 하지 않고 있었는데 역시 별 불편없이 재미나게
겨울을 나고 있습니다.
처음 겨울용 휠을 찾을 때 (18인치) 스펙에 맞는 제 입맛에 맞는 휠을 찾아 장착해보았으나
전륜의 거대한 캘리퍼때문에 휠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아 어쩔 수 없이 BMW에서 M3 전용으로
내놓은 휠을 중고로 찾아 끼웠습니다. 타이어는 Bridgestone Blizzak 235/40/18 스퀘어 셋업으로
설치했습니다. 뒷 타이어를 좀더 광폭으로 가져가는 윈터 셋업도 있으나 전 장거리를 주로 다니기
때문에 스노우 그립에 최우선한 스퀘어 셋업을 선택했습니다.
M3는 제설차들이 바로바로 눈을 치워주는 고속도로에서는 거의 불안정을 못느낄 정도로
크루즈 할 수 있습니다. 눈이 쌓이면 천천히 달리는 것도 있지만 차량의 트랙션 컨트롤과
LSD가 크게 도움이 되는듯 싶습니다.
이 사진은 지난달에 기록적인 폭설이 왔을때 고속도로 위에서 찍은것인데, 제설차가 눈내리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길 위에 그냥 눈이 쌓였던 날이었습니다. 이정도 눈길 위에서도 주의하며 가속하면
후륜이 비틀거리지도 않을정도로 정말 안정적으로 나아가더군요. 이 날 이후로 M3의 눈길 주파능력에
굉장한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눈 오는 고속도로야 재미가 뻔하기 때문에 가끔 이런 숲속으로도 들어가보곤 합니다.
설원에도 가보고
헛간이 멋져서 같이 한 컷.
날씨가 추워서 밖에 잘 안나가지게 되다보니 미뤄왔던 내외부 관리를 조금 했습니다. 본격적인 추위가 오기
전에 차를 전체 폴리싱 한번 해줘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너무 대작업이라 미루고 미루다 겨울 오기
직전에나 하게 되었습니다. 2009년식이니 클리어 코트 정리를 한번도 안했다면 한번 할때가 되기도 했지요.
언제나 그렇듯이 클레이바부터... 사진이 이상하게 나와서 타르가 꼭 녹색같이 나왔네요.
커팅패드와 폴리싱 약품을 이거저거 테스트해 제 차 클리어코트 경도에 맞는 조합을 한참 찾았습니다.
BMW 클리어코트가 단단하더니 정말 그렇더군요. 사진에 나온 Swirl X로는 어림도 없었습니다.
후드 중간에 마스킹테이프 붙여놓고 약품과 패드 조합이 잘 드나 시험해봅니다. 괜찮은것 같네요.
저 엄청난 스월들을 보니 미는 맛이 납니다. 거의 이틀동안 8시간을 작업했습니다.
비포 애프터 차이를 보니 작업해논 보람이 있네요. 외장관리는 이만하면 끝난것 같아 실내관리도
넘어가 봅니다. 제 차의 실내는 대부분 양호한데 운전석 시트 볼스터가 까져있어 영 마음에 걸렸습니다.
사진에서 보이는것처럼 사이드 볼스터와 시트 아랫부분 바깥쪽이 점점 까지기 시작했습니다.
DIY를 좋아하는 성격이라 이것도 혼자 해볼까 했으나 가죽작업은 혼자 해본적도 없고 페인트
조색이 자신이 없어 그냥 프로에게 맡겼습니다.
거친 곳을 샌딩해내고 수성페인트로 재도색...
일단은 잘 나온것 같네요.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한달 전에 작업한 것인데, 시간이 지나자 작업의
마무리에 미흡함이 나타나 조만간 다시 찾아갈 생각입니다.
연말 분위기 나는 동네 딜러십 찾아가 사진도 한장 찍고..
어느 안개 자욱하던 가을에 찍은 사진들로 글을 마무리 할까 합니다.
- 1.JPG (364.9KB)(6)
- 2.jpg (160.3KB)(6)
- 3.jpg (568.5KB)(7)
- 4.jpg (200.9KB)(6)
- 5.jpg (528.0KB)(5)
- IMG_7442.JPG (366.9KB)(6)
- IMG_7452.JPG (386.5KB)(4)
- IMG_7471.JPG (260.5KB)(5)
- IMG_7482.JPG (197.2KB)(4)
- IMG_7485.JPG (224.3KB)(4)
- IMG_7487.JPG (257.8KB)(4)
- IMG_7517.JPG (278.1KB)(5)
- IMG_7529.JPG (136.8KB)(5)
- IMG_7575.JPG (200.4KB)(4)
- IMG_7624.JPG (540.4KB)(4)
- IMG_7632.JPG (208.0KB)(5)
- IMG_7972.JPG (192.3KB)(5)
- IMG_7977.JPG (235.5KB)(5)
- IMG_7978.JPG (357.2KB)(5)

유지비는 차량별로, 그리고 오너의 마음가짐별로 천차만별인듯 합니다.
저는 오일류와 스파크 플러그 등 1차 소모품은 제때 가는 편이고, 부싱류 등의
부품들은 이상이 느껴지면 그때 교체합니다. 과잉정비는 지양하는 편이라
아직은 그다지 비용이 들지 않았습니다.
보험료는 한국과 미국의 직접 비교는 의미가 없으니 패스하고 연비는 고속도로와
국도 복합으로 리터당 8km 정도 찍습니다. 아무래도 제가 사는 지역은 교통정체가
거의 없기 때문에 연비가 더 잘 나오는것도 있겠습니다.
부품비용은 아무래도 M3인만큼 비쌉니다. 작년에 브레이크 앞뒤 패드와 로터 전부
교체하는데 파트값만 거의 미화로 $1,500 들었습니다.

멋진 사진들 잘 봤습니다, 270m wheel + blizzak도 겨울용으론 최고인것 같네요
(피츠버그 주위이신것 같은데 한겨울에 언덕 많은 CMU근처 길에서 개고생을 했던 옛 기억이...ㅋ)
저도 지난주 처음으로 제대로 디테일을 했는데, polish,wax,paint core/ceramic pro, sealant이것저것 했는데 연식이 있다보니 찍힌부분도 많고 지워지지 않는 스크래치도 있더라구요, 그래도 확실히 달라진 모습을 보니 기분은 100%!
Novillo leather repair는 보통 어디서 하시나요? 저도 side bolster는 상태가 비슷한거 같은데, 디테일러 말로는 sand+paint할수는 있지만 금방 또 색깔이 없어질것 같다고 해서....bolster repair 가격도 어느정도 하는지 궁금하네요

피츠버그 주위 맞습니다! 이곳은 인구수가 많지 않아서 그런지 독일차를 아예 안보려는 샵들도
많고 어쩌다 BMW 잘보는걸로 유명한 샵들 가면 지나치게 비싼 공임을 요구하거나 불친절해서
기분만 상한 기억이 있습니다. 대신에 토론토를 자주 가기 때문에 웬만하면 토론토 지역에서
수리하는 편입니다.
대도시라 갈만한 샵들도 많고 가격도 좀더 상식적입니다. 사진에 나온 사이드 볼스터와 시트
아래쪽 바깥부분 고치는덴 캐나다 달러로 $250 정도 들었습니다. 요새 환율이면 미화로는
약 $200 정도겠네요.
마지막 사진은 예술이네요..
정비의 압박에서 벗어나고자 28을 운용중인데
요즘따라 출력도 너무 부족하고 m3가 떙기네요...
사진 멋집네요
제 matt paint e92 차량은 겨울이라 잠만자고 있네요
한가지 질문 드려도 될까요. 부싱 중 너클에 연결 되는 부분만을
교환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한국에서는 너클 부싱만 교환하는 것을 해 주는
곳이 없어서 질문 드려봅니다

92엠삼이 입양을 계속 생각하던 중이엇는데
우연치안게 이글을 보게되엇습니다.
오랜 흔들림을 결정하엿습니다.
맘에드는 상태의 녀석이 잇으면 수개월내로 데려오기로 마음 먹엇습니다ㅎㅎ.
여담입니다만 제설차가 혹시 염화칼슘은 안뿌리는지요? 만약 그렇다면, 하부 관리를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경치도.. 차량도.. 멋집니다.
입벌린 채로 보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