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갑자기 궁금점이 생겨서 글 올립니다
예전 키 돌려서 시동시에는 웬지 알피엠이 다시 떨어질때까지
(5~10초?)기다리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요
요즘처럼 버튼 시동시에는 알피엠이 다떨어지기도 전에
(2~3초)
출발할때가 있습니다
이래도 무리 없을까요?
급가속 까지는 아니고 일반적으로 천천히 출발하는정도일때 기준입니다
감사합니다^^
약간 수정했습니다
2017.01.16 22:45:12 (*.223.39.222)
한국은 따뜻해서 이런 것을 보기 힘들지만, 겨울에 시동 이렇게 걸고 다니는 지역도 있습니다.
이런 곳에선 엔진오일이 이렇게 흐릅니다.
저런 곳에서도 수 년, 수 만km 보증을 해주는 것이 자동차입니다.
2017.01.16 23:09:40 (*.40.111.128)
엔진 냉간시에 RPM이 올라가는건 환경규제를 맞추기위한 목적이 더 큽니다. 시동걸고 안전벨트 매는 2~30초면 오일은 충분히 순환됩니다.
2017.01.17 03:09:10 (*.164.130.122)
시동걸자마자 알피엠이 치솟는건 엔진이 비정상컨디션이라서가 아니라, 촉매가 활성화되는 온도로 재빨리 올려서 배기가스저감할려는게 목적입니다. 정말로 워밍업을 해주고 싶으시다면, 침대에 누워서 숨쉬기 운동만 하다가 갑자기 달려나가기보다는, 집주위 도로를 저속으로 서서히 돌아다니다가 메인도로로 가주시는게 좋습니다.
2017.01.17 09:10:34 (*.237.79.18)

가솔린, 디젤 두 대의 차량이 있는데 가솔린은 20~30초 정도 예열 후 눈금 한두 칸 떨어졌을 때 출발하고 디젤은 바로 출발하는데 초반에 저속으로 운행합니다. 시동 걸자마자 급 출발만 아니라면 큰 문제 없다는 생각입니다.
2017.01.18 21:18:46 (*.39.188.47)

저희 친조부께서 109세에 돌아가셨고 돌아가실때까지 heavy smoker 셨습니다. 입버릇처럼 말씀하셨죠. 담배이렇게많이 피우는데 아무상관없다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게 탑니다. 자동차를 만들때 별의별 상황을 다 생각하고 만들기 때문에 일상적인 조건에선 왠만해선 문제 생길 소지가 거의 없다고 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