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http://www.stoptech.com/tech_info/wp_bedincontents.shtml
여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이때까지는 그냥 살살 로터와 패드의 새살이 어느 정도 깎여나갈때까지 타면 된다고 알고 있었는데 완/전/히/ 잘못 알고 있었더군요.
위 링크에 든 내용을 최대한 압축요약하면 이렇습니다.
(1) 100km/h -> 15km/h 감속 10회 반복: 이 때 임계제동의 80-90% 정도 감속도로 합니다. 중간에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로 멈춰서도 안되고 페이드가 난다고 중단해도 안됩니다. 목적은 최대한 브레이크시스템의 온도를 끌어올리기 위함입니다.
(2) 정차하지 않고 주변환경이 허용하는 한 가능한 빠른 속도로 주행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을 식힙니다.
(3) (1), (2)를 1회 더 반복합니다.
이는 일반도로주행 목적의 패드에 적합한 내용이고, 레이스 패드는 좀 더 고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1) 직후에 130->15 제동을 4회 더 반복하도록 지시하고 있습니다.
이론은 위 링크에 복잡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제동력의 근원에 대한 고찰과 함께 왜 이런 형태로 길들이기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네요. 스탑텍 사이트의 기술정보 중에는 Carroll Smith 씨가 쓴 글도 있더군요.
참고되셨으면 합니다. 솔직히 긴가민가 합니다만, 한번 해볼까 하고 있습니다. ^^
여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이때까지는 그냥 살살 로터와 패드의 새살이 어느 정도 깎여나갈때까지 타면 된다고 알고 있었는데 완/전/히/ 잘못 알고 있었더군요.
위 링크에 든 내용을 최대한 압축요약하면 이렇습니다.
(1) 100km/h -> 15km/h 감속 10회 반복: 이 때 임계제동의 80-90% 정도 감속도로 합니다. 중간에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로 멈춰서도 안되고 페이드가 난다고 중단해도 안됩니다. 목적은 최대한 브레이크시스템의 온도를 끌어올리기 위함입니다.
(2) 정차하지 않고 주변환경이 허용하는 한 가능한 빠른 속도로 주행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을 식힙니다.
(3) (1), (2)를 1회 더 반복합니다.
이는 일반도로주행 목적의 패드에 적합한 내용이고, 레이스 패드는 좀 더 고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1) 직후에 130->15 제동을 4회 더 반복하도록 지시하고 있습니다.
이론은 위 링크에 복잡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제동력의 근원에 대한 고찰과 함께 왜 이런 형태로 길들이기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네요. 스탑텍 사이트의 기술정보 중에는 Carroll Smith 씨가 쓴 글도 있더군요.
참고되셨으면 합니다. 솔직히 긴가민가 합니다만, 한번 해볼까 하고 있습니다. ^^
2009.01.07 19:58:36 (*.145.28.61)

매뉴얼대로 할 수 있는 곳을 어쩐지 찾기가 어려워서, 저 같은 경우 관련 파츠를 교환하고 산길에서 내리막-오르막을 몇 번 반복하곤 했었습니다. 내리막은 빠른 흐름으로, 오르막에서는 브레이크 식혔습니다. 결과적으로, 길들이기를 하지 않았을 때보다 저더에 강하고 마모도 조금 나은 것 같습니다. 로터의 빛깔도 마음에 들구요. ^^
2009.01.07 20:06:30 (*.22.116.168)
스탑텍장착하고 메뉴얼대로 시행해본 결과 특별히 별 다른점은 없었습니다. 빨리 제 성능을 발휘하도록하는 과정이라고 봅니다.
신나게 길들이고 교차로에 서있는데..다들 쳐다보는...
이유는 브레이크에서 김이 모락모락나더라구요..방청제가 증발하는 중이었나봅니다.
신나게 길들이고 교차로에 서있는데..다들 쳐다보는...
이유는 브레이크에서 김이 모락모락나더라구요..방청제가 증발하는 중이었나봅니다.
2009.01.07 21:39:49 (*.152.207.117)

저도 김선동님 통해서 브레이크 사선/타공 가공했을때..
그때 설명해 주셔서 알았습니다.^^ (브렘보 메뉴얼에도 그렇게 되어 있다고 하시더군요..^^)
저는 안타깝게도.. 고속도로로 오다 보니..충분히 실행할 곳이 없어서..
집에 다와서 몇차례 시행하였습니다만...
신호의 압박으로 15km/h가 아니라.. 멈추는 상황도 몇차례 발생해 버렸지요.
지금 생각하면.. 사이드 땡기거나..파킹에 놓고.. 있었으면 더 좋았을텐데 하네요.^^
그때 설명해 주셔서 알았습니다.^^ (브렘보 메뉴얼에도 그렇게 되어 있다고 하시더군요..^^)
저는 안타깝게도.. 고속도로로 오다 보니..충분히 실행할 곳이 없어서..
집에 다와서 몇차례 시행하였습니다만...
신호의 압박으로 15km/h가 아니라.. 멈추는 상황도 몇차례 발생해 버렸지요.
지금 생각하면.. 사이드 땡기거나..파킹에 놓고.. 있었으면 더 좋았을텐데 하네요.^^
2009.01.07 22:38:12 (*.214.96.64)

일반 스트리트 타입 패드는 굳이 이렇게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괜히 더 위험 할수 도 있기에...
신품 로터를 장착 하시고 신품 패드를 장착한다면
로터 표면을 파츠 크리너로 깨끗히 딱아 주십시오
파츠크리너가 없으면 퐁퐁같은 세척제로 거품 내어 딱아주십시오 물론 물로 꺠끗히 씻어 내야죠
신품 패드의 경우 빨리 자리를 잡으려면
역시 강한 제동을 해주어야 합니다
역시 야간 고속도로가 좋습니다만 일반 스트리트 급이라면 패드자체가 무른 편이기에 금방 자리 잡습니다
굳이 비싼 기름 날려가며 고속도로 안가셔도 됩니다
그리고 스포츠 타입이면 고온으로 열 낸뒤 다시 샵에서 에어 작업 한번 해주십시오
그래야 제대로 제동력이 살아오릅니다
저는 이부분을 철저히 하는 편입니다
꼭 에어작업을 한번 해주십시오
일반 스트리트급 패드를 사용하시는분도 6개월에 한번씩 에어 작업만 해주셔도 더치감및 바이트감이 좋아 집니다

태백레이싱 파크 주행후 디스크 표면온도 체크하면 약 280정도(센스가 느려 식은후 240)

트랙주행 전 에어작업은 좋은 습관입니다 ^^
괜히 더 위험 할수 도 있기에...
신품 로터를 장착 하시고 신품 패드를 장착한다면
로터 표면을 파츠 크리너로 깨끗히 딱아 주십시오
파츠크리너가 없으면 퐁퐁같은 세척제로 거품 내어 딱아주십시오 물론 물로 꺠끗히 씻어 내야죠
신품 패드의 경우 빨리 자리를 잡으려면
역시 강한 제동을 해주어야 합니다
역시 야간 고속도로가 좋습니다만 일반 스트리트 급이라면 패드자체가 무른 편이기에 금방 자리 잡습니다
굳이 비싼 기름 날려가며 고속도로 안가셔도 됩니다
그리고 스포츠 타입이면 고온으로 열 낸뒤 다시 샵에서 에어 작업 한번 해주십시오
그래야 제대로 제동력이 살아오릅니다
저는 이부분을 철저히 하는 편입니다
꼭 에어작업을 한번 해주십시오
일반 스트리트급 패드를 사용하시는분도 6개월에 한번씩 에어 작업만 해주셔도 더치감및 바이트감이 좋아 집니다

태백레이싱 파크 주행후 디스크 표면온도 체크하면 약 280정도(센스가 느려 식은후 240)

트랙주행 전 에어작업은 좋은 습관입니다 ^^
2009.01.08 09:54:02 (*.251.5.1)

사실 두 번에 걸쳐 저런 하드 브레이킹과 쿨다운을 하게 하는데에는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것은 링크 내용을 읽어보시면 되겠지만, 짧은 영어로 훑어본 내용은 패드와 로터 사이의 마찰력에 패드의 레진 등의 성분이 아주 얇게(마이크로미터 수준?) 디스크에 입혀져서 그 것이 마찰력을 발휘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첫번째 브레이킹 반복에서 온도를 충분히 끌어올려 레진이 패드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하고, 두 번째 셋에서 로터에 코팅하는 그런 절차라고 합니다.
문제는 이 레진이 로터에 불규칙하게 도포될 경우 로터가 휘지 않았음에도 저더가 발생할 수 있고(테크 인포의 다른 글들에 캐롤 스미스(**** to Win 시리즈의 저자)씨가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한 불규칙한 열 발생이 또 다른 문제를 불러올 수도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런 저더의 경우에 면가공으로 일시적인 효과를 볼 수는 있으나, 또다시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위 방법에서 중간에 멈춰서는 것을 절대 못하게 하는 이유는 일정하지 않게 코팅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라지요.
기본적으로 스트리트 퍼포먼스 패드에 해당되는 내용이고 레이스 대응 패드에 대해서는 온도를 '더' 끌어올리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대현님 말씀처럼 '오히려 위험할 수도 있다'는 선입견을 저도 가지고는 있습니다만, 이 정보를 알려준 미국의 튜너들은 다들 저렇게 한다는군요. -_- 그래서 여유있을때 한 번 해볼까 하고 있습니다 - 로터/패드 간지 1-2천킬로쯤 되긴 해서 큰 효과를 못볼 수도 있을 듯 합니다만.
2009.01.08 11:24:40 (*.131.231.173)

좋은 방법입니다만 특별히 주의할점은 대현님이 잘 말씀해 주셨고
한 가지 사족을 붙히자면 로터가 열받은후 충분히 쿨링 후 재시도 하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 정도의 시간 투자가 안돼고 무른 패드를 사용하시면
그저 에이징 정도의 개념으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전 캬브 크리너로 딱아 냅니다. ㅎㅎ 젤 빠르더군요 기름기 없애는데는
한 가지 사족을 붙히자면 로터가 열받은후 충분히 쿨링 후 재시도 하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 정도의 시간 투자가 안돼고 무른 패드를 사용하시면
그저 에이징 정도의 개념으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전 캬브 크리너로 딱아 냅니다. ㅎㅎ 젤 빠르더군요 기름기 없애는데는
2009.01.08 16:04:26 (*.31.72.159)

저도 항상 브레이크 패드가 바뀌거나 로터가 바뀌면 로터 표면에 패드성분을 골고루 입히는 작업을 꼭 합니다.
은근히 차이가 나더라구요..그리고 공기 빼기 작업은 거의 트랙가기전에 한번씩 꼭 해주는필수 작업이죠..이제는 좀 손에 익어서 20분이면 차 올리고 바퀴 빼고 다 끝내게 되더라는..흐흐
은근히 차이가 나더라구요..그리고 공기 빼기 작업은 거의 트랙가기전에 한번씩 꼭 해주는필수 작업이죠..이제는 좀 손에 익어서 20분이면 차 올리고 바퀴 빼고 다 끝내게 되더라는..흐흐
이후 한국에서 패드와 로터를 한번 교체하고 위의 방법으로 길을 들여보려 했으나 제 주변에는 저런 일이 가능할정도로 한가한 도로가 없더군요. 그래도 꿋꿋히 새벽 2시의 고속화도로 끝차선에서 눈치보며 비상등켜고 해봤는데, 결과는 신통치 않았던 것 같습니다. 장착 후 바로 해주지 않아서 일 수도 있고, 제 방법이 틀렸을 수도 있겠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