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좀 엉뚱한 질문일지도 모르겠지만, 배터리 교환할 때 올바른 방법이라고 알고있고,
또 설명서에도 명시되어 있는 방법은 시동을 OFF하고, 키도 뽑고 -단자, +단자 순서로 탈거하는 것입니다.
근데 시동을 OFF하지 않고 공회전 상태에서 -단자, +단자 순서로(물론 접촉이 일어나지 않게 주의하면서) 탈거해서 교환하는것을 본적이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시계나 오디오 세팅 등이 변하지 않아서 위험성이나, 또 순간적으로 발생할지 모르는 전자장비의 충격?!같은것만 없다고 한다면 이 방법이 좋을것 같은데...
실제로 여러분들도 이렇게 교환 하시나요?...
또 설명서에도 명시되어 있는 방법은 시동을 OFF하고, 키도 뽑고 -단자, +단자 순서로 탈거하는 것입니다.
근데 시동을 OFF하지 않고 공회전 상태에서 -단자, +단자 순서로(물론 접촉이 일어나지 않게 주의하면서) 탈거해서 교환하는것을 본적이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시계나 오디오 세팅 등이 변하지 않아서 위험성이나, 또 순간적으로 발생할지 모르는 전자장비의 충격?!같은것만 없다고 한다면 이 방법이 좋을것 같은데...
실제로 여러분들도 이렇게 교환 하시나요?...
2009.01.03 09:35:36 (*.133.138.48)

위의 방법으로 해도 재수없으면 ECU라든지 TCU가 나가기도 합니다. (만에 하나.. T-T)
만에 하나까지 방지하기 위해 메인 휴즈를 뽑고 작업하기도 하더군요
만에 하나까지 방지하기 위해 메인 휴즈를 뽑고 작업하기도 하더군요
2009.01.03 14:03:17 (*.163.25.85)

전 밑에 방법으로 100회이상 교환!! 별다른 셑팅 다시해줄 필요도 없고 신속한 작업. 휴즈까지 뽑는곳은 좀 오바인듯~
2009.01.03 16:56:23 (*.124.129.104)
저도 많이 봤습니다.. 시동걸린상태에서 작업.......
렌트카 이동정비하는 차량들이 많이 쓰더군요.. 그래야 고객차에 불편을 안준다고...ㅎㅎ
별이상은 사실 없답니다.....
렌트카 이동정비하는 차량들이 많이 쓰더군요.. 그래야 고객차에 불편을 안준다고...ㅎㅎ
별이상은 사실 없답니다.....
2009.01.04 00:18:05 (*.212.28.227)
여기서도 반반 이네요.. 자동차는 알면 알수록 복잡해지면서 재밌는것 같습니다.ㅎㅎ
속사정을 잘 모르니 정확한 데이터를 필요로 하게되고..... 경험에 의하면 저도 아래 방법도 문제없다고 생각됩니다.^^
속사정을 잘 모르니 정확한 데이터를 필요로 하게되고..... 경험에 의하면 저도 아래 방법도 문제없다고 생각됩니다.^^
2009.01.04 13:44:56 (*.46.156.131)
배터리로 쇼크가 올 가능성은 별로 없습니다. 문제가 되는건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류가 '교환하는 작업자'에게 충격을 주는거죠........;;;;;
그것만 주의하면 별 상관없습니다.
그것만 주의하면 별 상관없습니다.
그냥 FM대로 안전하게 하시는 것이 좋지않을까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