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규정 공기압 36psi이고 공기압 37psi로 조금 더 보충하였고 한달 후 체크하니 32psi가 나왔답니다
37psi로 보충 후 한달간 주행한 주행거리는 2500km정도 주행했는데 5psi나 떨어질 만큼의 조건인지요?
평소 주행습관이 험하진 않으며, 비포장 도로는 손에 꼽을 정도로 거의 주행한 적이 없습니다. 참고로 타이어와 차량은165 60 14사이즈 모닝입니다.
2017.02.08 01:11:34 (*.136.56.104)
전 윈터타이어 165 60 14 올뉴모닝이지만 일단 타이어 온도에 따라 변화가 꽤나 있습니다.
전 따로 tpms를 사용해서 공기압을 모니터링하는데 영상 10도 정도에서는 냉간 35, 열간 40정도이고 영하의 기온에서 눈길 주행중일 땐 31~32까지 떨어지기도 합니다.
타이어 내부 공기 온도 기준으로 주입 당시 온도와 측정할 당시 온도가 같아야 하고 또 같은 측정 장비를 사용해야 오차가 줄어들겠습니다.
그래서 전 공기압을 넣을 때 현재 기온에 따라 약간 다르게 넣습니다.
2017.02.08 10:48:43 (*.100.110.156)

온도에 따른 공기압 변화가 제법 됩니다. 전륜-후륜에도 변화의 정도가 다르구요.(로딩에 따른 온도변화 차이 등). 좌우 타이어 공기압이 차이가 날때는 문제가 있는거라 보시면 맞을듯 합니다.
2017.02.08 22:00:24 (*.62.219.87)

기온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영하 5도에서 33맞추고 영상 5도인 지역을 달리고있으면 40까지도 올라가 버립니다. 반대로 올 늦가을 영상 10도일때 35정도 맞춰놨었는데 처음 한파가 있던날 바퀴 하나는 30까지도 내려가서 급하게 조정한적이 있습니다.
말씀드린 온도중에 40도 말고는 모두 완전한 냉간시 공기압입니다.
영하 5도에서 33맞추고 영상 5도인 지역을 달리고있으면 40까지도 올라가 버립니다. 반대로 올 늦가을 영상 10도일때 35정도 맞춰놨었는데 처음 한파가 있던날 바퀴 하나는 30까지도 내려가서 급하게 조정한적이 있습니다.
말씀드린 온도중에 40도 말고는 모두 완전한 냉간시 공기압입니다.
다른 기계끼리라면 더욱 커지구요.
노면이 추워지면 1~2psi정도 차이가 날 때도 있구요.
그럼에도 걱정되신다면 못이 찔려있거나 문제 생긴지 꼭 확인해보세요.