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초보가 여쭤볼께 있습니다
싼타페DM차량에 지금 보강킷이 달려있고 GRBS블루가 장착되어있습니다..
차고가 좀 낮은편인데 소음과 고속구간 요철에서 차가 붕뜨는 문제로 인해
순정에 근접하게끔 차고를 원상복귀 시키던가 다른 외산 서스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당장 고민은 차고가 올라감과 동시에 롤이 생길텐데요..
그래서 네오X크사의 스테빌라이져 앞뒤로 장착할까 생각중인데요
많이 검색해보니 차량 메이커의 셋팅을 건드리면 어떠한 세팅으로 바뀔지 모른다
멀티링크를 토션빔화 너무 단단해져 한방에 날라갈 수 있다 한계치를 알기 어렵다
안좋은 의견이 너무나도 많은데 이게 국산 제조사라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제가 쓸대없는 돈낭비 생각을 가지고 있는건가요?
펀드라이빙 하고픈데 빌스타인 종발이(b6)+아이박 프로킷+ 네오X크스테빌,
빌스타인 btc스포츠+순정 스테빌 어느것이 현명할까요?

국산이나 외산이나^^;;;
스테빌이 특별한 기술력이 들어가는 부품은 아니라서 별 차이 없을겁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글을 읽어보니 이건 스테빌문제가 아니라 쇽 셋팅 문제인듯 합니다.
스테빌은 코너에서 큰 효과를 발휘하지, 직진에서 글쎄요..
차고가 붕 뜨는문제는 스트로크 부족과 너무 단단한 스프링 조합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통 차고를 끝까지 낮추면서 타이어가 차체에 닿지 않게 하려다보니 쌘 스프링을 쓰는데, 그러면 턱을 받는 순간 차가 나르죠. 스프링레이트를 내리고 차고만 높힌다면 별 문제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스테빌 단다 = 차가 더 단단해짐 = 반응성이 날카로워짐(신경질 적이게 됨)
스프링을 단단한거 쓴다 = 차가 더 딱딱해짐 = 반응성은 상승하나 이로인해 승차감 저하
결론적으로 차고도 내리는데 부드럽고 싶다면 다운스프링인데, 전 비추하구요.
그 다음방법이 차고를 내리면서 조금 단단해지는 건데, 디그레시브 성향의 일체형 서스를 써야합니다.
제가 오너님이라면 중고장터에서 네오테크 엔서나 그와 상응하는 구조를 가진 디그레시브 서스를 구하겠습니다.
아니면, 돈안쓰고 차고 좀 더 올려서 타겠습니다.... ㅎㅎㅎ
예로 해놓으신 빌스테인 btc는 규진님이 원하시는 성능을 바라긴 어려우실 겁니다.
음 같은 SUV오너인지라 반갑네요
저는 일체형을 장착하면서 모든 보강킷은 탈거를 하였습니다.
서킷주행만이면 모르겠지만, 일반 공도주행과 병행하게 된다면 강성이 너무 단단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나더군요
스테빌라이져는
아반떼 스포츠 모델에 순정보다 조금큰 (어느제품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스테빌라이져를 장착한 차량을 타본적이있는데
분명 이전에 탔을때에는 순정순정해서 부드러웠지만, 스테빌라이져만 바꿨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차량이
탄탄(?)해 지더군요 일체형을 장착한 느낌?
그렇지만 애초에 저희차량은 상당히 높은 차량이기때문에
저라면 규진님 조건에 맞춘다면 다운에 스테빌만 튜닝할거같습니다.
지금 제 차는 스테빌이 뭔가 부실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거든요
물론 지금 새로 제작중인 제 다음차량도 스테빌이며 일체형 + 스테빌을 할예정입니다.
이게..사람운전스타일에 좌우되는 부분이 1차적으로 있지요.
자신에게 맞는 셋팅을 알기 위해서는 다 해보셔야 합니다.
제 개인적인 소견으로는..SUV로 펀 드라이빙(글의 내용으로 보아 코너?)를 타시려면
일단 차쳬무계만큼의 강성을 잡아주셔야되는데 일체형의 경우 고속구간 붕뜨는현상은
비싼걸 쓰지 않는 이상..국산쇼바는 비슷하지 않을까 싶고..소음은 포기하시는게 맞습니다. 일체형에
슬릭타이어 쓰기 시작하면 소음이 안생길수가 없으니까요.
AGX쇼바+스테빌 조합도 금전적으로 여유가 있다면 괜찮을성 싶고..
전 소음이랑 펀드라이브 다 잡고 싶으시다면 빌스박+스테빌+강화부싱+스트럿
이런 조합은 어떨까 싶습니다.
순정스테빌은 펀드라이빙이라는 간판을 달기에는 좀 애매하지 싶습니다.
p.s 제 펀드라이빙 기준에서 말씀드리는거라..개인의 펀드라이브 영역에 따라 다르지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